KR200171039Y1 - 모니터수납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039Y1
KR200171039Y1 KR2019970030910U KR19970030910U KR200171039Y1 KR 200171039 Y1 KR200171039 Y1 KR 200171039Y1 KR 2019970030910 U KR2019970030910 U KR 2019970030910U KR 19970030910 U KR19970030910 U KR 19970030910U KR 200171039 Y1 KR200171039 Y1 KR 200171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housing
support
hol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793U (ko
Inventor
조성운
윤종채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70030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03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7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7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구비되는 AV 시스템(Audio and Video System)에 있어서 모터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모니터를 하우징에서 인출 또는 수납하는 모니터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모니터 수납장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가이드홈(52)이 형성된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내에 장착되는 구동부(60)와, 상기 구동부(60)에 의해 작동되며 모니터(80)가 장착된 지지대(70)와, 상기 모니터(80)가 수납될 때 상기 모니터(80)를 홀딩하는 홀딩부(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대가 회전하면서 모니터를 하우징에서 인출하고,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모니터를 회전시켜 하우징에 모니터를 수납하는 케이싱 처리로 모니터 화면을 보호할 수 있고, 모니터 크기의 제약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 수납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MONITOR)
본 고안은 차량에 구비되는 AV 시스템(Audio and Video System)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된 하우징에 모니터를 수납 또는 인출하기 위한 모니터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모터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여 모니터를 하우징에서 인출 또는 수납하는 모니터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1994년 4월 5일 출간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06-092187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TV 세트 마운팅 장치는 텔레비젼(25)을 장착한 수납체(8)가 정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3)내에 장착되고, 상기 수납체(8)가 하우징(3)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장방형 홀(4,12)인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므로서 하우징(3)에서 자유롭게 인출되고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의 상부 및 하부에는 수납체(8)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가이드 홀(5,1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3)에 장착된 수납체(8)가 오른쪽 및 왼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5,13)은 장방형 홀(4,12)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수납체(8)는 텔레비젼(25)을 지지하는 힌지(18)가 구비된 2개의 아암(9A,9B)과, 상기 두 아암(9A,9B)을 연결하며 장방형 홀(4,1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연결부(10)로 구성된다.
또한, TV 세트 마운팅 장치는 슬라이딩 바디(16)에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되어 텔레비젼(25)을 전방 및 후방으로 그리고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하우징(3)에서 자유롭게 인출되고 수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TV 세트 마운팅 장치는 텔레비젼을 인출하는 방식에 있어 공간제한이 많아 텔레비젼의 크기가 제한되고, 하우징이 커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공간을 많이 점유하며, 텔레비젼의 화면이 항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주위의 충격이나 먼지등에 의해 화질 및 수명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니터가 장착된 지지대를 회전운동시켜 모니터를 사용할 때 하우징에서 모니터를 인출하고,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하우징에 모니터를 수납하는 케이싱 처리로 모니터 화면을 보호할 수 있고, 모니터 크기의 제약를 줄일 수 있는 모니터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니터 수납장치의 일예로서, 일측면이 개방되고 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작동되며 모니터가 장착된 지지대와, 상기 모니터가 수납될 때 상기 모니터를 홀딩하는 홀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니터가 장착된 지지대를 회전운동시켜 모니터를 사용할 때 하우징에서 모니터를 인출하고,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하우징에 모니터를 수납한다. 이때, 홀딩부의 후크는 모니터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TV 세트 마운팅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수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수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하우징 4,12 : 장방형 홀
5,13 : 회전 가이드 홀 8 : 수납체
9A,9B : 아암 10 : 연결부
16 : 슬라이딩 바디 18 : 힌지
25 : 텔레비젼 50 : 하우징
60 : 구동부 70 : 지지대
80 : 모니터 90 : 홀딩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수납장치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가이드홈(52)이 형성된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내에 장착되는 구동부(60)와, 상기 구동부(60)에 의해 작동되며 모니터(80)가 장착된 지지대(70)와, 상기 모니터(80)가 수납될 때 상기 모니터(80)를 홀딩하는 홀딩부(9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60)는 2개의 모터(61)와, 상기 모터(6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62)와, 상기 구동기어(62)에 맞물리는 종동기어(6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70)는 양단에 상기 모니터(80)를 고정시키는 핀(85A, 85B)이 체결되는 핀홀(74)과 홈(76)이 형성된 수평부(71)와, 상기 수평부(71)에서 굴절되며, 양측면에 상기 하우징(50)의 가이드홈(5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75)와 상기 종동기어(63)의 중심축 역할을 하는 회전 중심 가이드(7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동기어(63)와 함께 회전하는 수직부(72)로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80)는 일측면에 상기 지지대(70)의 수평부(71)에 형성되어 있는 홈(76)에 삽입되고 상기 핀(85A,85B)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돌부(81A, 81B)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홀딩부(90)에 의해 홀딩되도록 후크 홈(86)이 형성된다.
상기 돌부(81A,81B)는 상기 지지대(70)의 수평부(71)에 형성되어 있는 홈(76)에 삽입된 후, 상기 지지대(70)의 양단에 형성된 핀홀(74)에 체결되는 핀(85A, 85B)에 의해 고정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모니터(80)가 지지대(70)의 수평부(71)에 고정된다.
상기 홀딩부(90)는 모터(91)와, 상기 모터(91)에 장착된 캠(93)과, 상기 캠(93)에 의해 작동되는 후크(95)와, 상기 후크(9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97)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딩모터(91)의 구동에 의해 캠(93)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후크(95)가 모니터(80)의 후크 홈(86)에서 빠져나오게 되므로, 모니터(80)가 회전할 수 있게 되고, 모니터(80)가 수납될 때는 모니터(80)가 후크(95)를 밀어 모니터(80)의 홈에 후크(95)가 걸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수납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홀딩부(90)의 홀딩모터(91)와 구동부(60)의 구동모터(61)가 동시에 작동되도록하면, 모니터(80)가 후크(95)에서 분리되고, 구동기어(62)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6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종동기어(63)에 장착된 지지대(70)가 가이드 홈(52)을 따라 이동하면서 모니터(80)를 회전시켜 상기 모니터(80)를 하우징에서 인출한다.
그리고, 모니터(8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종동기어(6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모니터(80)가 하우징(50)에 수납되도록 한다.
이 때, 후크(95)는 상기 종동기어(6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승하는 모니터(80)에 의해 밀린 후 모니터(80)의 후크 홈에 끼워져 모니터(80)를 홀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수납장치는 지지대가 회전하면서 모니터를 하우징에서 인출하고,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모니터를 회전시켜 하우징에 모니터를 수납하는 케이싱 처리로 모니터 화면을 보호할 수 있고, 모니터 크기의 제약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수납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일측면이 개방되고 가이드홈(52)이 형성된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내에 장착되는 구동부(60)와, 상기 구동부(60)에 의해 작동되며 모니터(80)가 장착된 지지대(70)와, 상기 모니터(80)가 수납될 때 상기 모니터(80)를 홀딩하는 홀딩부(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0)는 2개의 모터(61)와, 상기 모터(6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62)와, 상기 구동기어(62)에 맞물리는 종동기어(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수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70)는 양단에 상기 모니터(80)를 고정시키는 핀(85A, 85B)이 체결되는 핀홀(74)과 홈(76)이 형성된 수평부(71)와, 상기 수평부(71)에서 굴절되며, 양측면에 상기 하우징(50)의 가이드홈(5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75)와 상기 종동기어(63)의 중심축 역할을 하는 회전 중심 가이드(7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동기어(63)와 함께 회전하는 수직부(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수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80)는 일측면에 상기 지지대(70)의 수평부(71)에 형성되어 있는 홈(76)에 삽입되고 상기 핀(85A,85B)에 의해 고정되는 2개의 돌부(81A, 81B)가 형성되며, 타측면에는 홀딩부(90)에 의해 홀딩되도록 후크 홈(8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수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90)는 홀딩모터(91)와, 상기 홀딩모터(91)에 장착된 캠(93)과, 상기 캠(93)에 의해 작동되는 후크(95)와, 상기 후크(9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9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수납장치.
KR2019970030910U 1997-11-03 1997-11-03 모니터수납장치 KR200171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910U KR200171039Y1 (ko) 1997-11-03 1997-11-03 모니터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910U KR200171039Y1 (ko) 1997-11-03 1997-11-03 모니터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93U KR19990017793U (ko) 1999-06-05
KR200171039Y1 true KR200171039Y1 (ko) 2000-04-01

Family

ID=1951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910U KR200171039Y1 (ko) 1997-11-03 1997-11-03 모니터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0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93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2901B1 (en) Video camera with stowable monitor having display facing inwardly or outwardly
KR100662845B1 (ko) 메모리 카드 슬롯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모바일기기
KR200171039Y1 (ko) 모니터수납장치
KR200171040Y1 (ko) 모니터수납장치
JPH10135669A (ja) 電子機器
KR100245977B1 (ko) 모니터수납장치
KR19990038168A (ko) 모니터 수납장치
KR100573829B1 (ko) 차량용 모니터 개폐 구조
JP2007174365A (ja) 電子機器
KR19990017797U (ko) 모니터 수납 및 인출 장치
KR200177388Y1 (ko) 모니터고정장치
KR100245976B1 (ko) 모니터수납및인출장치
CN219590600U (zh) 一种具有背光装置的抬头显示器
KR100828255B1 (ko) 차량용 액정 모니터 장착 구조체
KR100423301B1 (ko) 차량의 액정 모니터 마운팅 기구
KR970007015B1 (ko) 프로젝터내장형 비디오카세트레코오드(vcr)
KR100245975B1 (ko) 모니터수납및인출장치
JP3950367B2 (ja) 車載用電子機器
JP3695065B2 (ja) ダッシュボード収納式カーナビユニット
JP3318630B2 (ja) 録画装置におけるメカシャーシの保持機構
KR100504838B1 (ko) 이동단말기의 카메라조립체
JP2002293197A (ja) 車載用電子機器の前面パネル装置
JP3978550B2 (ja) 収納式表示装置
JP200217502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JPH11164230A (ja) 機器用のスピーカ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