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675Y1 -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 Google Patents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675Y1
KR200170675Y1 KR2019970004423U KR19970004423U KR200170675Y1 KR 200170675 Y1 KR200170675 Y1 KR 200170675Y1 KR 2019970004423 U KR2019970004423 U KR 2019970004423U KR 19970004423 U KR19970004423 U KR 19970004423U KR 200170675 Y1 KR200170675 Y1 KR 200170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telephone line
line terminal
rain gutter
gut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382U (ko
Inventor
이처술
Original Assignee
이처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처술 filed Critical 이처술
Priority to KR2019970004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67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6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06Call dive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빗물받이체를 전화선 단자함에 부설하여 빗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뚜껑체를 부착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한 전화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 단자함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가설치되는 빗물받이체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빗물받이체는 상기 전화선 단자함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빗물의 침투를 막기 위한 빗물받이부와 전화선 단자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로 구성되고, 전화선 단자함의 측부에 경사 돌기체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화선 단자함과 뚜껑체 사이에 침투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하여 전화선 단자함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본 고안은 전화선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빗물받이체를 전화선 단자함에 부설하여 각종 물기의 침입, 특히 빗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선 단자함이란, 전화선(국선 및 내선을 총칭함)의 접속작업을 신속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건물의 외벽부 또는 전주 등에 설치하는 접속용 단자박스로서, 내부에 다수 개의 전화선 접속단자를 설치하고 있고, 국선을 연결하여 가입자와 접속하는 역할을 하는 통신장비를 말한다.
종래, 이와 같은 전화선 단자함은 여러 종류의 것이 제안되어 있고 활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은 그 제품의 기능상 외부에 노출된 채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여름철 등의 우기에는 단자함 본체와 뚜껑체 사이를 통하여 빗물이 침투하여, 내부에 전기신호선을 연결하고 있는 접속단자부에 스며듦으로써 단락현상을 발생하여 작동 일시정지 상태를 야기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아예 전화선 단자함 자체를 고장내어 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특히 지형적으로 강우량이 많은 지역, 예를들면 고온다습한 아열대 강우림 지역에서는 효과적으로 빗물을 받아낼 부품의 부가설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빗물받이체를 전화선 단자함에 부설하여 각종 물기의 침입, 특히 빗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와 전화선 단자함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전화선 단자함의 뚜껑을 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선 단자함12 : 돌기체
14 : 경사면16 : 전화선 단자부
20 : 뚜껑체22 : 경첩
24 : 로킹보울트26 : 표시부
30 : 빗물받이체32 : 빗물받이부
34 : 고정부35 : 연장부
36 : 걸림돌기40 : 부착 브라케트
42 : 보울트L : 경계선
l : 간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은, 적어도 뚜껑체를 부착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한 전화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 단자함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가설치되는 빗물받이체를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전화선 단자함은 그 상부 측면에 빗물받이체를 부착고정하기 위한 돌기체를 가지는 것과, 상기 빗물받이체는 상기 전화선 단자함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빗물의 침투를 막기 위한 빗물받이부와 전화선 단자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이 좋고, 상기 돌기체의 일측면은 경사면을 이루는 것과, 상기 빗물받이체는 상기 전화선 단자함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l), 예를들면 1mm∼3mm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과, 상기 고정부는 그 양측이 수직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이 연장부의 끝단은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은, 전화선 단자함과 뚜껑체 사이에 빗물받이체를 부가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전화선 단자함의 고장유발 요인을 사전에 예방하여 소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고, 빗물받이체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염가로 공급하여 채택할 수 있게 한 경제적인 잇점이 있으며, 점검목적 상의 필요에 따라 전화선 단자함을 여닫을 때에 아무런 방해가 되지 않도록 빗물받이체의 부착설계값을 적정하게 설정하여 적용하였기 때문에, 전화선 단자함의 점검 시에 아무런 곤란성도 제기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0은 전화선 단자함, 20은 뚜껑체, 30은 빗물받이체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전화선 단자함(10)은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각종 전화선을 내장할 수 있도록 오목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뚜껑체(20)는 상기 전화선 단자함(10)에 대하여 경첩(22)을 통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화선 단자함(10)의 상부 측면에는 빗물받이체(30)를 부착고정하기 위한 돌기체(12)가 일체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체(12)의 일측면은 경사면(14)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면(14)은 후술하는 빗물받이체(30)의 걸림돌기(36)를 원활하게 안내하여 상기 돌기체(12) 상에 용이하게 걸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 상기 빗물받이체(30)는 상기 전화선 단자함(10)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l)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l)은 1mm∼3mm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상기 설정범위보다 작으면 뚜껑체(20)의 여닫는 동작에 방해가 되어 상기 뚜껑체(20)를 상기 전화선 단자함(10)으로부터 해체한 다음에 뚜껑체(20)를 열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며, 이와 반면에 상기 범위보다 크면 비바람을 동반한 강우가 경사져서 쏟아질 때 빗물의 침투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부호 24는 뚜껑체(20)를 전화선 단자함(10)에 로크할 수 있는 로킹보울트, 26은 상기 뚜껑체(20)의 표면상에 형성한 전화선 단자함의 규격이나 제품 모델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40은 전화선 단자함(10)을 소정의 설치할 개소, 예를들면 전신주에 설치하기 위한 부착 브라케트이다. 이 부착 브라케트(40)는 대략 'ㄷ' 자형을 이루며 적어도 2군데에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부품인 띠형상의 체결편을 통과시키기 위한 절개부이다. 이 절개부는 상기 부착 브라케트(40)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측으로 구부림 형성한 편(片)형상으로 되어 있다. 부호 42는 상기 부착 브라케트(40)를 상기 전화선 단자함(10)에 고정하기 위한 보울트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와 전화선 단자함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상기 빗물받이체(30)는 단이진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빗물받이체(30)는, 실제로 빗물의 침투를 막기 위한 원호형상의 빗물받이부(32)와 이 빗물받이체(30)를 상기 전화선 단자함(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34)로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화선 단자함(10)의 상부형상은 완만한 곡선부, 즉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원호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빗물받이체(30)의 빗물받이부(32)도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지만, 반드시 이러한 원호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부(34)의 양측은 수직으로 연장된 연장부(35)를 가지며, 이 연장부(35)의 끝단은 걸림돌기(36)를 형성하고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선 단자함(10)의 외곽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빗물받이체(30)가 씌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화선 단자함(10)과 뚜껑체(20)와의 경계선(L) 사이를 덮게 되어 전화선 단자함(10) 상부로부터 쏟아지는 빗물 등의 침입을 확실하게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전화선 단자함의 뚜껑을 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전화선 단자함(10)은,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 수시로 여닫을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그러한 점검목적 상의 뚜껑체(20)의 여닫음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부호 16은 상기 전화선 단자함(10) 내부에 설치된 전화선 단자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에 의하면, 전화선 단자함과 뚜껑체 사이에 빗물받이체를 부가설치하여 줌으로써, 이들 사이에 침투가 예상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하여 고가의 전화선 단자함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소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 빗물받이체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염가로 공급하여 채택할 수 있게 한 경제적인 잇점도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 점검 등을 위하여 전화선 단자함의 뚜껑체를 필요에 따라 열고 닫고자 할 때에, 이러한 여닫는 동작에 아무런 방해가 되지 않도록 빗물받이체의 부착설계값을 적정하게 설정하여 적용하였기 때문에, 전화선 단자함의 점검 시에 아무런 곤란성도 제기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적어도 뚜껑체를 부착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한 전화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 단자함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부가설치되는 빗물받이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선 단자함은, 그 상부 측면에 빗물받이체를 부착고정하기 위한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체는, 상기 전화선 단자함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빗물의 침투를 막기 위한 빗물받이부와 전화선 단자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체는, 상기 전화선 단자함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그 양측이 수직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이 연장부의 끝단은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KR2019970004423U 1997-03-11 1997-03-11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KR200170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423U KR200170675Y1 (ko) 1997-03-11 1997-03-11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423U KR200170675Y1 (ko) 1997-03-11 1997-03-11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382U KR19980060382U (ko) 1998-11-05
KR200170675Y1 true KR200170675Y1 (ko) 2000-02-01

Family

ID=1949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423U KR200170675Y1 (ko) 1997-03-11 1997-03-11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6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382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0075A (en) Waterproof, gasketless enclosure
US4647715A (en) Aerial communication cable closure
US4535197A (en) Unitary cable closure
US4102466A (en) Weatherproof receptacle cover and shield
US5588182A (en) Arrangement for securing a door to an enclosure
US4101191A (en)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pedestrian traffic signal
US4142173A (en)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traffic signals and pedestrian signal units
US4536611A (en) Unitary telephone cable closure
KR200170675Y1 (ko) 빗물받이체를 부설한 전화선 단자함
US20020104674A1 (en) Weatherproof cover
EP0682435B1 (en) Enclosure for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JPH0638316A (ja) 配電盤の防水機構
KR200161752Y1 (ko) 통신케이블용 단자함
JP3556685B2 (ja) 屋外用電子機器ケース
US69630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using spliced wires on siding
JPH077276A (ja) 屋外用電子機器ケース
KR200246366Y1 (ko) 수,배전반의 후레임 구조
CN214255237U (zh) 一种具有ip53防护等级的预装式封闭环网箱
US6457687B1 (en) Mechanism for mounting and venting an enclosure
JP3682307B2 (ja) 電子機器ケース
JP3002946U (ja) 地中配電線用キャビネットのルーフ
KR200320815Y1 (ko) 전선연결부 보호함
JP3899248B2 (ja) 光線路の端末構造
JPH0747907Y2 (ja) 電気機器収納用ボックス
JP3861022B2 (ja) 光線路の端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