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221Y1 -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221Y1
KR200170221Y1 KR2019990017121U KR19990017121U KR200170221Y1 KR 200170221 Y1 KR200170221 Y1 KR 200170221Y1 KR 2019990017121 U KR2019990017121 U KR 2019990017121U KR 19990017121 U KR19990017121 U KR 19990017121U KR 200170221 Y1 KR200170221 Y1 KR 200170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ophagus
expansion mechanism
present
memory alloy
shap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민
박재형
정진욱
Original Assignee
신경민
박재형
정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민, 박재형, 정진욱 filed Critical 신경민
Priority to KR2019990017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2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4Oesophagi or esophagi or gul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9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chanically expandable devices, e.g.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907Nets or sleeves applied to surface of prostheses or in cement
    • A61F2002/30909Nets
    • A61F2002/30912Nets made of expanded metal, e.g. diamond mesh or metal nets having lozenge-shaped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식도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확장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식도의 협착부위를 확대한 상태로 설치하므로 음식물의 섭취과정에도 그 설치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며 반 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한 확장기구(5)의 양측방에 단턱지게 직경을 외측으로 확장한 확장부(6)(7)를 형성하여 상기 양측방의 확장부(6)(7)가 변병부위(32)의 양측방에 위치한 상태로 고 탄성력에 의해 협착부위를 바깥으로 밀어 식도(30)를 확장하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확장기구(5)가 갖는 고 탄성력과 양측방의 단턱부(6)(7)가 협착부위(32)에 걸려 지지되면서 음식물의 섭취과정에서도 그 설치상태를 유지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MEDICAL METAL CATHETER TUBE}
본 고안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식도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암덩어리등으로 인한 식도의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설치되어 그 통로를 넓혀줌은 물론 음식물 섭취과정에서도 그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조직에 의한 식도의 협착으로 식도를 막거나 이의 진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입으로의 음식섭취가 불가능하여 배에서 위장으로 구멍을 뚫어 튜브를 통해 음실물을 투입해야 하므로 환자는 물론 가족에게 커다란 정신적 고통을 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협착진행 또는 협착이 발생하는 부위를 주로 외과적인수술을 통해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외과적 수술은 병변부위의 신체를 절개하여야 하므로 그 부위가 매우 넓어 큰 흉터를 남기게 되고, 또한 많은 요양기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수술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절개수술을 행하지 않고 신체의 협착부위 내부로 발룬 카네터 튜브(Balloon Catheter Tube)를 삽입하여 발룬(Balloon)을 부풀려주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은 통상 3-4개월이 지나게 되면 재 협착이 발생하여 반복적으로 시행을 해야 하므로 환자에겐 정기적인 고통은 물론 경제적 부담을 재차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의 소재를 선택하여 병변부위에 설치시 한번의 시술로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확장기구를 선출원한 바 있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0.1-0.5mm인 한 개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교차시키면서 엮어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2)를 갖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식 원통형몸체(3)를 구성하되, 그 양끝단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만곡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식 원통형 몸체(3)를 구성한 후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양끝단은 상기 원통형 몸체(3)의 내부에 위치시켜 용접하여 이루어진 확장기구(5)를 제공한 바 있다.
이러한 확장기구(5)를 신체의 병변부위에 삽입하면, 이를 구성하는 고 탄성력에 의해 병변부위를 바깥방향으로 밀어줌으로서 혈관 내부등의 통로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확장기구(5)는 단순한 원통형몸체(3)로 이루어져, 이를 식도의 협착부위에 설치시 식도를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에 의해 확장기구(5)가 병변부위에서의 설치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변병부위에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한 확장기구(5)는 식도의 병변부위를 확장시킨 상태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하기에 곤란한 문제를 갖게 된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확장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식도의 협착부위를 확대한 상태로 설치하여 음식물의 섭취과정에도 그 설치 상태를 견고히유지하므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한 확장기구의 양측방에 단턱지게 직경을 외측으로 확장한 확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양측단의 확장부가 변병부위의 양측방에 위치한 상태로 고 탄성력에 의해 협착부위를 바깥으로 밀어 식도를 확장하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확장기구가 갖는 고 탄성력과 양측방의 단턱부가 협착부위에 걸려지면서 음식물의 섭취과정에서도 그 설치상태를 유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확장기구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확장기구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졍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공간부 3: 원통형 몸체 5: 확장기구
6,7: 확장부 10: 피막 20; 치구
25: 성형부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식도의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를 확장시키도록 치료하는 인조보형물에 있어서,
한개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1)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교차시키면서 엮어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2)를 갖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식 원통형 몸체(3)를 구성하되, 그 양측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며 단차지도록 직경이 확장된 확장부(6)(7)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형상기억합금 소재(1)의 양끝단은 원통형몸체(3)의 내부에 위치시켜 용접연결하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25는 치구(20)의 성형부, 32는 식도(30)의 변병부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본 고안의 확장기구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인체에 무해한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을 선택하되, 그 직경이 01-05mm정도의 가는선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교차시키면서 엮어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2)를 갖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식 원통형몸체(3)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원통형몸체(3)의 양끝단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만곡형상을 갖도록 절곡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치구(20)를 이용하되, 상기 치구(20)의 일측으로 직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성형부(25)를 상기 원통형몸체()의 일측으로 삽입시켜주게 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으로된 원통형 몸체(3)의 일측은 상기 치구(20)의 성형부(25)를 따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그 형상을 통상의 열(재질의 탄성을 잃지 않는 정도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기억시켜 주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치구(20)를 원통형몸체(3)에서 분리하면, 그 부분은 치구(20)의 성형부(25)와 동일하게 외측으로 단차지게 확장된 확장부(6)를 형성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원통형 몸체(3)의 타측을 치구(20)에 의해 확장부(7)를 형성하게 하여 본 고안의 확장기구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 고안의 확장기구(5)는 식도의 직경보다 적게는 10%, 크게는 30%정도 크게 제조하는데, 이는 병변부위에서 충분한 내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의 확장기구(5)를 암덩어리등으로 인한 식도(32)의 협착부위에 삽입하여 확장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별도의 투시검사장치로 식도(30)내의 병변부위(32)의 위치, 병변부위(32)의 길이, 크기 및 병변부위(32)의 내부직경을 진찰하고, 그 전에 필요부분을 마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병변부위(32)의 길이보다 길고, 특히 확장기구(5) 양측방의 확장부(6)(7)사이의 간격이 병변부위(32)의 길이보다 길게 하여 상기 확장부(6)(7)가 병변부위(32)의 양측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그 길이를 선정하고,
또한, 상기 확장기구(5)는 식도의 내부 직경보다 10-30%정도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별도의 삽입장치(40)를 이용하여 확장기구(5)를 병변부위(32)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확장기구(5)는 직경을 쭈그려 다수의 마름모형상의 공간부(2)가 줄어들면서 원통형몸체(3)의 부피가 현격하게 줄어든 상태로 삽입장치(40)에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장치(40)를 식도(30)에 삽입하여 병변부위(32)에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부피가 축소된 상태의 확장기구(5)를 삽입장치(40)에서 밀어내면 확장기구(5)가 원 상태의 형상으로 팽창 복귀하면서 협착부위(32)를 바깥으로 밀어내어 확장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확장기구(5)는 식도(32)의 내부직경보다 10-30%정도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탄성력에 의해 위치의 이동없이 병변부위를 바깥으로 밀어내면서 식도(30)의 확장을 유지하게 된다.
더우기, 상기 확장기구(5)의 양측방에 직경이 외측으로 단차지게 확장된 확장부(6)(7)가 병변부위(32)의 양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확장부(6)(7)가 병변부위(3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도(30)를 통해 음식물을 섭취하여도, 상기 확장기구(5)가 갖는 고탄성력과 확장기구(5) 양측의 확장부(6)(7)가 병변부위(32)에 걸리면서 그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없이 병변부위(32)를 바깥으로 밀어 식도(30)를 확장한 상태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원통형 몸체(3) 및 확장부(6)(7)의 외표면으로 유연성을 갖는 비닐재로 된 피막(1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름모형상의 공간부(2)는 피막(10)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확장기구(5)를 전술한 바와같이 삽입장치(40)에 의해 식도(30)의 병변부위(32)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확장기구(5), 특히 피막(10)은 유연성을 갖는 비닐재로 되어, 전술한 바와같이 축소된 상태로 이동하여 병변부위(32)에서 원 형태로 팽창되게 삽입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치된 확장기구는 상기 암덩어리인 병변부위(32)의 암세포가 확장기구(5)의 피막(10)에 의해 식도(30)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도(30)를 통해 섭취하는 음식물이 상기 병변부위(32)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되므로 이로 인한 고통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확장기구(5)는 전술한 바와같이 식도의 협착부위로 설치 사용되나, 식도 외에 다른 신체의 협착부위에 설치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전술한 동일한 효과를 구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확장기구는 식도의 협착부위를 확대하는 상태로 삽입 설치하여 음식물의 섭취과정에서도 그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므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하게 됨은 물론 특히 암세포가 식도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식도의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를 확장시키도록 치료하는 인조보형물에 있어서,
    한개의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1)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교차시키면서 엮어 다수의 마름모 형상의 공간부(2)를 갖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중공식 원통형몸체(3)를 구성하되, 상기 원통형 몸체(3)의 양측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며 단차지도록 직경이 확장된 확장부(6)(7)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3) 및 확장부(6)(7)의 외표면에는 유연성을 갖는 비닐재로 된 피막(1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
KR2019990017121U 1999-08-18 1999-08-18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 KR200170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21U KR200170221Y1 (ko) 1999-08-18 1999-08-18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21U KR200170221Y1 (ko) 1999-08-18 1999-08-18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221Y1 true KR200170221Y1 (ko) 2000-02-15

Family

ID=1958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121U KR200170221Y1 (ko) 1999-08-18 1999-08-18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2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329B1 (ko) * 2001-04-10 2004-09-10 주식회사 스텐텍 내강 확장용 스텐트
KR100455359B1 (ko) * 2001-04-04 2004-11-0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 협착부위의 확장기구
KR101065368B1 (ko) * 2009-07-17 2011-09-19 신경민 비만 환자 치료용 스텐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359B1 (ko) * 2001-04-04 2004-11-08 (주) 태웅메디칼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 협착부위의 확장기구
KR100448329B1 (ko) * 2001-04-10 2004-09-10 주식회사 스텐텍 내강 확장용 스텐트
KR101065368B1 (ko) * 2009-07-17 2011-09-19 신경민 비만 환자 치료용 스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4345B2 (ja) 高周波熱治療用ステント
KR10045763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JP3704501B2 (ja) 身体の狭窄部位を拡張させる拡張機構挿入装置
JP4771425B2 (ja) ステント
ES2394958T5 (es) Injerto/endoprótesis vascular reposicionable y recuperable
JP4913069B2 (ja) 分岐した管のための突出した分岐部を備えるステント
ES2211938T3 (es) Stent para despliegue transluminal.
JPH04256759A (ja) 体内管の狭窄部位を拡張させる装置
US5674277A (en) Stent for placement in a body tube
KR101498584B1 (ko) 이동방지용 스텐트
JP2006513009A (ja) 自己拡張式ステント
US20080294239A1 (en) Flexible stent with elevated scaffolding properties
JP2006523503A (ja) 管腔口に配置するステント
KR200170221Y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의 협착부위 확장기구
KR100457629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0295212B1 (ko) 형상기억합금을이용하여신체의협착부위를확장시키기위한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이에의해제조한확장기구.
JP2009508592A (ja) 入口部保護用分割型装置
KR100455359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식도 협착부위의 확장기구
JP3815828B2 (ja) 管状器官の治療具
KR100576625B1 (ko) 고주파 열치료용 스텐트
KR100342707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확장부위를 메우기 위한 인조혈관기구
KR100295157B1 (ko)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는 확장기구 삽입장치
KR100305394B1 (ko) 신체의협착부위를확장시키는확장기구삽입장치
ES2309152T3 (es) Combinacion de endoprotesis vascular y elemento de sujecion.
IL169830A (en) S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