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994Y1 - 통행카드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통행카드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994Y1
KR200168994Y1 KR2019960030012U KR19960030012U KR200168994Y1 KR 200168994 Y1 KR200168994 Y1 KR 200168994Y1 KR 2019960030012 U KR2019960030012 U KR 2019960030012U KR 19960030012 U KR19960030012 U KR 19960030012U KR 200168994 Y1 KR200168994 Y1 KR 200168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card
card
rollers
lower roller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689U (ko
Inventor
임성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30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994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6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9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김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통행카드를 일정방향으로 안내하면서 전진시키는 통행카드 이송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정보의 기록 및/또는 판독이 가능하도록 기록막이 마련된 통행카드를 이송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롤러와 이 롤러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통행카드의 전진방향을 안내하도록 통행카드의 폭넓이로 측벽이 마련된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된 통행카드 이송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롤러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유연성을 갖는 다수의 디스크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몸통에 배치되고, 디스크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통행카드의 구겨짐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일정방향으로 전진시킨다.

Description

통행카드 이송장치{Ticket transfer apparatus}
본 고안은 통행카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김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통행카드의 전진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이송롤러의 구조가 개선된 통행카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행카드 이송장치는 정보를 기록 및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막이 마련된 통행카드를 일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통행카드의 기록막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통행요금을 정산하여 처리하는 통행카드 판독처리기에 채용되는 장치이다.
통행카드 판독처리기의 본체 내부에는 통행카드의 기록막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헤드와 이 판독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통행요금을 표시기에 표시하거나, 통행요금을 정산한 후의 남은금액에 해당하는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막에 기록하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된 판독처리부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지한 통행카드를 통행카드 판독처리기의 본체의 입구에 인입시킬 때, 인입된 통행카드를 판독처리부의 판독헤드의 위치에 정확하게 이송하고, 처리가 완료된 후 출구로 배출시키기도록 통행카드 이송장치가 본체 입구 및/또는 출구등에 설치된다.
도 1은 통행카드 판독기에 채용된 종래의 통행카드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 통행카드 이송장치는 상호 맞물려 돌아가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롤러(4)(5), 안내플레이트(6)로 구성되어 통행카드 판독처리기의 본체(1) 입구(2)에 설치된다. 이 안내플레이트(6)를 통과한 통행카드(9)는 판독처리부(미도시)의 판독헤드를 거쳐 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상부 및 하부롤러(4)(5)와 안내플레이트(6)는 본체(1)의 입구(2)로 사용자에 의해 인입된 통행카드(9)를 판독헤드등이 마련된 주 이송라인에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이송되도록 본체(1)의 선단에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주 이송라인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벗어난 상태로 인입되는 통행카드(9)의 전진방향을 정렬시켜 주 이송라인에 맞추어 전진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주 이송라인에 정렬되어 이송되면 통행카드(9)의 정상적인 판독처리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목적에 의해 도입된 통행카드 이송장치에서 한 쌍의 상부롤러(4)와 하부롤러(5)는, 각각 회전축 방향으로 동일 외경을 갖고, 그 외주면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통행카드(9)를 전진시키도록 되어있다.
안내플레이트(6)는 그 베이스 판(8)에 통행카드(9)의 폭만큼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양측벽(7)이 세워져 상부 및 하부롤러(4)(5)의 접촉면을 거쳐 전진되는 통행카드(9)를 그 측벽(7)에 의해 방향을 안내한다.
그 동작을 보면 본체(1)의 입구(2)를 통해 사용자가 통행카드(9)를 밀어넣으면 한쌍의 상부 롤러(4)와 하부 롤러(5)의 외주면에 통행카드(9)가 물리게 되고, 이 상부 및 하부롤러(4)(5)의 회전에 의해 통행카드(9)가 전진된다. 이 때, 사용자가 밀어넣는 통행카드(9)의 선단이 반드시 롤러(4)(5)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롤러(4)(5)를 거쳐 전진되는 통행카드(9)는 안내플레이트(6)의 측벽(7)에 부딪히면서 그 전진방향이 보정되어야 한다.
종래의 상부 및 하부롤러(4)(5)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의 탄성고무가 몸통(4a, 5a)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롤러(4)와 하부롤러(5)의 외주면이 일부에서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롤러(4)(5)의 회전에 의해 통행카드(9)는 전진되고, 두께가 얇은 통행카드(9)의 진행방향이 안내방향으로부터 벗어나면 안내플레이트(6)의 측벽(7)과 부딪치면서 진행한다. 이때, 안내플레이트(6)의 측벽(7)으로부터 이격되려고 하는 통행카드(9)는 상부 및 하부롤러(4)(5)의 회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통행카드(9)를 전진시키기 때문에 전진방향에 대해 좌우로 이동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되고, 전진과정에서 측벽(7)을 벗어나 구겨질 수 있다.통행카드(9)가 이송과정에서 구겨질 경우에는 통행카드(9)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처리에 장애가 생기고, 통행카드(9)의 이송을 위한 주 이송라인상에서 걸림이 발생하면서, 각 구성부재를 파손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김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통행카드의 전진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통행카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행카드 판독기에 채용된 종래의 통행카드 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 평면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통행카드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4a는 도 3의 통행카드 이송장치의 상부 및 하부롤러의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B-B'절단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4, 14: 상부롤러
4a, 5a, 14a, 15a: 몸통 5: 하부롤러
6, 16: 안내플레이트 7, 17: 측벽
8, 18: 베이스 판 9, 19: 통행카드
20, 24: 디스크 21, 25: 돌출부
22, 26: 홈 23: 지지고무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행카드 이송장치는 정보의 기록 및/또는 판독이 가능하도록 기록막이 마련된 통행카드를 이송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롤러;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통행카드의 전진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통행카드의 폭넓이로 측벽이 마련된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된 통행카드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롤러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의 롤러는 유연성을 갖는 다수의 디스크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몸통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디스크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통행카드 이송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행카드 이송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통행카드 이송장치의 상부 및 하부롤러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B-B'절단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a 및 도 4b를 통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송장치는 한 쌍의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5) 및 안내플레이트(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안내플레이트(16)는 그 베이스 판(18)에 통행카드(19)의 폭만큼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양측벽(17)이 세워져 상부롤러(14) 및 하부롤러(15)를 거쳐 전진되는 통행카드(19)를 그 측벽(17)에 의해 방향을 안내한다.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5)중 어느 하나의 롤러만 회전축이 되는 몸통(14a)(15a)상에 다수의 고무판 디스크(20)(24)가 몸통(14a)(15a)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구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롤러는 동일 외경을 갖는 원통형 롤러에 의해 통행카드를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행카드의 전진시 좌우 이동을 보다 원할하게 할 목적으로 상부 및 하부롤러(14)(15) 각각이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형상으로 구조된다.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5) 각각은 회전축이 되는 몸통(14a)(15a)상에 다수의 고무판 디스크(20)(24))가 몸통(14a)(15a)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 디스크(20)(24)는 그 외주면상에 다수의 돌출부(21)(25)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몸통(14a)(15a)상에 배열된 디스크(20)(24)는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접한 디스크(20)(24)와의 사이에는 디스크(20)(24)가 몸통(14a)(15a)의 길이방향으로 유연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디스크(20)(24)의 최소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지지고무판(23)(27)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롤러(14)(15)가 형상됨으로써, 각 롤러(14)(15)상에 형성된 고무디스크(20)(24)의 돌출부(21)(25)는 몸통(14a)(1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범위내에서 쉽게 이동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5)가 그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상부 및 하부 롤러(14)(15)의 디스크(20)(24)에 마련된 돌출부(21)(25)가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디스크(20)(24)의 홈(22)(26)의 깊이가 통행카드(19) 두께의 절반보다 약간 큰 값으로 된다.
이와 같이 배치 구성된 상부 및 하부롤러(14)(15)와 그 전방에 마련된 안내플레이트(16)를 통해 통행카드(19)의 이송과정을 설명한다.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5)의 각 디스크(20)(24)상에 형성된 돌출부(21)(25)가 상부 및 하부롤러(14)(15)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맞닿게 되고, 두께가 얇은 통행카드(19)가 상부 및 하부롤러(14)(15)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21)(25)와 맞물리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 때, 각 롤러(14)(15)가 회전하는 동안 홈(22)(26)이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상에 오게되면, 상부 및 하부롤러(14)(15)로부터 전달되는 전진운동이 잠시 중단되어 그 추진력으로 진행하게 되고, 계속되는 롤러(14)(15)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다음 돌출부(21)(25)에 의해 다시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통행카드(19)가 전진하게 되기 때문에 통행카드(19)의 진행방향이 안내방향의 중심에 대해 어긋난 경우에 통행카드(19)는 안내플레이트(16)의 측벽(17)에 부딪히게 되면서 측벽(17)으로부터 분리되려고 하고, 이와 같은 전진과정에서 일부기간동안 통행카드(19)는 두 개의 롤러(14)(15) 사이에서 순간적인 격리상태가 존재하여 원할하게 측벽(17)으로부터 분리된다.
또 다른 디스크의 적층방법으로서, 각 롤러(14)(15)상의 디스크(20)(24)는 인접된 디스크(20)(24)의 돌출부(21)(25)가 롤러(14)(15)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돌출부(21)(24)가 엇갈리게 배열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각 롤러(14)(15)가 배치구성되면, 통행카드(19)는 계속해서 돌출부(21)와 맞물리게 되지만, 롤러(14)(15)상에서 맞물고 있는 돌출부(21)(24)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롤러(14)(15)상에 적층된 디스크(20)(24)의 인접거리 보다 길게되고, 통행카드(19)가 안내플레이트(16)의 측벽(17)에서 이격되려고 할 때, 통행카드(19)와 접하고 있는 돌출부(21)(25)는 그 좌우에 이동공간이 충분이 형성됨으로서, 그 유연성에 의해 전진방향에 대해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안내플레이트(16)의 측벽(17)을 따라 용이하게 전진된다.
따라서, 안내플레이트(16)에 정확하게 정렬시키면서 통행카드(19)를 이송시키기 때문에, 종래에 문제시 되었던 구겨짐이 발생되지 않는다.
각 롤러(14, 15)를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하는 방법은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5) 각각을 동시에 구동하거나, 상부롤러(14)와 하부롤러(15)중 하나를 구동시키고 나머지 하나는 피동되도록 해도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롤러가 통행카드 이송장치에 채용됨으로서, 통행카드의 구겨짐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전진안내하게 된다.

Claims (2)

  1. 정보의 기록 및/또는 판독이 가능하도록 기록막이 마련된 통행카드를 이송하는 한 쌍의 상부 및 하부롤러; 상기 상부 및 하부 롤러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통행카드의 전진방향을 안내하도록 상기 통행카드의 폭넓이로 측벽이 마련된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된 통행카드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롤러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유연성을 갖는 다수의 디스크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몸통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디스크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돌출부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카드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몸통의 길이방향으로 인접된 상기 디스크상의 돌출부위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카드 이송장치.
KR2019960030012U 1996-09-18 1996-09-18 통행카드 이송장치 KR200168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012U KR200168994Y1 (ko) 1996-09-18 1996-09-18 통행카드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012U KR200168994Y1 (ko) 1996-09-18 1996-09-18 통행카드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89U KR19980016689U (ko) 1998-06-25
KR200168994Y1 true KR200168994Y1 (ko) 2000-02-01

Family

ID=1946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012U KR200168994Y1 (ko) 1996-09-18 1996-09-18 통행카드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9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89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2445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conveying a paper money and a magnetic card
KR200168994Y1 (ko) 통행카드 이송장치
JPH11143994A (ja) カードリーダ
JPH087480Y2 (ja) カードリーダーのカード搬送機構
JP4176316B2 (ja) 紙葉媒体取扱装置
KR930000036B1 (ko) 카드 판독기의 카드 반송장치
JP3700414B2 (ja) カード搬送装置
JP326324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156214A (ja) ベルトコンベア機構
EP0627711B1 (en) Bank note conveyance device in island of amusement machines
JPH03251976A (ja) カード処理装置
JP3702667B2 (ja) カード搬送装置
KR100424770B1 (ko) 티켓자동발권기
JP5413968B2 (ja) カード搬送装置および情報処理機器
JP2532749Y2 (ja) 走行媒体のガイド装置
JP3650273B2 (ja) 記帳装置
JP3675675B2 (ja) カードリーダのカード搬送機構
JPH03223990A (ja) 記録媒体処理装置
JP3638987B2 (ja) 自動改札装置
JPH03212785A (ja) 記録媒体処理装置
JPH07334629A (ja) カードリーダ
JP2009099036A (ja) 媒体搬送装置
JPH03212788A (ja) 記録媒体処理装置
JPH06309510A (ja) 軟カード送り装置
JPH043307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