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877Y1 -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 - Google Patents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877Y1
KR200168877Y1 KR2019990017067U KR19990017067U KR200168877Y1 KR 200168877 Y1 KR200168877 Y1 KR 200168877Y1 KR 2019990017067 U KR2019990017067 U KR 2019990017067U KR 19990017067 U KR19990017067 U KR 19990017067U KR 200168877 Y1 KR200168877 Y1 KR 200168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haft
time
auxiliary shaft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제일
Original Assignee
박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일 filed Critical 박제일
Priority to KR2019990017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8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2Arrangements for indicating different local apparent times; Universal time pieces
    • G04B19/221Arrangements for indicating different local apparent times; Universal time pieces mechanisms for correcting the hours hand only, i.e. independently for minutes and seconds han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6Operation by rotation and axial movement with extra function of axial shift of operating element, e.g. crown combined with push butt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에서 구동기구(10)의 회전력을 받도록 연결되고, 상단에 시침(11)이 고정되는 구동축(13); 상기 구동축(13)의 외주면상에 탄성력에 의한 접촉 상태로 장착되고, 상단에 보조시침(21)이 고정되고, 하단의 외주면 상에 치형(23a)이 형성되는 보조축(23); 그리고 상기 보조축(23)을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도록 일단이 내측으로 상기 보조축(23)에 근접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스프링(25)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제 2 조절간(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따라, 타지역간의 이동시 도착 지역의 시간과 출발 지역의 시간을 동시에 표시하는 기능이 기계식 시계상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신뢰성있게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DUAL TIME ZONE WATCH}
본 고안은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지역간의 이동시 도착 지역의 시간과 출발 지역의 시간을 동시에 표시하는 기능이 기계식 시계상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신뢰성있게 수행되도록 하는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각종 육상 및 항공 교통수단의 발달과 더불어 여행, 사업 등의 목적으로 타지역을 방문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는 바, 현재의 시간을 표시하는 상태로 시차를 조절하여 방문지의 시간을 함께 나타내도록 하는 시계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식으로 작동되어 디스플레이에 숫자로 시간을 표시하는 디지털 시계의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상에 각각의 시간을 용이하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러한 시차표시 용도의 시계로 자주 사용된다.
그런데 시침, 분침, 초침이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기계식 시계는 시차표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복잡화되므로 시계의 중량이 크게 증가되어 착용이 불편한 것을 물론 조립성 및 정비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지역간의 이동시 도착 지역의 시간과 출발 지역의 시간을 동시에 표시하는 기능이 기계식 시계상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신뢰성있게 수행되도록 하는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계를 부분 절개하고 요부 상세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변형예에 따른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구동기구 11 : 시침
12 : 분침 13 : 구동축
13a : 치형 14 : 제 1 조절간
21 : 보조시침 23 : 보조축
23a, 24a : 치형 23b : 돌기
24 : 제 2 조절간 25 : 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단에서 구동기구(10)의 회전력을 받도록 연결되고, 상단에 시침(11)이 고정되는 구동축(13); 상기 구동축(13)의 외주면상에 탄성력에 의한 접촉 상태로 장착되고, 상단에 보조시침(21)이 고정되고, 하단의 외주면 상에 치형(23a)이 형성되는 보조축(23); 그리고 상기 보조축(23)을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도록 일단이 내측으로 상기 보조축(23)에 근접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스프링(25)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제 2 조절간(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13)은 원주상에서 일정한 폭과 간격으로 12등분하는 지점마다 톱니형상의 치형(13a)을 지닌다.
상기 보조축(23)은 상기 구동축(13)의 치형(13a)과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23b)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계를 부분 절개하고 요부 상세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구동축(13)은 하단에서 구동기구(10)의 회전력을 받도록 연결되고 상단에 시침(11)이 고정되는 구성에 있어 종래의 기계식 또는 아날로그식 시계와 다르지 않다. 구동기구(10)는 태엽이나 진동자 등의 동력원과 기어 트레인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구동축(13)의 외주면상에 보조축(23)이 탄성력에 의한 접촉 상태로 장착된다. 보조축(23)의 상단에는 보조시침(21)이 고정되고, 하단의 외주면 상에는 치형(23a)이 형성된다. 보조시침(21)은 상기한 시침(11)과 다른 색상으로 도색을 하거나 길이를 다르게 하여 구분이 명확하도록 한다. 보조축(23)의 치형(23a)은 둥근나사형보다는 삼각나사형이나 톱니나사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제 2 조절간(24)이 상기 보조축(23)을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도록 일단이 내측으로 상기 보조축(23)에 근접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스프링(25)을 개재하여 장착된다. 정확한 시간을 세팅하기 위한 제 1 조절간(14)은 통상적으로 분침(12)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구성인 반면 본 고안의 제 2 조절간(24)은 누르면 전진하고 놓으면 스프링(25)의 탄성력으로 후진하여 복귀하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구동축(13)은 원주상에서 일정한 폭과 간격으로 12등분하는 지점마다 톱니형상의 치형(13a)을 지니고, 보조축(23)은 상기 구동축(13)의 치형(13a)과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23b)를 지닌다. 돌기(23b)는 구동축(13)에 형성되는 치형(13a)과 맞물리는데, 보조축(23)의 외주면의 일부를 절개한 다음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래칫(ratchet) 기구의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는 치형(13a) 상에 복수의 돌기(23b)가 동시에 안착되도록 한다. 돌기(23b)가 소재 자체의 탄성력으로 치형(13a)과 맞물리므로 보조축(23)과 구동축(13)은 평상시 함께 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시간을 나타내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돌기(23b)는 가급적 구동축(13)의 치형(13a)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며 안착될 수 있는 길이로 절개하여야 시간조절을 하지 않는 정상작동 상태에서 탄성력을 증대하고 시간조절 작동에 따른 마모를 줄이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3??는 도 1의 분침(1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요 작동을 설명한다.
외부에서 제 2 조절간(24)을 누르면 제 2 조절간(24)의 내측단의 치형(24a)이 보조축(23)의 치형(23a)과 맞물리면서 보조축(23)이 B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복수의 돌기(23b)는 동시에 원래의 치형(13a)을 이탈하여 이웃하는 다음의 치형(13a)에 안착된다. 치형(13a)이 12개이므로 보조축(23)은 정확하게 1시간을 뒤로 이동하며 보조시침(21)이 시침(11)과 한 시간 차이가 난다. 제 2 조절간(24)을 놓으면 시차 조절이 종료되고 보조축(23)은 돌기(23b)를 통해 구동축(13)에 맞물려 A방향으로 연동되면서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예를 들어 시차가 두시간 늦도록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 2 조절간(24)을 두 번 누르면 보조시침(21)이 시침(11)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시차가 두시간 빠르도록 조절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 2 조절간(24)을 열번 누르면 보조시침(21)이 시침(11)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동작을 위해 제 2 조절간(24)은 평상시 스프링(25)의 힘으로 후진하여 그 선단의 치형(24a)이 보조축(23)의 치형(23a)과 맞물리지 않는 위치에 머무르는 상태가 되고, 시차조절을 위해 누르는 동안만 스프링(25)을 압축하며 전전하여 보조축(23)을 강제로 회전시키게 된다. 제 2 조절간(24)의 왕복운동시 행정거리는 보조축(23)을 30°이상 회전시켜 돌기(23b)의 맞물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한다.
돌기(23b)의 수는 보조축(23)의 탄성력을 고려하여 3∼4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23b)가 많아지면 구동축(13)과 보조축(23)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보조시침(21)이 견실하게 지지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 2 조절간(24)을 누르는 작동력이 커져 시차조절 작동이 불편해지고 실제 제작에 있어서 가공성 및 조립성이 불량해진다.
도 3은 도 2의 변형예에 따른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3은 구동축(13)의 치형(13a) 및 보조축(23)의 돌기(23b)가 각각 도 2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내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시에서 A 및 B로 나타내는 것처럼 보조시침(21)은 시침(1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의 제 2 조절간(24)을 시계 본체상에서 180°회전된 반대 방향에 설치하면 시간 조절을 위한 작동도 동일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구성에서는 제 2 조절간(24)을 누를 때마다 시간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제 2 조절간(24)을 당길 때마다 시간이 조절되도록 하는 변경도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는 타지역간의 이동시 도착 지역의 시간과 출발 지역의 시간을 동시에 표시하는 기능이 기계식 시계상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신뢰성있게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단에서 구동기구(10)의 회전력을 받도록 연결되고, 상단에 시침(11)이 고정되는 구동축(13);
    상기 구동축(13)의 외주면상에 탄성력에 의한 접촉 상태로 장착되고, 상단에 보조시침(21)이 고정되고, 하단의 외주면 상에 치형(23a)이 형성되는 보조축(23); 그리고
    상기 보조축(23)을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키도록 일단이 내측으로 상기 보조축(23)에 근접하고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스프링(25)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제 2 조절간(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3)은 원주상에서 일정한 폭과 간격으로 12등분하는 지점마다 톱니형상의 치형(13a)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축(23)은 상기 구동축(13)의 치형(13a)과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23b)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
KR2019990017067U 1999-08-18 1999-08-18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 KR200168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067U KR200168877Y1 (ko) 1999-08-18 1999-08-18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067U KR200168877Y1 (ko) 1999-08-18 1999-08-18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877Y1 true KR200168877Y1 (ko) 2000-02-15

Family

ID=1958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067U KR200168877Y1 (ko) 1999-08-18 1999-08-18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8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3539B2 (ja) 腕時計ムーブメント用の歯車装置
KR101174535B1 (ko) 크리스털의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도파관을 포함하는 시계
JP4672814B2 (ja) 可変の時間の環を有する時計
US200600077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moon image cycle, in particular for a watch
CN112213934B (zh) 具有弹性指针的钟表显示机构
US8724430B2 (en) Retrograde display mechanism and timepiece having the same
GB2154767A (en) Electronic timepiece
JP4453645B2 (ja) 時計の表示装置、ムーブメント、および時計
KR200168877Y1 (ko) 이중 시간대를 표시하는 시계
US5172350A (en) Timekeeping device
EP0310416A2 (en) Timepiece
JP4947119B2 (ja) 時計
CN212009294U (zh) 手表
KR19990006733A (ko) 시계에서 일련의 톱니바퀴를 위한 톱니바퀴-분리 장치
KR102110034B1 (ko) 모듈형 손목시계
JPH0120709Y2 (ko)
KR102290586B1 (ko) 벽시계
JPWO2006064557A1 (ja) 複数タイプの運針輪列を含む多機能時計
US3944795A (en) Setting mechanism for digital display devices
JPH0648459Y2 (ja) 時計における歯車の回転位置規制構造
JP3699065B2 (ja) からくり時計
CN213780663U (zh) 一种手表机芯及手表
CN110794664A (zh) 手表
JP4858418B2 (ja) 時計
KR20180129314A (ko) 아날로그 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