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323Y1 -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323Y1
KR200168323Y1 KR2019990016478U KR19990016478U KR200168323Y1 KR 200168323 Y1 KR200168323 Y1 KR 200168323Y1 KR 2019990016478 U KR2019990016478 U KR 2019990016478U KR 19990016478 U KR19990016478 U KR 19990016478U KR 200168323 Y1 KR200168323 Y1 KR 200168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ste
pipe
ash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금래
Original Assignee
정금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금래 filed Critical 정금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3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의 소각 처리시 발생된 매연과 재를 완전히 정화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쓰레기 처리장치는,
컨베이어(12,12a,12b,…)로 공급되는 쓰레기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상기 쓰레기로부터 불연성 쓰레기와 가연성 쓰레기를 각각 분리시켜 별도의 통로로 배출하는 건조실(1)과; 상기 건조실(1)에서 분리 배출된 가연성 쓰레기를 연소시키는 연소실(2)과; 상기 연소실(2)에서 발생된 매연을 매연배출관(26)으로 공급받아서 정화 처리하는 매연정화실(5)과; 연소실(2)에서 발생된 재가 이송스크류(22)를 따라 공급되면, 그 재를 열탕 처리하여, 상기 재 속에 포함되어 있는 독소를 제거하는 독소제거실(3)과; 독소제거실(3)에서 배출된 잿물을 증발 처리하여 무독성의 재만 남도록 하는 탈수실(4)과; 상기 연소실(2)과 독소제거실(3) 사이 및 상기 독소제거실(3)과 탈수실(4) 사이에 설치하여 잿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권상기(25,25A); 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BURNING UP TRASH}
본 고안은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매립법과 소각법이 있는데, 매립법에 의한 쓰레기 처리는 토양과 하천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고, 소각법에 의한 쓰레기의 처리는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쓰레기를 소각하는 때에는, 인체에 매우 해로운 질화기체(NOx)와 다이옥신(남자의 생식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환경물질 : DIOXIN)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산화탄소와 수분이 다량 포함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그대로 배출되어 이상기후를 유발시킬 우려도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소각법에 의한 쓰레기 처리가 대종을 이루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쓰레기를 소각 처리할 때 발생되는 매연과 재를 완전히 정화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쓰레기를 소각할 때 배출되는 재를 퇴비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처리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2a는 본 고안에 의한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실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2b는 상기 도2a에 도시한 컨베이어의 개략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연소실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독소제거실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5는 상기 도4에 도시된 독소제거기만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6a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실을 도시한 단면도,
도6b는 상기 도6a에 도시된 컨베이어의 개략 구성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매연정화실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1...건조실, 2...연소실,
3...독소제거실, 4...탈수실,
5...매연정화실, 11...투입구,
12...컨베이어, 13...스프로킷,
14...체인, 15...스트립,
16...분사기(블로워), 17...스크린,
18...배출구, 19...열관,
21...화격자, 22...이송스크류,
23...외벽체, 24...모터,
25...권상기, 26...매연배출관,
31...유동관, 32...바이패스관,
33...가열재킷, 34...소독조,
35...교반날개, 36...스프로킷,
37...체인, 39A...핸들,
39B...플랩, 41...분쇄롤,
42...배출관, 43...컨베이어,
51...스프레이어, 52...칸막이,
53...회수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장치에서 쓰레기가 소각 처리된 다음, 퇴비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먼저, 다수개의 컨베이어(12,12a,12b,…)가 상하로 설치된 건조실(1)에서, 소각 처리하려는 쓰레기가 잘 탈 수 있도록 건조시킨 다음, 유리병이나 뼈다귀 같은 불연성 쓰레기와 종이류의 가연성 쓰레기를 분리하여, 불연성 쓰레기는 별도의 통로를 통해 밖으로 배출하고, 가연성 쓰레기만 연소실(2)로 도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연소실(2)로 도입된 마른 상태의 쓰레기는, 연소실(2)에 설치된 화격자(21)상에서 완전히 연소되어 매연과 재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상기 연소에 따른 부산물중 매연은, 매연배출관(26)을 통해 본 고안의 매연정화실(5)로 도입되어서 이곳에서 청정 처리되고, 재는 독소제거실(3)로 보내어져 열탕(熱湯)처리된다.
한편, 상기 독소제거실(3)에서 배출된 잿물(재와 물의 혼합액)은, 탈수실(4)에서 완전히 증발 처리되어 무독성의 재만 남기게 되는데, 상기 무독성의 재는 덩어리져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塊狀化), 분쇄롤(41)을 이용하여 잘게 분쇄한 다음, 토출관 혹은 퇴비실과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밖으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쓰레기 처리장치로 쓰레기를 소각 처리하는 경우에는, 극히 적은 량의 무독성 재만 발생시키게 되며, 더욱이 상기의 무독성 재도 퇴비로 만들어서 이용하게 되므로, 환경보전에 대단히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쓰레기를 연속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종래의 어떤 시설보다도 쓰레기 처리능력이 우수하고, 적은 인원으로도 충분히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의 장치에 워터재킷과 같은 설비 및 발전설비를 갖추는 경우에는, 예컨대 본 고안의 장치를 대규모화 한 경우에는, 열병합 발전설비로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중 도2a는, 상술한 본 고안의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요소 중 건조실(1)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도1 참조).
상기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조실(1) 내부에는 상하로 다수개의 컨베이어(12,12a,12b,…)가 배치되어 있으며, 쓰레기 투입구(11)가 설치되어 있는 면(또는 벽)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는 열관(19)이 배설되어 있다.
이 열관(19)은, 상기 건조실(1)에 투입된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증발시켜, 연소실에서 쓰레기가 잘 연소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 수단이다.
한편, 소각 처리할 쓰레기 량이 적은 경우, 상기의 쓰레기 투입구(11)는 도2a에 도시한 것처럼 손으로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해야 하지만, 쓰레기 처리량이 대량인 경우에는 항상 쓰레기가 연속하여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를 완전히 개방시켜 놓음과 동시에 상기 투입구까지 쓰레기 운반용 컨베이어(미도시)를 설치하여, 쓰레기의 대량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최하단 컨베이어(12b)의 끝단 위치에 해당되는 건조실의 바닥에는, 뼈다귀나 유리병과 같은 불연성 쓰레기를 종이와 같은 가연성 쓰레기로부터 분리시켜 배출하는 배출구(18)를 형성하고, 이 배출구(18)로부터 약간 간격을 두고 그 앞쪽 바닥에는 후술할 연소실과 연결되어 있는 배출구(18a)를 형성한다.
상기의 쓰레기 분리작업은,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것처럼, 최하단 컨베이어와 건조실의 바닥 사이에 설치된 분사기(16)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의 분사기(16)를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는 공기는 적절한 압력으로 조절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병이나 뼈다귀 같이 무거운 불연성 쓰레기는 아래로 떨어진 다음 스크린(17)을 따라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지만, 종이와 같이 가벼운 가연성 쓰레기는 배출구(18a)나 벽면 쪽으로 날려서 연소실 쪽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첨부도면중 도2b는, 상기 도2a에 도시한 컨베이어(12,12a,12b,…)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 사시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12,12a,12b,…)는 체인 구동방식(chain drive)으로 구동된다.
즉, 본 고안의 컨베이어(12,12a,12b,…)는, 다수개의 스트립(15)을 일정 간격으로 배설한 다음, 그 양단부에 체인(또는 체인과 유사한 구조물)(14)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체인(14)의 피팅간격과 동일한 간격의 피치를 갖는 스프로킷(13)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스프로킷(13)은 그 자신이 축착되어 있는 축과 연결된 모터(미도시)의 회전작용에 의해 구동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연소실(2)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도1 참조).
상기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소실(2)은, 상면(또는 벽)의 중앙부위나 일 측면의 상단부위에 긴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긴 슬릿과 건조실(1)의 배출구(18a)가 통로(28)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소실(2)의 바닥면은 중앙에 있는 재 배출구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져 있으며, 상기 재 배출구가 끝나는 하단면에는 상기 연소실(2)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외벽체(23)가 연설되어, 그 내부로 이송스크류(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22)는 어느 한쪽 끝에 전동 체결되어 있는 모터(24)에 의해서 회전된다.
따라서, 바싹 건조시킨 가연성 쓰레기가 배출구(18a)와 연결된 통로(28)로부터 상기 연소실(2) 내로 도입되어 화격자(21)상에 고루 흩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화격자(21) 아래에 배설된 버너에 의해서(불꽃) 연소작용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의 연소작용에 의해서 다량의 매연과 재가 발생되는데, 이중 상기 매연은, 연소실(2)과 연통 설치된 매연배출관(26)을 통해 매연정화실(5)내로 도입되어 정화 처리되고, 상기 재는, 연소실(2)의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이송스크류(22)가 내장되어 있는 외벽체(23) 내로 떨어져서 모이게 된다.
따라서, 모터(24)에 의해서 이송스크류(22)가 구동되면, 외벽체(23) 내에 쌓인 재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송스크류(2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재들은, 상기 외벽체(23)의 앞쪽으로 연설된 관로를 지나면서, 상기 관로상에 설치된 스프레이어에서 분사된 물과 뒤섞여서 권상기(스크레이퍼형 컨베이어)(25)쪽으로 흘러나간다.
한편, 상기 권상기(25)의 표면에는 마치 두레박과 같은 구조물을 다수개 설치함으로서, 권상기(25)쪽으로 흘러들어 온 잿물을 퍼 올려 독소제거실에 배설된 독소제거기에 공급할 수 있게 하였다.
첨부도면중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독소제거실(3)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도1 참조)로서, 이 독소제거실(3)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여러 가지 독성 물질이 내포되어 있는 재를 열탕 처리하여 무독성으로 변화시킨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독소제거실(3)에는 상하로 다수개의 독소제거기가 배설된다.
한편, 이들 독소제거기의 사이는 각각 유동관(31,31a,…)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권상기(25)에서 퍼 올려진 잿물은 최상층의 독소제거기와 연결된 관로를 따라, 위에서 아래로 연속하여 이동할 수가 있다.
이들 독소제거기는 도5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체 형상으로 된 소독조(34)의 외면에 가열재킷(33)이 설치되고, 또한 각 소독조(34)의 상면 중앙부를 관통하는 축 하단면에 도4와 같이 브러시 형태의 교반날개(35)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소독조(34)의 하단부와 상단부에는 잿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유동관(31,31a,…)을 설치하고, 특히 소독조(34)의 상단부에서 상기 권상기(25)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이패스관(32)을 설치하여, 상기 소독조로 들어오는 잿물의 양이 배출되는 잿물의 양보다 많거나 또는 소독조 내에서 잿물이 비등하여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여기서, 상기 교반날개(35)는 하면에 짧은 길이의 와이어가 심어져 있는 브러시 형태이므로, 상기 교반날개의 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로킷(36)과 체인(37)으로 연결된 모터 축상의 스프로킷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소독조(34)의 바닥면을 마치 솔질하듯이 브러시로 긁으면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최하측 소독조의 하단부에는, 도4에 도시된 것처럼 그 위에 배설되어 있는 엘보관 형상의 유동관과는 다른 형태의 'Y'형관이 설치되는데, 이 'Y'형관의 합관부위에는, 밖으로 드러나 있는 크랭크축 형상의 핸들(39A) 조작방향에 따라 어느 한쪽의 관로를 폐쇄시키게 되는 플랩(39B)이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독소제거실(3) 내를 연속해서 이동하는 잿물이 일정한 온도, 예를 들면 소독조(34)나 유동관(31,31a,…)에 설치한 온도감지수단에서 검출한 값이 100℃에 도달하면, 상기의 핸들(39A)을 조작하여 잿물이 다른 쪽에 설치된 권상기(25A) 안으로 유입되게 한다.
이 권상기(25A)는 그 구성과 작용이 앞서 설명한 권상기(25)와 똑같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기의 권상기(25A) 내에 도입된 뜨거운 잿물은, 도6a에 도시된 본 고안의 탈수실(4)로 유입되어 증발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탈수실(4)에 설치되는 컨베이어(43,43a,…)는 3개의 회전축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한다.
이 컨베이어(43,43a,…)는 도6b에 도시된 것처럼,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판금가공에 의해서 둥글게 말린 다수개의 스트립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구동방식은 체인 구동방식이다.
따라서, 대체로는 앞서 설명한 컨베이어(12,12a,12b,…)와 같다.
한편, 상기 탈수실(4)내에 배설되는 컨베이어들 중에서, 최하단에 놓이는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측 선단이 놓이는 지점의 바닥면에는 한 쌍의 분쇄롤(41)이 설치되며, 그 앞쪽으로, 권상기(25a)와 연통되는 배출관(4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42)의 일 지점으로부터 무독성의 재가 배출되는 측관이 연설되며, 상기 측관과 배출관이 만나는 부위에는 핸들조작에 따라 해당 관로를 개폐하는 플랩이 설치된다(도5 참조).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탈수실(4)에 뜨거운 잿물이 도입되어, 최상측의 컨베이어에서 최하측의 컨베이어로 잿물이 흘러내리면, 상기 탈수실(4)에 제공된 열관으로부터의 공급열에 의해서 잿물의 증발이 일어나게 되지만, 잿물을 완전히 증발시켜 무독성의 재만 남도록 하기 위해서는, 잿물을 계속하여 순환시켜야 한다.
이러한 잿물의 연속 순환은, 배출관(42)과 측관이 만나는 곳에 설치된 플랩을 플랩조향용 핸들로 위치 변동시켜서, 배출관은 오픈상태로 측관은 폐쇄상태로 둠으로서 달성되지만,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는 더이상의 잿물이 탈수실(4)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권상기(25,25A)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게 구성하거나, 또는 권상기에 접속되는 파이프(관)의 접속위치를 가급적이면 위쪽으로 하여, 권상기의 케이싱 내에 잠정적으로 체류되는 잿물의 양이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되풀이 하여 잿물을 완전히 증발시키면 무독성의 재만 남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무독성의 재가 덩어리지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이 상태로는 측관을 통해 밖으로 배출시킬 수가 없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탈수실(4)의 바닥면 부근에 한 쌍의 분쇄롤(41)를 설치하여, 덩어리진 재를 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독성이 완전히 제거된 재는 배출관에서 분기된 측관을 따라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첨부도면중 도7은 본 고안의 매연정화실(5)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의 도면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매연정화실(5)은 다수개의 칸막이(52)로 내부공간이 상하 구분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52)에 의해서 상하로 구분된 내부공간의 상측에는 스프링클러와 같은 스프레이어(51)가 배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내부공간은 파이프에 의해서 서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위층으로 기체(매연)가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53은 정화 처리된 기체를 다시 매연정화실(5)로 도입하는 회수관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이 회수관을 통상의 배출관에 직결하여 대기 중으로 기체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쓰레기를 태울 때 발생하는 매연이 본 고안의 매연정화실(5)에서 완전히 정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연과 동시에 발생되는 재는 본 고안의 독소제거실(3)에서 그 독성이 완전히 제거되어 배출됨으로 퇴비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다이옥신과 질화기체가 매연정화실(5)에서 물에 용해되어, 대기중에는 전혀 배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쓰레기가 연속하여 자동 처리됨으로, 적은 인원으로도 장치의 유지 보수를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쓰레기를 소각 처리하는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12,12a,12b,…)로 공급되는 쓰레기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상기 쓰레기로부터 불연성 쓰레기와 가연성 쓰레기를 각각 분리시켜 별도의 통로로 배출하는 건조실(1)과;
    상기 건조실(1)에서 분리 배출된 가연성 쓰레기를 연소시키는 연소실(2)과;
    상기 연소실(2)에서 발생된 매연을 매연배출관(26)으로 공급받아서 정화 처리하는 매연정화실(5)과;
    상기 연소실(2)에서 발생된 재가 이송스크류(22)를 따라 공급되면, 그 재를 열탕 처리하여, 상기 재 속에 포함되어 있는 독소를 제거하는 독소제거실(3)과;
    상기 독소제거실(3)에서 배출된 잿물을 증발 처리하여 무독성의 재만 남게 하는 탈수실(4)과;
    상기 연소실(2)과 독소제거실(3) 사이 및 상기 독소제거실(3)과 탈수실(4) 사이에 설치하여 잿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권상기(25,25A);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1)은,
    상면 또는 일 측면에 쓰레기 투입용의 투입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컨베이어(12,12a,12b,…)가 배치되며, 상기 쓰레기 투입구(11)가 설치된 면을 제외한 면에는 열관(19)이 배설되고, 상기 건조실의 바닥면에는 스크린(17)이 설치된 불연성 쓰레기 배출용의 배출구(18)와 가연성 쓰레기 배출용의 배출구(18a)가 형성되며, 상기 최하단의 컨베이어와 건조실의 바닥면 사이에는 분사기(1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2)은,
    건조실(1)의 배출구(18a)와 통로(28)에 의해 연결되는 슬릿이 상면이나 일 측면에 형성되고, 바닥면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재 배출구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져 있으며, 상기 재 배출구의 하단면에 외벽체(23)가 연설되어 그 내부에 이송스크류(22)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22)의 어느 한쪽 끝에 모터(24)가 전동 체결되며, 바닥면과 상면 사이의 적정위치에 화격자(21)가 설치되고, 상기 화격자(21)의 아래쪽에 통상의 버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독소제거실(3)은,
    상하로 배설되는 독소제거기 사이를 유동관(31,31a,…)으로 연결하여, 상기 연소실(2)에서 흘러나온 잿물이 위에서 아래로 연속해서 이동 가능하게 하되, 상기 독소제거기중 최상측에 배설되는 독소제거기의 상단부에는, 상기 연소실(2)에서 흘러나온 잿물을 퍼 올리는 권상기(25)와 연통되게 관로를 배관하고, 최하측에 배설되는 독소제거기의 유동관으로는 'Y'형관을 배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독소제거기는,
    원통체 형상으로 된 소독조(34)의 외면에 가열재킷(33)이 설치되고, 각 소독조(34)의 상면 중앙부를 관통하는 축 하단면에는 교반날개(35)가 장착되며, 상기 교반날개의 축상에 축착된 스프로킷(36)은 모터 축에 축착된 스프로킷과 체인(37)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독조(34)의 상단부에는 권상기(25)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바이패스관(3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의 독소제거기에는 잿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감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실(4)은,
    3개의 회전축으로 지지되는 다수개의 컨베이어(43,43a,…)가 상하로 배설되고, 상기 컨베이어들 중에서 최하단에 놓이는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측 선단이 놓이는 지점의 바닥면에 한 쌍의 분쇄롤(41)이 설치되며, 그 앞쪽으로는 권상기(25a)와 연통되는 배출관(42)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배출관(42)의 일 지점으로부터 측관이 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연정화실(5)은,
    다수개의 칸막이(52)로 내부공간이 상하 구분되고, 상기 칸막이(52)에 의해서 상하로 구분된 내부공간의 상측에는 스프레이어(51)가 배설되며, 각각의 내부공간은 파이프에 의해서 서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990016478U 1999-06-25 1999-08-12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683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502 1999-06-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502 Division 1999-06-25 1999-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323Y1 true KR200168323Y1 (ko) 2000-02-15

Family

ID=1957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478U KR200168323Y1 (ko) 1999-06-25 1999-08-12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3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8346A1 (en) * 2003-10-18 2005-04-28 Kum Rei Cheng Waste treatment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8346A1 (en) * 2003-10-18 2005-04-28 Kum Rei Cheng Waste treatme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28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incineration of sewage sludge
BG62666B1 (bg) Метод и съоръжение за обезводняване на състоящ се от частицинасипен материал
US4089277A (en) Solid waste disposal
KR200168323Y1 (ko) 쓰레기 처리장치
JP4235317B2 (ja) 揮発性有機化合物を含む汚染土壌の浄化装置
KR200226144Y1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200280671Y1 (ko) 쓰레기소각로에 연계된 폐기물 건조장치
KR100414397B1 (ko) 폐기물 소각열의 재활용 시스템
KR20000054505A (ko) 소각로의 폐기물 건조 및 소각장치
KR100261586B1 (ko) 에너지절약형 유동층 슬러지 소각시스템
KR20010103331A (ko) 슬러지와 폐기물 소각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6586252B1 (ja) 汚泥乾燥キャリアガスの処理システム
KR100249104B1 (ko) 산업폐기물 소각방법 및 그 장치
CN106765175B (zh) 生活垃圾焚烧处理系统
KR200199740Y1 (ko) 슬러지와 폐기물 소각처리장치
JP3510511B2 (ja) 焼却炉
KR200167783Y1 (ko) 쓰레기 처리용 청정기
CN217402562U (zh) 一种高效节能通风除臭焚烧垃圾处理装置
KR100192162B1 (ko) 쓰레기 소각장의 폐가스냉각장치
CN220707354U (zh) 一种污盐焚烧综合利用装置
KR940006871B1 (ko) 쓰레기 소각장치
KR20010077414A (ko) 다단 화격자식 소각로
KR200300314Y1 (ko) 슬러지 소각처리장치
KR200172826Y1 (ko) 다단식 옹기가마형 쓰레기 처리장치의 젖은 쓰레기건조이송장치
KR0155189B1 (ko) 산업폐기물의 탄화소각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