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871B1 - 쓰레기 소각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소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871B1
KR940006871B1 KR1019920003988A KR920003988A KR940006871B1 KR 940006871 B1 KR940006871 B1 KR 940006871B1 KR 1019920003988 A KR1019920003988 A KR 1019920003988A KR 920003988 A KR920003988 A KR 920003988A KR 940006871 B1 KR940006871 B1 KR 94000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incineration
purification chamber
chambe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086A (ko
Inventor
김남규
Original Assignee
김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규 filed Critical 김남규
Priority to KR101992000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871B1/ko
Publication of KR93002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2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conveyors
    • F23G2205/122Belt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쓰레기 소각장치
첨부도는 본 발명 장치를 전체적으로 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내한 부호의 설명
A : 쓰레기투입부 B : 쓰레기소각부
C : 증기발생부 D : 정화부
1 : 쓰레기투입실 2 : 쓰레기낙하구
3 : 쓰레기이송용콘베어벨트 4 : 공기흡입관
10 : 동력전달풀리 24 : 송풍팬
25 : 회전축 26 : 제네레이터
30 : 담수조 31 : 제1정화실
32 : 제2정화실 33 : 제3정화실
34 : 물분무노즐 35 : 탄소봉
36 : 물순환관 37 : 여과석재
본 발명은 각종 쓰레기 중에서 소각이 가능한 가연성 쓰레기를 다량으로 소각시킬 수 있는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구조와 생활개선 등으로 인해 생기는 쓰레기는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량 또한 메우 엄청나서 처리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더욱이 쓰레기 중에서는 비교적 많은 부피를 갖게 되는 가연성 쓰레기가 날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게 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매립이나 소각 방법을 택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그많은 량을 매립하기 위해서 대단위의 매립지를 필요로하게 되며, 매립 후에 발생되는 여러가지의 부작용(예 : 부패, 부식 등에 의한 가스발생 등)이 발생되어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며, 소각장치를 이용한 처리 과정에서도 소각 과정이 미비하여 생기는 문제점 때문에 어려움이 많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 알려지고 있는 여러가지의 소각장치는 단순히 소각시키는 장치에 불과한 것으로, 여기에서 생기는 매연이나 악취 또는 분진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은 해결치 못했고, 소각시에 발생되는 고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쓰레기투입구에서부터 악취를 제거시키고 소각시에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증기 터빈으로 전기 에너지를 자체에서 얻을 수 있으며, 소각시에 발생되는 매연이나 분진 또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여과시켜 대기에 배출 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쓰레기투입부(A), 쓰레기소각부(B), 증기발생부(C), 정화부(D)가 상호 연통되도록 소각장치를 구성하며 쓰레기투입부(A)에는 저면에 쓰레기낙하구(2)가 형성된 쓰레기투입실(1)을 두고 쓰레기낙하구(2)의 하방에는 쓰레기이송용 콘베어벨트(3)을 설치하며, 투입실(1)에서 연장된 공기흡입관(4)를 연통시키고, 쓰레기소각부(B) 내에는 쓰레기이송재치대(10)와 쓰레기눌름콘베어벨트(11) 및 소각버어너(12)를 설치하고 소각부(B)의 벽면에는 합성수지용융스크류(13)과 분쇄기(14)를 설치했으며, 증기발생부(C)에는 상단에 증기분사노즐(21)이 형성된 다단 보일러(20)이 서로 연통되게 설치하며, 보일러(20) 상부에는 임펠러(22)와 동력전달풀리(23) 및 송풍팬(24)을 갖는 회전축(25)을 설치하되 임펠러(22)는 증기분사노즐(21) 상부에 있도록 하고, 동력전달 풀리(23)은 제네레이터(26)에 연결시키고, 정화부(D) 상부에는 담수조(30)을 설치하고, 내부에는 제 1정화실(31), 제 2 정화실(32) 및 제 3 정화실(33)으로 구획하여, 제 1 정화실(31)의 천정에는 물분무노즐(34)를 설치하고, 제 2 정화실(32)에는 다수개의 탄소봉(35)와 담수조(30)으로 연통된 물순환관(36)을 설치하며, 제 3 정화실(33)에는 여과석재(37)을 채워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은 소각재퇴적실, 41은 브러쉬, 42는 보일러의 수위계측기, 43은 물공급펌프, 44는 오수배출통로, 45는 물순환펌프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쓰레기투입부(A)에 설치된 쓰레기투입구(1)에 쓰레기를 밀어 넣으면 저면낙하구(2)를 통해 쓰레기이송용콘베어벨트(3) 위에 재치되면서 소각부(B)로 이송되어 다시 이송재치대(10)로 옮겨진다.
이송재치대(10)의 전·후·상·하 운동에 의하여 쓰레기는 점차적으로 소각부(B) 내의 버어너(12) 위로 옮겨져 소각되며, 가연성 쓰레기는 비교적 부품림이 심하게 됨으로, 이송용콘베어벨트(3)에서 이송될때 쓰레기눌름콘베어벨트(11)가 눌려주게 되어 안전하게 소각부(B) 내로 이송되는 것이다.
소각부(B) 내에서 발생되는 열은 증기발생부(C) 내에 설치된 보일러(20)의 물을 가열시키게 되고, 보일러(20)에서 발생되는 고압의 증기는 증기분사노즐(21)을 통해 분사되면서 노즐(21) 위에 설치된 임펠러(22)를 고속 회전시키며, 임펠러(22)와 같이 축설된 동력전달풀리(23)는 제네레이터(26)를 회전시켜 상당량의 전력을 얻을 수가 있으며, 여기서 얻어진 전력은 본 발명 소각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충당할 수가 있게 되는것이다.
회전축(25)에 축설된 송풍팬(24)에 의하여 소각부(B) 내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분진과 가스는 정화부(D)로 보내지며, 소각된 재는 퇴적실(41)에 쌓이게 한 다음, 수거하여 버리면 된다.
그리고 쓰레기투입실(1)과 연통된 공기흡입관(4)으로는 쓰레기 투입실(1) 내의 악취가 소각부(B)로 유입되어 제거됨으로, 악취 발생을 막아주게 되고, 쓰레기눌름콘베어벨트(11) 위에 설치된 브러쉬(42)는 소각되면서 쓰레기눌름콘베어벨트(11)를 따라 나오는 쓰레기를 소각부(B) 내로 밀어 넣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소각부(B) 내벽에 설치된 합성수지용융스크류(13)에서는 별도로 분리 수거된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재활용 할 수가 있게 되고, 쓰레기이송재치대(10)에서 낙하되는 미소각 쓰레기는 분쇄기(14)에서 분쇄되면서 재소각 되어 낙하된다.
송풍팬(24)에 의해 정화부(D)로 유입되는 분진과 가스는 제 1 정화실(31)로 유입되면서 천정에 설치된 분무노즐(34)에서 간헐적으로 분무되는 물에 의해 분진이 물과 혼합되어 바닥으로 낙하되며, 제 2 정화실(32)을 통과할때는 탄소봉(35)에 의하여 유해 가스가 제거되고 정화부(D)의 상부에 설치된 담수조(30)에는 항시 찬물이 담겨있고, 담수조(30)과 연통된 제 2 정화실(32)의 물순환관(36)으로는 항시 찬물이 순환되고 있어서, 정화부(D)의 내부온도와 이슬점 온도차가 생기게 되어 정화부(D)의 내부에 이슬이 맺혀 있게 되어, 분진 제거에 도움을 주게 된다. 유해 가스와 분진이 제거된 공기는 마지막 여과단계인 제 3 정화실(33)의 여과석재(37)를 통과하면서 깨끗이 정화되어 대기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연성 쓰레기의 투입에서부터 소각 및 유해가스와 분진제거 과정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지며, 효과적으로 처리되어 가장 문제가 되어 왔던 환경오염 문제로 해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쓰레기투입부(A), 쓰레기소각부(B), 증기발생부(C), 정화부(D)가 상호 연통되도록 소각장치를 구성하여 쓰레기투입부(A)에는 저면에 쓰레기낙하구(2)가 형성된 쓰레기투입실(1)을 두고 쓰레기낙하구(2)의 하방에는 쓰레기이송용콘베어벨트(3)을 설치하며, 쓰레기투입실(1)에서 연장된 공기흡입관(4)를 연통시키고 쓰레기 소각부(B) 내에는 쓰레기 이송재치대(10)와 쓰레기눌름콘베어벨트(11) 및 소각버어너(12)를 설치하고 소각부(B)의 벽면에는 합성수지용융스크류(13)과 분쇄기(14)를 설치했으며, 증기발생부(C)에는 상단에 증기분사노즐(21)이 형성된 다단 보일러(20)이 서로 연통되게 설치하며, 보일러(20) 상부에는 임펠러(22)와 동력전달풀리(23) 및 송풍팬(24)을 갖는 회전축(24)를 설치하되 임펠러(22)는 증기분사노즐(21) 상부에 있도록 하고 동력전달풀리(23)은 제네레이터(26)에 연결시키고 정화부(D) 상부에는 담수조(30)을 설치하고 내부에는 제 1 정화실(31), 제 2 정화실(32) 및 제 3 정화실(33)로 구획하여 제 1 정화실(31)의 천정에는 물분무노즐(34)를 설치하고 제 2 정화실(32)에는 다수개의 탄소봉(35)와 담수조(30)으로 연통되는 물순환관(36)을 설치하며, 제 3 정화실(33)에는 여과석재(37)을 채워서된 쓰레기 소각장치.
KR1019920003988A 1992-03-11 1992-03-11 쓰레기 소각장치 KR94000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988A KR940006871B1 (ko) 1992-03-11 1992-03-11 쓰레기 소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988A KR940006871B1 (ko) 1992-03-11 1992-03-11 쓰레기 소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086A KR930020086A (ko) 1993-10-19
KR940006871B1 true KR940006871B1 (ko) 1994-07-28

Family

ID=1933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988A KR940006871B1 (ko) 1992-03-11 1992-03-11 쓰레기 소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827B1 (ko) * 1999-07-22 2002-06-07 이종식 폐합성수지 연소장치
KR100354920B1 (ko) * 1999-07-23 2002-09-30 (주)오토엠아이티 감염성 폐기물의 열분해처리장치
KR100355154B1 (ko) * 1999-09-03 2002-10-11 채낙두 소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086A (ko) 199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0669A (en) Process for disposal of combustible waste
EP0563482B1 (en) Method for processing waste comprising drying by sublimation prior to incineration
KR101417233B1 (ko) 2 단 선회 유동층식 소각로에 의한 폐기물의 소각 처리 방법
KR100734092B1 (ko) 자체 에너지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940006871B1 (ko) 쓰레기 소각장치
KR100983853B1 (ko) 슬러지건조로
KR100299675B1 (ko) 열매체보일러
CN206724183U (zh) 一种环保型城市固体废弃物直接焚烧气化供能系统
KR100704166B1 (ko) 재연소 소각처리시스템
JPH07233925A (ja) 焼却炉
JP2004202469A (ja) ゴミの熱処理装置
WO2021096344A1 (en) An apparatus for incinerating waste material
KR980003168A (ko) 폐기물처리시스템
JP3072943B2 (ja) 炭化式ゴミ焼却装置
KR102447973B1 (ko) 가연성 폐기물 무공해 소각로
KR102198134B1 (ko) 수소 소각로의 연소부 구조
KR100613436B1 (ko) 수평형 폐기물 소각로
KR20030012929A (ko) 생활·산업폐기물로 가연성 연료(was) 생산과 소각연소발전·열 활용시스템 장치의 설비 및 그 시설 설치활용방법
US3476062A (en) Incinerator for burning combustible waste and method
KR890001114B1 (ko) 폐기물 소각 및 집진 보일러 아셈블리
KR940006959Y1 (ko) 폐열을 이용한 폐액 소각장치
KR20000018035A (ko) 폐수처리장치
KR100418412B1 (ko) 하수슬러지 소각처리장치
KR200168323Y1 (ko)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20695Y1 (ko) 폐자재 소각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