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295Y1 - 인쇄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295Y1
KR200168295Y1 KR2019990016053U KR19990016053U KR200168295Y1 KR 200168295 Y1 KR200168295 Y1 KR 200168295Y1 KR 2019990016053 U KR2019990016053 U KR 2019990016053U KR 19990016053 U KR19990016053 U KR 19990016053U KR 200168295 Y1 KR200168295 Y1 KR 200168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solder
lan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6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2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2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리드를 갖는 IC 부품과, 상기 IC 부품의 복수의 리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랜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랜드중 땜납진행방향의 최후방에 배치된 말단랜드에 대해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땜납을 수령하는 유도랜드와, 상기 말단랜드와 상기 유도랜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리드를 갖는 IC나 커넥터의 쇼트나 브릿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리드를 갖는 IC나 커넥터의 쇼트 및 브릿지를 방지할 수 있도록 랜드를 형성한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는 표면실장부품(SMD)나 삽입부품(IMD)중 한 종류만이 실장되거나 표면실장부품과 삽입부품이 혼재 실장되며, 이 중 삽입부품은 리드가 PCB를 관통하는 홀에 삽입된 후 납땜에 의해 PCB에 실장된다.
삽입부품중 IC나 커넥터 등 복수의 리드가 형성된 부품은, 쇼트나 브릿지를 방지하기 위해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각 리드가 배열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삽입부품의 실장을 위해, PCB 에는 도 3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된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랜드가 배열형성되어 있다. 각 랜드는 리드가 관통하는 홀(56)을 중심으로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리드간의 브릿지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땜납진행방향의 최전방에 위치한 최전방랜드(55)나 최후방에 위치한 최후방랜드(60)에 변형을 주었다.
먼저, (a)의 실시예에서는 PCB(51)상에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배열된 랜드중 최후방랜드(60)를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땜납을 수령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b)의 실시예에서는 최전방랜드(55)를 전방으로 연장된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땜납을 확보하고, 최후방랜드(60)는 후방으로 연장된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땜납을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c)에서는 최후방랜드(60)가 거의 사각형상으로 다른 랜드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이 최후방랜드(60)는 최후방랜드(60)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연장부(61)를 가지고 있다. 한편, (d)에서는 최후방랜드(60)와 소정 거리 이격된 후방 영역에 거의 원형의 유도랜드(65)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의 랜드의 변형은 땜납을 유도하여 쇼트나 브릿지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a)나 (b)에서의 최후방랜드(60)의 변형으로 오히려 땜납이 뭉쳐서 쇼트가 발생하게 되고, 최전방랜드(55)의 변형은 거의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으며, (c)의 경우에는 연장부(61)가 거의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연장부(61)의 말단부에서 땜납의 흐름이 갑작스럽게 차단되어 땜납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d)의 경우 최후방랜드(60)와 유도랜드(65)와의 거리차로 인해 유도랜드(65)에서 땜납을 충분히 수령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리드를 갖는 IC나 커넥터의 실장시, 땜납이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쇼트나 브릿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랜드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의 리드를 갖는 IC나 커넥터의 쇼트 및 브릿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의 (a) 내지 (b)는 본 고안에 따른 랜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의 인쇄회로기판에 IC를 납땜시의 측단면도,
도 3의 (a) 내지 (d)는 종래의 랜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CB 5 : 말단랜드
6 : 홀 7 : 연결부
10 : 유도랜드 15 : 실크차단막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리드를 갖는 IC 부품과, 상기 IC 부품의 복수의 리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랜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랜드중 땜납진행방향의 최후방에 배치된 말단랜드에 대해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땜납을 수령하는 유도랜드와, 상기 말단랜드와 상기 유도랜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랜드는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땜납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땜납의 수령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랜드와 이웃하는 랜드 사이에는, 땜납의 흐름을 차단하는 실크차단막이 인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삽입부품중 IC나 커넥터 등의 부품이 실장되는 PCB(1)에는,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드(3)에 대응하는 랜드가 화살표로 표시된 납땜진행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랜드는 리드(3)가 삽입되는 홀(6)을 중심으로 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납땜진행방향을 따라 최후방에 위치하는 말단랜드(5)에는 납땜진행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말단랜드(5)로부터의 땜납을 유도하는 유도랜드(10)가 형성되어 있다.
유도랜드(1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급격히 좁아지는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도랜드(10)는 연결부(7)에 의해 말단랜드(5)와 일체로 연결된다. 연결부(7)는 유도랜드(10)와 말단랜드(5)의 땜납진행방향의 가로폭의 ⅓정도로 형성되어 땜납이 유도랜드(10)로 유도되는 것을 돕게 된다. 한편, 각 랜드와 랜드 사이에는 실크차단막(15)이 인쇄되어 랜드 간의 땜납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실크인쇄는 부품의 명칭이나, 장착방향 등을 표시하기 위해 PCB(1) 에 인쇄되고, 땜납의 흐름을 방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한편, 유도랜드(10)는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도랜드(10)의 형성을 위해서는 말단랜드(5)의 후방에 소정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나, 이러한 여유 공간이 없을 경우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랜드(10)를 물방울 형상이 아닌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도랜드(10)가 형성된 PCB(1)에 삽입부품을 실장하는 작업은, 먼저, 삽입부품의 리드(3)를 PCB(1)의 홀(6)에 삽입하고, 삽입부품이 삽입된 PCB(1)를 약 5°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납조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땜납이 PCB(1)를 향해 분사되어 각 리드(3)의 둘레에 형성된 랜드에 부착되고, 각 랜드 사이의 실크차단막(15)으로 인해 각 랜드간의 땜납이 차단되어 랜드간의 쇼트나 브릿지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땜납의 흐름이 말단랜드(5)에 도달하면, 땜납은 말단랜드(5)에 부착된 다음, 폭이 좁은 연결부(7)를 통과하면서 땜납의 양이 급격히 줄어들고, 잉여의 땜납은 유도랜드(10)에 수령되게 된다. 이 때, 유도랜드(10)의 말단부가 급격히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연결부(7)에서와 마찬가지로 땜납이 급격히 줄어들어 자연스럽게 PCB(1)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연결부(7)에 의해 유도랜드(10)로부터 말단랜드(5)로 땜납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납땜작업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랜드에 골고루 땜납이 부착되고, 말단랜드(5)로부터의 잔여분의 땜납은 유도랜드(10)로 흡입되어 유도랜드(10)는 상향 볼록한 단면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복수의 리드(3)를 갖는 IC나 커넥터의 실장을 위해, 말단랜드(5)에 유도랜드(10)를 형성함으로써, 말단랜드(5)로부터의 땜납이 유도랜드(10)에 유도되어 수령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랜드의 말단부 영역의 쇼트나 브릿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리드를 갖는 IC나 커넥터의 쇼트나 브릿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리드를 갖는 IC 부품과, 상기 IC 부품의 복수의 리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랜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랜드중 땜납진행방향의 최후방에 배치된 말단랜드에 대해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땜납을 수령하는 유도랜드와, 상기 말단랜드와 상기 유도랜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랜드는 땜납진행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지는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랜드와 이웃하는 랜드 사이에는, 땜납의 흐름을 차단하는 실크차단막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KR2019990016053U 1999-08-06 1999-08-06 인쇄회로기판 KR2001682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053U KR200168295Y1 (ko) 1999-08-06 1999-08-06 인쇄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053U KR200168295Y1 (ko) 1999-08-06 1999-08-06 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295Y1 true KR200168295Y1 (ko) 2000-02-15

Family

ID=1958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053U KR200168295Y1 (ko) 1999-08-06 1999-08-06 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2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1587B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JP2008112916A (ja) プリント回路基板装置
KR200168295Y1 (ko) 인쇄회로기판
US20080223611A1 (en)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ic apparatus
US6333471B1 (en) Sheet metal component for double pattern conduction and printed circuit board
EP1032249B1 (en) Electronic circuit board and soldering method therefor
JP2006031944A (ja) 表面実装コネクタ
JP2012064797A (ja) 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プリント基板
JP2008198814A (ja) 立ち基板の取付構造
KR100626422B1 (ko) 인쇄회로기판
KR200168296Y1 (ko) 인쇄회로기판
JP2007059498A (ja) プリント配線板
JP2005252016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プリント基板への接続構造
US20050236718A1 (en) Printed circuit board
KR100621373B1 (ko) 인쇄회로기판
KR100330580B1 (ko) 4방향 플랫 패키지ic 실장용 회로기판 및 그 땜납도포방법
JP2006339685A (ja) プリント配線基板
JP2006196733A (ja) プリント配線板
KR100325997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땜납도포방법
JP2007088148A (ja) プリント配線板
JPH10135584A (ja) プリント配線板
JP3115115U (ja) 平行ジャンパー接続構造
JP2011036909A (ja) 半田コテ
KR19990037926U (ko) 인쇄회로기판의 단자홀 구조
KR19980021560U (ko) 아일릿 핀을 적용한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