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373B1 - 인쇄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373B1
KR100621373B1 KR1020040097780A KR20040097780A KR100621373B1 KR 100621373 B1 KR100621373 B1 KR 100621373B1 KR 1020040097780 A KR1020040097780 A KR 1020040097780A KR 20040097780 A KR20040097780 A KR 20040097780A KR 100621373 B1 KR100621373 B1 KR 100621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s
terminal
terminals
row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817A (ko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3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05K1/116Lands, clearance holes or other lay-out details concerning the surrounding of a vi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납땜시 납액에 의한 단자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은, 복수개의 행(L)과 복수개의 열(R)로 배치된 단자를 구비한 전자부품; 상기 단자가 삽입되어 납땜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자삽입공이 형성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부품의 납땜 진행방향의 최종열 각 행의 단자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다.
납땜, 단락, 단자, 단자삽입공, 최종열, 어긋남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uit Board}
도 1은 종래 인쇄회로기판의 납땜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라 절개한 결합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기판 102...단자삽입공
104...랜드 110...컨넥터
112...단자 L...행
R...열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납땜공정에서 전자부품의 복수개 단자가 상호 단락됨 없이 기판에 납땜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등의 전자제품에는, 컨넥터, 저항, IC(Integrated Chip) 등의 각종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적용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은 일정패턴의 회로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상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고정되는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부품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단자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단자 각각은 상기 기판에 형성된 단자삽입공을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기판과 납땜된다. 이러한 납땜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기판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은 2행(L1~L2) 6열(R1~R6)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단자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각 단자삽입공에는 전자부품의 핀과 같은 단자(2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20)가 삽입된 기판(10)은 로봇등에 의해 파지되어 납이 용융되어 저장된 납조(미도시) 상을 이동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A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각 단자(20)와 기판(10)에 형성된 랜드(미도시)에는 상기 납조에 저장된 납액(30)이 부착된다.
납액(30)이 상기 단자(20) 및 상기 랜드에 부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A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1열(R1) 및 제2열(R2)에 납액(30)이 부착된다. 이 때, 제1열 제1행(R1,L1), 제1열 제2행(R1,L2), 제2열 제1행(R2,L1) 및 제2열 제2행(R2,L2)의 각 단자(20) 및 랜드는 납액(30)의 점성과 표면장력에 의하여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납액(30)을 당기는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호간의 인력에 의하여 각각의 단자(30)는 서로 단락됨 없이 랜드가 형성된 지점에 납액(30)이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은 기판(10)이 납조를 지나면서 계속 진행된다.
그러나, 최종열(R6)의 경우, 다음열이 없기 때문에 납땜진향방향(A)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납액(30)을 당기는 인력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종열(R6)에 부착되는 납액(30)은 점성 및 표면장력에 의해 납땜진행방향(A)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제5열(R5)과 제6열(R6)의 단자는 단락(S)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단자(20)간의 단락(S)으로 인하여 현재 인쇄회로기판의 생산라인에는 별도의 공정 및 인력을 배치하여 상기 단락을 제거하고 있다. 이는, 제조공정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납땜시 인접하는 단자간 납액에 의하여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복수개의 행(L)과 복수개의 열(R)로 배치된 단자를 구비한 전자부품과, 상기 단자가 삽입되어 납땜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자삽입공이 형성된 기판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납땜 진행방향의 최종열 각 행의 단자 및 단자삽입공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자부품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 키기 위한 컨넥터이며, 상기 복수개의 행은 2행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단자삽입공의 주변에는 상기 납땜을 유도하기 위한 랜드가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은,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에 고정되는 전자부품의 일예인 컨넥터(11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00)의 내부 또는 그 표면에 일정 패턴의 회로가 형성되며, 일정간격(d) 이격되게 2행(L1~L2) 6열(R1~R6)의 단자삽입공(102)이 형성된다. 그러나, 납땜진행방향(A, 도 4참조)으로 최종열(R6) 2행(L2)은 그 전열(R5) 2행(L2)과 상기 일정간격(d)의 두배(2d)로 이격되어 있다. 즉, 최종열(R6) 1행(L1)과 2행(L2)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기판(100)의 저면에는 납액(120)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각 단자삽입공(102)의 주변을 따라 랜드(Land,104)가 형성된다. 이러한 랜드(104)는 기판(100)의 피복을 벗겨 기판(100)에 내장된 동판을 외부로 노출시켜 형성한다.
상기 컨넥터(110)에는 상기 각 단자삽입공(10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단자삽입공(102)에 대응되게 2행(L1~L2) 6열(R1~R6)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자(112)가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 단자삽입공(102)과 마찬가지로 최종열(R6)의 2행(L2)의 단자(112")는 최종열(R6) 1행(L1)의 단자(112')와 어긋나게 배치된다. 상기 단자(112)는 상기 각 단자삽입공(102)에 삽입된 후 납액(120)에 의하여 상기 랜드(104)에 납땜된다. 그리고, 이러한 납땜에 의하여 상기 단자(112)는 랜드(104)를 통해 상기 기판(100)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납땜에 의해 상기 단자(112)는 상기 기판(10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는 컨넥터(110)의 단자(112) 및 단자삽입공(102)이 2행으로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3행 4행, 5행등 복수개의 행으로 배치된 단자 및 단자삽입공에도 적용될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단자 및 단자삽입공이 2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종열의 단자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어긋나게 배치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112) 및 단자삽입공(102)이 6열(R1~R6)로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 열 수에 관계없이 복수의 열로 배치된 경우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기판(100)의 각 단자삽입공(102, 도 2참조)에 컨넥터(110, 도 2참조)의 단자(112)를 삽입한다. 그리고, 컨넥터(110)의 단자(112)가 삽입된 기판(100)을 로봇등을 이용하여 미도시된 납조로 A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납조상을 이동하면서 상기 기판(100)의 저면은 상기 납조에 용융된 납액(120)에 담궈진다. 그러면, 납땜진행방향인 A방향으로 각 단자(112)와 랜드(104, 도 3참조)에 납액(120)이 부착된다.
보다 상세하게 납액(120)이 부착되는 현상을 살펴보면, 제1열(R1)과 제2열(R2)을 지나면서 제1열(R1) 및 제2열(R2)의 단자(112)와 랜드(104)에 납액(120)을 부착시킨다. 그러면, 제1열(R1)의 1행(L1), 2행(L2) 및 제2열(R2)의 1행(L1), 2행(L2)의 랜드(104) 및 단자(112)는 납액(120)의 점성 및 표면장력에 의하여 납액(120)을 화살표방향과 같이 상호 당기게 된다. 이러한 힘에 의하여 납액(120)은 각 행간 또는 각 열간을 단락시키지 않고 각 단자(112) 및 랜드(104)에만 부착된다. 이러한 작용은 납땜진행방향인 A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기판을 이동시키면서 발생한다.
한편, 최종열인 6열(R6)이 납조를 통과할 때, 납액(120)은 6열(R6)의 제1행(L1)의 랜더(104) 및 단자(112')와, 6열(R6) 제2행(L2)의 랜더(104) 및 단자(112")는 상호 대각선으로 인력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6열(R6)의 제1행(L1)과 제2행(L2)은 납액(120)에 의해 단락되지 않으며, 제6열(R6) 제1행(L1)과 제5열(R5) 제1행(L1)도 제6열(R6)의 제2행(L2)의 인력에 의해 납액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납땜시 납액에 의해 각 단자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각 단자의 단락을 방지하므로서, 기존의 단자를 단락시킨 납을 제거하기 위한 공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공정수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복수개의 행(L)과 복수개의 열(R)로 배치된 복수개의 단자를 구비한 전자부품과, 상기 복수개의 단자가 삽입되어 납땜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단자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자삽입공이 형성된 기판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납땜진행방향의 최종열의 각 단자는 홀수 행의 열간 배치간격과 짝수 행의 열간 배치간격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자삽입공의 주변에는 상기 납땜을 유도하기 위한 랜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은 컨넥터이며, 상기 복수개의 행은 2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4. 기판에 납땜되는 복수개의 행(L)과 복수개의 열(R)로 배치된 단자를 포함하는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납땜진행방향의 최종열의 각 단자는 홀수 행의 열간 배치간격과 짝수 행의 열간 배치간격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행은 2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KR1020040097780A 2004-11-26 2004-11-26 인쇄회로기판 KR100621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780A KR100621373B1 (ko) 2004-11-26 2004-11-26 인쇄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780A KR100621373B1 (ko) 2004-11-26 2004-11-26 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817A KR20060058817A (ko) 2006-06-01
KR100621373B1 true KR100621373B1 (ko) 2006-09-19

Family

ID=3715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780A KR100621373B1 (ko) 2004-11-26 2004-11-26 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709B1 (ko) * 2006-06-30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의 표시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817A (ko)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80754B1 (en)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substrate by the surface mounting technology
EP1705967B1 (en) Off-grid decoupling capacitor of ball grid array (BGA) devices and method
US3253246A (en) Printed circuit card connector
US7906734B2 (en) Electrical terminal footpri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20070272436A1 (en) Printed circuit board unit
EP0804059A1 (en) Structure for mounting an electrical module on a board
US20080223611A1 (en)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ic apparatus
KR100621373B1 (ko) 인쇄회로기판
JPH01300588A (ja)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はんだ付け方法
GB2110006A (en) Method of butt-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H07161441A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30553A (ko) 웨이퍼의 인쇄 배선 기판상의 실장방법
US8094460B2 (en) Orientation-tolerant land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03686B1 (ko) 인쇄회로기판
CN219876346U (zh) 一种波峰焊防连锡的插件封装结构
KR200183789Y1 (ko) 인쇄회로기판의 전자부품 결합구조
KR100818464B1 (ko) 표면 실장형 어레이 점퍼
US8270179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KR100584142B1 (ko) 이동단말기용 월 인쇄회로기판과 칩셋 장치
KR100626422B1 (ko) 인쇄회로기판
KR200352764Y1 (ko) 2열 통전 처리된 터미널을 갖는 만능기판
JPH0144035B2 (ko)
JPS62128191A (ja) 印刷配線板
US20180035539A1 (en)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KR101250241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