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988Y1 - 배수관연결용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연결용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988Y1
KR200166988Y1 KR2019970040359U KR19970040359U KR200166988Y1 KR 200166988 Y1 KR200166988 Y1 KR 200166988Y1 KR 2019970040359 U KR2019970040359 U KR 2019970040359U KR 19970040359 U KR19970040359 U KR 19970040359U KR 200166988 Y1 KR200166988 Y1 KR 200166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ortion
main body
pressing
packing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7759U (ko
Inventor
최정웅
Original Assignee
최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웅 filed Critical 최정웅
Priority to KR2019970040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9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7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배수관을 연결시킴에 있어서 오수의 누출현상을 완벽하게 방지시키는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는 중앙부 양측에는 배수관들(21)의 끝단이 맞닿아 위치하는 단턱(22)이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원주상으로 제1 경사부(2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0)와; 이 본체(20)의 제1 경사부(24)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1 경사부(24)에 대응되는 제2 경사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경사부(32)에는 상기 본체(20)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34)가 형성되어 있는 패킹부재들(30)과; 이들 패킹부재(30)의 수직부(34)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고, 환형의 띠형상으로 양단은 절단되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자유단으로 형성된 압착부재들(40)과; 보울트들(27)과 너트들(28)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본체(20)와 조립되며, 상기 압착부재들(40)을 내리눌러 상기 패킹부재들(30)이 배수관들(21)의 외면과 상기 제1 경사부(24)를 가압시키는 플랜지들(50)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수관들의 연결부위를 흐르는 동안 오수가 전혀 누출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
본 고안은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두 배수관을 연결시킴에 있어서 오수의 누출현상을 완벽하게 방지시키는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물등에서 사용한 오수를 흘려보내기 위하여 배수관들이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접속되어 있으며, 그 동안 두 배수관의 양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띠형상의 연결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띠형상의 연결구는 배수관의 양단부를 정확히 정렬시켜야 하는 등의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더욱이 배수관의 연결부위를 통과하는 오수가 쉽게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배수관의 접속 및 해체시공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배수관 연결부위의 오수의 누출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패킹 또는 연결접속구가 개발 되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공고번호 제 93-4989 호(출원공고일 1993. 7. 26)는 배수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접속구를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접속구는 본체(1)의 양측에 각각 경사턱(5,5')을 환설시킨 양측 체결구(4,4')사이에 0링 패킹고무(9,9')를 끼우고 본체(1)와 각각의 양측 체결구(4,4')를 볼트(10)와 너트(11)를 체결하여 0링 패킹고무(9,9')를 압착시킨 것이다. 이에 따르면, 배수관용 연결접속구에 끼워진 배수관(13,13')의 외주면에 0링 패킹고무(9,9')가 밀착되므로 시공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또한 오수의 누출방지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턱(5,5')를 가진 체결구(4,4')와 본체(1)의 사이에 0링 패킹고무(9.9')를 개재하여 배수관을 접속시키는 경우에는 0링 패킹고무(9,9')와 배수관(13,13')의 외주면의 맞닿는 부분의 폭이 좁기 때문에 0링 패킹고무(9,9')의 압착력이 부족하여 0링 패킹고무(9,9')와 배수관(13,13')의 외면사이에 틈새가 발생함으로써 오수의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관을 흐르는 오수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의 조립전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의 조립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21 : 배수관
22 : 단턱 24 : 제1 경사부
27 : 보울트 28 : 너트
30 : 패킹부재 32 : 제2 경사부
34 : 수직부 36 : 끼움돌기
40 : 압착부재 42 : 끼움구멍
50 : 플랜지 54 : 단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는 중앙부 양측에는 배수관들의 끝단이 맞닿아 위치하는 단턱이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원주상으로 제1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이 본체의 제1 경사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1 경사부에 대응되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경사부에는 본체의 끝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가 형성되어 있는 패킹부재들과; 이들 패킹부재의 수직부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고, 환형의 띠형상으로 양단은 절단되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자유단으로 형성된 압착부재들과; 보울트들과 너트들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본체와 조립되며, 상기 압착부재들을 내리눌러 상기 패킹부재들이 배수관들의 외면과 상기 제1 경사부를 가압시키는 플랜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고안에 따라 패킹부재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다수개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착부재는 상기 끼움돌기에 끼워맞춤되는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압착부재는 패킹부재의 상면에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는 기본적으로는 두 배수관(21)이 끼워져 연결되는 본체(20)와, 배수관을 흐르는 오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2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무재질의 패킹부재들(30)과, 이 패킹부재들(30)에 각각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금속재질의 압착부재들(40)과, 이 압착부재들(40)을 내리눌러 본체(20)와 결합되는 플랜지들(5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20)는 중앙부 양측에 배수관들(21)의 끝단이 맞닿아 위치하도록 단턱(22)이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단부에는 원주상으로 중심을 향하여 경사진 제1 경사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보울트들(27)과 너트들(28)의 체결에 의하여 플랜지들(50)이 조립되도록 양단부에 수직하게 체결공들(26)이 천공된 플랜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패킹부재들(30)은 각각 본체(2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경사부(24)에 끼워져 안착된다. 패킹부재들(30)은 본체(20)의 제1 경사부(24)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제2 경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 경사부(32)에는 본체(20)의 단부, 즉 제1 경사부(24)의 끝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수직하게 길게 연장되는 수직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킹부재(30)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다수개의 끼움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패킹부재들(30)의 상면에는 압착부재(40)가 장착된다. 압착부재(40)는 패킹부재들(30)을 균일하게 가압하여 패킹부재들(30)이 본체(20)의 내부로 밀려 이동하면서 외측과 내측으로 팽창함으로써 배수관들(21)의 외주면과 제1 경사부(24)의 경사면을 충분한 크기의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압착부재(40)는 환형의 띠형상이고, 상술한 패킹부재들(30)의 끼움돌기(36)에 끼워맞춤되도록 끼움구멍들(4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압착부대(40)의 양단은 절단되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패킹부재들(30)의 끼움돌기(36)에 끼워넣어질때 패킹부재(3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압착부재(40)가 플랜지들(50)에 의하여 눌려지게 될때, 압착부재(40)는 내측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이격된 자유단은 근접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맞닿으면서 패킹부재들(30)을 가압한다.
플랜지들(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20)의 플랜지부(25)와 조립되는 것으로 본체(20)의 플랜지부(25)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체결공들(52)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보울트들(27)과 너트들(28)의 체결에 의하여 플랜지(50)가 압착부재(40)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내부에는 압착부재(40)의 끝단이 걸리는 단턱(54)이 마련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선 배수관들(21)을 본체(20)의 단턱(22)과 맞닿도록 본체(20)의 내부로 끼워넣는다. 압착부재(40)가 고정적으로 끼워맞추어진 패킹부재(30)가 본체(20)의 제1 경사부(24)에 놓여진다. 그 후 본체(20)의 플랜지부(25)와 플랜지들(50)을 각각 형성된 체결공(26,52)을 통하여 보울트들(27)과 너트들(28)로 체결한다. 다음으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울트들(27)과 너트들(28)을 완전히 체결하게 되면, 이에 따라 플랜지(50)는 단턱(54)이 압착부재(40)를 가압하여 압착부대(40)를 내측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본체(20)의 제1 경사부(24)를 따라 밀려 이동하는 패킹부재(30)는 본체(2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본체(20)의 내면과 배수관(21)의 외면을 상당한 길이에 걸쳐 긴밀하게 밀착함으로써 본체(20)의 내면과 배수관(21)의 외면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배수관(21)을 따라 흐르는 오수의 누출이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은 오수가 흐르는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장치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첨부한 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상술한 실시예의 변형 또는 변경예가 다수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한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은 유체가 유동하는 두개의 관 또는 파이프 등의 연결장치 또는 연결구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는 본체의 양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본체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과 수직면을 형성하고 본체의 경사면에 안착되어 본체의 내면과 배수관의 외면을 상당한 길이에 걸쳐 긴밀하게 밀착하는 패킹부재와 이 패킹부재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압착부대를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배수관을 흐르는 오수의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한다.

Claims (1)

  1. 중앙부 양측에는 배수관들(21)의 끝단이 맞닿아 위치하는 단턱(22)이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에는 원주상으로 제1 경사부(2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20)와;
    이 본체(20)의 제1 경사부(24)에 안착되도록 상기 제1 경사부(24)에 대응되는 제2 경사부(32)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제2 경사부(32)에는 상기 본체(20)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다수의 끼움돌기(36)가 형성되어 있는 고무재질의 패킹부재들(30)과;
    이들 패킹부재(30)의 수직부(34)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끼움돌기(36)에 고정적으로 끼워맞춤되도록 끼움구멍들(42)이 형성되어 있고, 환형의 띠형상으로 양단은 절단되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부재(3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는 금속재의 압착부재들(40)과;
    보울트들(27)과 너트들(28)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본체(20)와 조립되며, 상기 압착부재들(40)을 내리눌러 상기 패킹부재들(30)이 배수관들(21)의 외면과 상기 제1 경사부(24)를 가압시키는 플랜지들(50)로 이루어진 배수관연결용 접속장치.
KR2019970040359U 1997-12-24 1997-12-24 배수관연결용접속장치 KR200166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359U KR200166988Y1 (ko) 1997-12-24 1997-12-24 배수관연결용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359U KR200166988Y1 (ko) 1997-12-24 1997-12-24 배수관연결용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759U KR19990027759U (ko) 1999-07-15
KR200166988Y1 true KR200166988Y1 (ko) 2000-01-15

Family

ID=1951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359U KR200166988Y1 (ko) 1997-12-24 1997-12-24 배수관연결용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9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870A (ko) 2017-11-17 2019-05-27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98B1 (ko) * 2008-10-17 2009-05-26 주식회사 퍼팩트 플랜지 소켓 일체형 맨홀 관접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870A (ko) 2017-11-17 2019-05-27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759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1234A (en) Repair device for pipes
US3960395A (en) Expansion clamp
US3414273A (en) Seal forming means for pipe joints of the bell and spigot type
JPS5820844A (ja) 密封可能な排水器具
KR200166988Y1 (ko) 배수관연결용접속장치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JPS62237193A (ja) 管接合装置
US20170356584A1 (en) Grooved-End Rubber Expansion Joint with 4-Way Compression Grooved Coupling
JP3638617B2 (ja) スロット付き楔カムを有する改良バンド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322580Y1 (ko) 배관 실링용 형상유지 가스켓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KR200275026Y1 (ko) 배관용 커플링
KR200257366Y1 (ko) 플랜지와 슬리브형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의 연결구조
JP2989142B2 (ja) マンホールのインバート形成部材固定装置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KR0111688Y1 (ko) 피복강관의 이음관 구조
US20220213993A1 (en) Grooved-End Rubber Expansion Joint with 4-Way Compression Grooved Coupling
KR0121939Y1 (ko) 조립용 맨홀
JPS6139918Y2 (ko)
JPH0820996A (ja) マンホ−ルと導管の接続等に用いる継手及びその圧着治具
JP3003786U (ja) 内部止水バンド
KR200152194Y1 (ko) 밸브의 관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