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144Y1 -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144Y1
KR200166144Y1 KR2019990015404U KR19990015404U KR200166144Y1 KR 200166144 Y1 KR200166144 Y1 KR 200166144Y1 KR 2019990015404 U KR2019990015404 U KR 2019990015404U KR 19990015404 U KR19990015404 U KR 19990015404U KR 200166144 Y1 KR200166144 Y1 KR 200166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
bottom plate
plat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태효
Original Assignee
노태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태효 filed Critical 노태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고안은 물의 사용량이 많은 공동주택에 사용되어서 청소주기를 길게 하면서도 거주자들에게는 맑은 물을 제공하여 거주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트여지는 측벽(110)들의 하부에는 소정의 위치마다 유출구멍(122)들이 뚫려지는 바닥판(120)을 가지며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정수기몸체(100)와, 상기 바닥판(120)에는 일측이 막히고 타측이 트여지는 여과통체(210)들의 타측과 각기 밀실하게 결합되어지는 여과통체배열층(200)과, 상기 측벽(110)의 내측에서 상기 여과통체배열층(200)의 상단높이로 상기 바닥판(120)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지지돌기(112)의 상부면에 테두리하부가 지지되며 수개의 통공(300a)들이 형성되어지는 중간판(300)과, 상기 중간판(300) 위로는 수개의 부직포(410)들과 상기 부직포(410)들 사이에 각기 여과용 골채층(4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지는 여과구조층(400)과, 상기 여과구조층의 상부에는 굴곡파형이 반복되며 그 굴곡파형의 산(510)들의 정상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유입구멍(510a)들이 뚫려지며 그 단부들은 정수기몸체(100)의 측벽들의 내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상부파형판(50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A Water-Filtering Device for the Water Tank at the Apartment House}
본고안은 많은 가구들이 모여져서 공동으로 건축되는 아파트나 연립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물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편,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0-15767호에는 물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물탱크의 정수 및 안전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그 청구범위의 기재와 같이, '바닥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정수조의 내부에 거름종이를 깔고 그 위에 탄소미립자, 살균자갈, 살균모래를 각 거름종이를 경계로 차례로 얹고 살균모래 위에는 거름망과 맥반석을 얹은 다음 다수의 구멍에 형성된 통공판을 안착하여 침전층을 만들어 물탱크의 내측 유입구측에 볼탭 및 상부의 배수구와 고정하고 물탱크 바닥면은 청소배출구가 형성된 쪽으로 하향되게 배수경사면을 형성하고 상부뚜껑 일측에 통공이 있는 돌기부를 형성하여서 된 물탱크의 정수 및 안전장치.'이다.
이 종래기술은 상수도관에서 배출되는 물이 물탱크에 담겨지는 과정에서 정수조를 경유하면서 정수된 후에 물탱크에 담겨지므로, 물탱크에는 깨긋한 상태의 물이 보전되는 작용효과를 가지는 유용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로 사용되면, 상부에 위치한 통공판의 통공들이 자주 막혀져서 정수장치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왜냐하면 공동주택용 물탱크의 용량은 큰 데 반하여, 노후화되어 관내벽에 녹이 많이 발생되어 있는 상수도관을 경유하는 상수에는 녹등과 같은 찌거기가 많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상수에 포함되어 있는 찌거기는 정수장치의 통공판의 통공을 막아서 통수능력을 크게 저하시키며, 이러한 이유로 종래기술을 그대로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로 사용할 경우 통공판을 깨끗하게 청소하여 통수능력을 복원시키는 청소를 자주 실시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청소작업은 거주새대별 각자의 취향이 다르게 마련인 거주자들에게 많은 불편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종래의 물탱크용 정수 및 안전장치는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로 사용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의 목적은 물의 사용량이 많은 공동주택에 사용되어서 청소주기를 길게 하면서도 거주자들에게는 맑은 물을 제공하여 거주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고안 정수장치를 물탱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고안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를 나타낸 일부절결 사시도
도3는 본고안의 상부파형판을 나타낸 일부분 사시도
도4는 본고안의 상부파형판에 침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5는 본고안의 상부파형판에 영구자석을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임
도6은 본고안의 여과통체가 설치된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고안의 여과통체가 설치된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고안의 여과통체가 설치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정수기몸체 110: 측벽 112: 지지돌기
120: 바닥판 122: 유출구멍 200: 여과통체배열층
210: 여과통체 300: 중간판 300a: 통공
400: 여과구조층 410: 부직포 420: 여과용 골재층
420a: 맥반석층 420b: 목탄층 420c: 규사층
500: 상부파형판 510: 산 510a: 유입구멍
520: 골 522: 침전층 524: 영구자석
이하,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트여지는 측벽(110)들의 하부에는 소정의 위치마다 유출구멍(122)들이 뚫려지는 바닥판(120)을 가지며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정수기몸체(100)와, 상기 바닥판(120)에는 일측이 막히고 타측이 트여지는 여과통체(210)들의 타측과 각기 밀실하게 결합되어지는 여과통체배열층(200)과, 상기 측벽(110)의 내측에서 상기 여과통체배열층(200)의 상단높이로 상기 바닥판(120)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지지돌기(112)의 상부면에 테두리하부가 지지되며 수개의 통공(300a)들이 형성되어지는 중간판(300)과, 상기 중간판(300) 위로는 수개의 부직포(410)들과 상기 부직포(410)들 사이에 각기 여과용 골채층(4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지는 여과구조층(400)과, 상기 여과구조층의 상부에는 굴곡파형이 반복되며 그 굴곡파형의 산(510)들의 정상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유입구멍(510a)들이 뚫려지며 그 단부들은 정수기몸체(100)의 측벽들의 내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상부파형판(500)으로 구성됨을 그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은 1도의 도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물탱크의 내부에서 그 측벽들이 물탱크의 상수면의 위로 연장되는 높이로 설치되고, 그 바닥판(120)의 하부에는 받침대가 받쳐지며, 상부파형판(500)의 상부로 급수되도록 상수도관이 위치하며, 상수면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부에 볼탭이 설치된다.
상부파형판(500)의 상부로 낙하되는 상수는 도1의 도시와 같이, 상부파형판(500)의 산(510)들에 뚫려진 유입구멍(510a)들을 통하여 여과구조층(400)을 경유하며, 다시 중간판(300)의 통공(300a)들을 통하여 여과통체배열층(200)을 경유하며, 마지막으로 바닥판(120)의 유출구멍(122)들을 통하여 물탱크의 내부에 저장된다.
이와같이 작동되는 본고안은 노후화된 상수관을 경유하는 동안에 상수에 포함되는 녹 등과 같이 비교적 입자가 큰 불순물들은 상부파형관(500)의 골(520)들에 남겨지고, 일차로 걸러진 상수만이 상부파형관(500)의 산(510)들에 뚫려진 유입구멍(510a)을 통하여 여과구조층(400)을 통과하도록 하는 기술구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오랜동안 정수장치의 내부청소를 실시하지 않아도 공동주택의 거주자들은 물탱크에서 맑은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고안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고안의 기술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도 및 도2에 도시되는 본고안의 실시예도 전체적으로 상부가 트여지는 측벽(110)들의 하부에는 소정의 위치마다 유출구멍(122)들이 뚫려지는 바닥판(120)을 가지며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정수기몸체(100)와, 상기 바닥판(120)에는 일측이 막히고 타측이 트여지는 여과통체(210)들의 타측과 각기 밀실하게 결합되어지는 여과통체배열층(200)과, 상기 측벽(110)의 내측에서 상기 여과통체배열층(200)의 상단높이로 상기 바닥판(120)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지지돌기(112)의 상부면에 테두리하부가 지지되며 수개의 통공(300a)들이 형성되어지는 중간판(300)과, 상기 중간판(300) 위로는 수개의 부직포(410)들과 상기 부직포(410)들 사이에 각기 여과용 골채층(4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지는 여과구조층(400)과, 상기 여과구조층의 상부에는 굴곡파형이 반복되며 그 굴곡파형의 산(510)들의 정상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유입구멍(510a)들이 뚫려지며 그 단부들은 정수기몸체(100)의 측벽들의 내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상부파형판(500)을 포함하는 점에서 본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는 다음의 순서로 작동되며 다양한 변형예들을 가진다.
정수기몸체(100)내로 유입되는 물은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상부파형판(500)의 상부에서 정체되어지며, 여기에서 1차적으로 물속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들이 정체되어지는 동안 상기 상부파형판(500)의 골(520)부분에 침전되어 침전층(522)을 형성하고, 산(510)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멍(510a)을 통해 다음층으로 빠져나간다.
상기 침전층(522)은 일반적으로 물속에 용해돼 있는 물질이 가라앉아 생성된 광물로 이루어진 것으로, 잘 용해되지 않는 물질들이 정체되었을 때는 보다 빨리 침전하여 앙금을 형성하며, 상기 앙금은 공극율이 극히 작아서 물이 통과되는 것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20)의 골(520)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긴 막대모양의 영구자석(524)을 놓는 실시예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철분성분 등을 끌어당기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물은 여과구조층(400)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여과구조층의 여과용 골재층(420)을 이루는 맥반석층(420a), 목탄층(420b), 규사층(420c)의 순서로 정화되어 가면서 통과되어진다. 상기 맥반석층(420a), 목탄층(420b) 및 규사층(420c) 사이에는 부직포(410)를 깔아서 구분시킨다.
상기 맥반석층(420a)은 약석으로서 약 45종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불순물 및 세균을 제거해 주는 맥반석을 사용하여서 된다. 상기 목탄층(420b)은 일종의 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이고, 세균을 제거하고 미세한 물질을 흡수해 주며, 탈취해 주는 작용도 한다.
상기 규사층(420c)은 석영의 작은 알갱이로 된 흰모래로 된 것을 가리키며, 순도 100%의 석영을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여과구조층(400)을 통과한 물은 중간판(300)에 형성된 통공(300a)을 통하여 여과통체배열층(200)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본실시예에서, 상기 여과구조층(400)은 상부파형판(500)의 하부에 맥반석(420a), 부직포(410), 목탄층(420b), 부직포(410), 규사층(420c) 및 부직포(410)가 순차적으로 층을 두고서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여과구조층(400)은 상부파형판(500)을 경유하면서 커다란 불순물이 일차로 걸러진 상수에 다시 냄새와 세균 및 미세한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부가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맥반석(420a), 목탄층(420b) 및 규사층(420c)사이에 부직포(410)을 개재시키는 것은 각 층별 구분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토록 하면서 물의 여과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여과통체배열층(200)에는 상기 여과구조층(400)에서 걸러져서 정화되어진 물을 다시 한번 미세하게 최종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하여 미세한 조직을 가지는 필터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수개의 여과통체(210)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통체배열층(200)내로 유입된 물이 상기 여과통체(210)의 외부 전체 표면적을 통하여 걸러져서 상기 여과통체(2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바닥판(120)에 형성되어진 유출구멍(122)을 통해서 빠져나가게 된다.
결국은 물을 정화시켜주는데 필요한 필터의 전체 표면적은 상기 여과통체(210)들이 돌기형식으로 여러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닥판(120)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형성하여서 같은 크기의 바닥판을 가지는 정수기일 경우 보다 많은 양질의 물을 공급하여 준다.
도7은 도6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중간판(300)의 통공(300a)과 상기 여과통체(210)의 트여진 부분이 밀실하게 결합되어져서, 상기 통공(300a)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여과통체(210)의 내부 표면적을 통하여 상기 여과통체배열층(200)을 빠져나가도록 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8은 도6의 또 다른실시예로 상기 바닥판(120)의 유출구멍(122)과 수직적으로 일치되는 곳에 각기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고안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여과정수기는 첫째, 상부파형판의 기술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여과구조층에서 침전물질에 의해 앙금이 생기는 것을 줄여주어서 물의 통과속도를 높여 주고 정수기의 청소주기를 연장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며, 둘째, 상부파형판을 통과한 후에는 여과구조층과 여과통체배열층을 경유하여 상수가 유출되도록 하여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거주자들이 많은 량의 물을 항시 맑은 상태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전체적으로 상부가 트여지는 측벽(110)들의 하부에는 소정의 위치마다 유출구멍(122)들이 뚫려지는 바닥판(120)을 가지며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정수기몸체(100)와, 상기 바닥판(120)에는 일측이 막히고 타측이 트여지는 여과통체(210)들의 타측과 각기 밀실하게 결합되어지는 여과통체배열층(200)과, 상기 측벽(110)의 내측에서 상기 여과통체배열층(200)의 상단높이로 상기 바닥판(120)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지지돌기(112)의 상부면에 테두리하부가 지지되며 수개의 통공(300a)들이 형성되어지는 중간판(300)과, 상기 중간판(300) 위로는 수개의 부직포(410)들과 상기 부직포(410)들 사이에 각기 여과용 골채층(4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지는 여과구조층(400)과, 상기 여과구조층의 상부에는 굴곡파형이 반복되며 그 굴곡파형의 산(510)들의 정상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유입구멍(510a)들이 뚫려지며 그 단부들은 정수기몸체(100)의 측벽들의 내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상부파형판(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구조층(400)은 상부파형판(500)의 하부에 맥반석(420a), 부직포(410), 목탄층(420b), 부직포(410), 규사층(420c) 및 부직포(410)가 순차적으로 층을 두고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형판(500)의 골(520)부분에는 영구자석(524)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
KR2019990015404U 1997-03-10 1999-07-29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 KR2001661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353U KR19980060322U (ko) 1997-03-10 1997-03-10 집단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여과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353U Division KR19980060322U (ko) 1997-03-10 1997-03-10 집단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여과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144Y1 true KR200166144Y1 (ko) 2000-02-15

Family

ID=194969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353U KR19980060322U (ko) 1997-03-10 1997-03-10 집단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여과정수기
KR2019990015404U KR200166144Y1 (ko) 1997-03-10 1999-07-29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353U KR19980060322U (ko) 1997-03-10 1997-03-10 집단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여과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6032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86B1 (ko) * 2000-01-26 2002-09-11 변무원 용수 자정기능을 갖춘 물탱크
KR102512712B1 (ko) 2022-12-02 2023-03-22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시공 물탱크 여과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981B1 (ko) * 2002-06-07 2004-06-23 오원춘 수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86B1 (ko) * 2000-01-26 2002-09-11 변무원 용수 자정기능을 갖춘 물탱크
KR102512712B1 (ko) 2022-12-02 2023-03-22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시공 물탱크 여과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322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870A (en) Sewage filtration system
KR100951098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JP2000135500A (ja) 廃水浄化設備
KR200166144Y1 (ko) 공동주택의 물탱크용 정수장치
JPH0785767B2 (ja) ろ過装置
KR0165636B1 (ko) 하천의 정화장치
JP2004322060A (ja) 浄化装置およびその浄化装置をもつ浄化用タンク
JPH09111816A (ja) 雨水利用装置
KR200299828Y1 (ko) 상수도용 간이여과장치
CN220618581U (zh) 一种猪肉屠宰废水处理装置
KR101130918B1 (ko) 맥반석을 이용한 무방류 자중수압여과식 수처리시스템
RU201579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H0728886Y2 (ja) 重力式ろ過装置
KR0117906Y1 (ko) 오폐수용 정화조
KR950005284Y1 (ko) 정화장치
JPH0866605A (ja) 浄水装置
JPH08120764A (ja) 下水道の濾過沈殿装置
KR970007316B1 (ko) 다단식 폐수처리장치
KR950009012Y1 (ko) 왕겨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JPS59206537A (ja) 雑排水処理槽
JP3271480B2 (ja) 汚水の処理装置
CN2771181Y (zh) 全压式中央净水机
JP3062883B2 (ja) 水質浄化方法及び水質浄化装置
KR200273575Y1 (ko) 하천의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JPH072018Y2 (ja) 観賞池用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