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845Y1 - 엘리먼트 내장형 p.c.v 밸브 - Google Patents

엘리먼트 내장형 p.c.v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845Y1
KR200165845Y1 KR2019950055505U KR19950055505U KR200165845Y1 KR 200165845 Y1 KR200165845 Y1 KR 200165845Y1 KR 2019950055505 U KR2019950055505 U KR 2019950055505U KR 19950055505 U KR19950055505 U KR 19950055505U KR 200165845 Y1 KR200165845 Y1 KR 2001658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ron core
main body
gas inlet
ga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5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431U (ko
Inventor
박대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5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845Y1/ko
Publication of KR970043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4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8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8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011Breathe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033Breather inlet-air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C.V 밸브 (VALVE)에 관한것으로 더상세히는 P.C.V 밸브 내에 가이드 플래이트(GUIDE PLATE)를 설치하여 오일소모를 방지하고 연소실내에 카본 방지로 출력 도모할 수 있는 필터 내장형 P.C.V 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멘트 내장형 P.C.V. 밸브
본 고안은 P.C.V. 밸브(VALVE)에 관한것으로, 더 상세히는 P.C.V 밸브 내에 필터를 설치하여 오일 소모를 방지하고 연소실내에 카본 방지로 출력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필터 내장형 P.C.V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블로우 바이가스(BLOW-BY GAS)가 관통하는 P.C.V 밸브를 도면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제1도는 종래 P.C.V 밸브의 단면도로서, 원통형상 본체(10)의 양단은, 본체보다 작은 원통형상의 가스입구(2)와 가스출구(3)가 연통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는 압축된 스프링(1)이 탄설되어 있으며 스프링(1)의 양단중 일단은 본체(10)에 부착되어 있고 그 타단은 가스 개폐부재(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스개폐부재(4)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넓은 쪽의 일단은 본체(10)의 원통의 지름보다 작고 가스입구(2)의 원통의 지름보다 큰 저면이 편평한 원통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P.C.V 밸브의 동작을 살펴보면 부압이 없을 때는 가스개폐부재(4)가 스프링(1)의 탄성으로 가스입구(2)를 막아 블로우 바이 가스가 P.C.V 밸브 내로 유입되지 않으며 연소실 내쪽으로 즉 가스출구쪽으로 이미 유입된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출되어 연소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가 부압이 작동되면 부압의 힘이 스프링(1)의 탄성력 보다 크게 작용하여 가스개폐부재(4)가 가스출구(3) 쪽으로 이동하여 가스 개폐부재(4)가 가스출구(3)를 막게되어 연소실 내로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지 않음과 동시에 P.C.V밸브의 가스입구(2) 쪽으로 블로우 바이 가스가 유입되어 P.C.V 밸브 내에 가스가 충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이 계속 반복되어 P.C.V 밸브 내에 블로우 바이 가스의 유입과 유출이 반복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P.C.V 밸브는 블로우 바이 가스중 유분이 직접 연소실내로 유입되어 출력이 효율이 감소되고 오일이 과다하게 소모되어 경제적 낭비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엔진의 블로우 바이 가스의 환원장치를 P.C.V 밸브로 블로우 바이 가스중 유분을 완전히 분리시켜 순수가스만 흡기계통으로 유입하려는 P.C.V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P.C.V 밸브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P.C.V 밸브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프링 2 : 가스입구
3 : 가스출구 4 : 가스개폐부재
5 : 오일드레인 홀 6 : 철심
7a, 7b : 가이드 플레이트 8 : 가스통로
9 : 필터 10 : 본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원통형상의 가스입구(2)와 가스출구(3) 사이에 결합되되, 가스입구(2) 및 가스출구(3)의 각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가스입구(2)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공성의 원통체으로서, 상기 가스입구(2)측 면이 밀폐되고 상기 가스출구(3)측 면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철심(6)과; 상기 철심(6)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며 유분을 흡수하는 필터(9)와; 상기 철심(6)과 본체(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철심(6)을 고정시키되 상기 가스입구(2)로부터 유입된 가스가 상기 필터(9)를 경유하여 상기 철심(6)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통로를 갖으며, 상기 철심(6) 외주면과 상기 본체 내주면 사이를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7a)(7b);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스출구(3)으로부터 인가되는 부압에 따라 왕복되면서 상기 철심(6) 개방구 및 상기 가스출구(3)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스프링(1)으로 탄설되는 가스개폐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P.C.V 밸브의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사시도이다.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원통형상 본체(10)의 양단은 본체(10)의 원통형 지름보다 작은 원통형상의 가스입구(2)와 가스출구(3)가 연통되어 설치되고, 본체(10)내부에는 압축된 스프링(1)이 탄설되고, 상기 스프링(1) 일단에 고정된 가스개폐부재(4)가 본체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개폐부재(4) 일단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홀이 천공된 다공성의 원통형 철심(1)이 상기 가스입구(2)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철심(6)은 그 가스입구(2)측 면이 밀폐되고, 상기 가스출구(3)측면이 개방구를 형성하며, 그 내부에 가스통로(8)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철심(6)의 외주면을 따라 유분 흡수용 필터(9)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심(6)과 본체(10) 사이에는 상기 철심(6)을 본체(10) 내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7a)(7b)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7b)는 상기 가스입구(2)로부터 유입된 가스가 상기 필터(9)를 경유하여 상기 철심(6)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통로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7a)는, 상기 철심(6) 외주면과 상기 본체 내주면 사이를 차단시키도록 형성되어 상기 철심(6)을 통과하지 않은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본적인 P.C.V 밸브 하단에는 오일드레인 홀(5)을 형성하여 분리된 유분이 도시하지 않은 로커 커버(ROCKER COVER) 내부로 유입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P.C.V 밸브의 동작을 살펴보면, 투압이 없을 때 압축된 스프링(1)의 탄성에 의해 가스개폐부재(4)가 철심(6)의 개방구에 밀착되어 차단상태가 되며, 가스 입구(2)를 통하여 유입된 가스는 가이드 플레이트(7b)의 공기통로를 거쳐 필터(9)를 경유하면서 유분이 제거된 후 철심(6) 내부에 모이게 된다.
이때 분리된 유분은 하단에 설치된 오일드레인 홀(5)을 통하여 로커 커버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출구(3) 측으로부터 부압이 인가되면, 가스개폐부재(4)가 가스출구(4)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철심(6)의 개방구를 개방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필터(9)를 통과하면서 유분이 제거된 체 철심(6) 내에 모여있던 가스가 상기 가스출구(3) 측으로 흡출되게 됨으로써, 유분이 제거된 순수한 가스만 연소실의 흡기 계통으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이용시, 순수한 가스만 연소실의 흡기 계통으로 유입되게 하고, 분리된 유분은 로커 커버 내부로 유입되게 됨으로써, OIL 소모를 방지하며, 연소실내 카본 방지로 출력을 증대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임에 분명하다.

Claims (1)

  1. 원통형상의 가스입구(2)와 가스출구(3) 사이에 결합되되, 가스입구(2) 및 가스출구(3)의 각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서 상기 가스입구(2)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공성의 원통체으로서, 상기 가스입구(2)측 면이 밀폐되고 상기 가스출구(3)측 면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철심(6)과; 상기 철심(6)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며 유분을 흡수하는 필터(9)와; 상기 철심(6)과 본체(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철심(6)을 고정시키되 상기 가스입구(2)로부터 유입된 가스가 상기 필터(9)를 경유하여 상기 철심(6)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통로를 갖으며, 상기 철심(6) 외주면과 상기 본체 내주면 사이를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7a)(7b); 그리고,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스출구(3)으로부터 인가되는 부압에 따라 왕복되면서 상기 철심(6) 개방구 및 상기 가스출구(3)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스프링(1)으로 탄설되는 가스개폐부재(4);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0) 하부에 오일드레인 홀(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내장형 P.V.C 밸브.
KR2019950055505U 1995-12-30 1995-12-30 엘리먼트 내장형 p.c.v 밸브 KR2001658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505U KR200165845Y1 (ko) 1995-12-30 1995-12-30 엘리먼트 내장형 p.c.v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505U KR200165845Y1 (ko) 1995-12-30 1995-12-30 엘리먼트 내장형 p.c.v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431U KR970043431U (ko) 1997-07-31
KR200165845Y1 true KR200165845Y1 (ko) 2000-01-15

Family

ID=1944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5505U KR200165845Y1 (ko) 1995-12-30 1995-12-30 엘리먼트 내장형 p.c.v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8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431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5643B2 (en) Combined filter and fill tube
US6263847B1 (en) Breather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515786B1 (en) Oilfilter assembly
US7025049B2 (en) Apparatus for ventilating the crankcase of a combustion engine
KR102155947B1 (ko) 오일 필터 및 자동차 오일 필터용 필터 카트리지
JP2007130560A (ja) 気体用液体トラップ装置
KR200165845Y1 (ko) 엘리먼트 내장형 p.c.v 밸브
JPH01318713A (ja) 内燃エンジンの弁ロツカ室用カバー
KR20070060912A (ko) 포지티브 크랭크케이스 벤틸레이션 밸브
IT1310094B1 (it) Motore endotermico provvisto di un dispositivo di depurazione dei gasdi sfiato del basamento.
CN210799083U (zh) 负荷可调式油气分离器
KR20060034349A (ko) 차량의 브로바이가스 재순환장치
CN101988405B (zh) 一种发动机油气分离器
KR100219206B1 (ko) 오일분리겸용 피이.씨.브이 밸브
KR200309936Y1 (ko) 에어유니트 필터 드레인장치
KR20000014129U (ko) 연료필터
KR200191619Y1 (ko) 습식 에어클리너
KR100401921B1 (ko) 터보차저 엔진용 블로우 바이 가스의 오일분리장치
RU1813509C (ru) Фильтр очистки масла
KR20090064103A (ko) 크랭크 케이스 환기 장치
KR200181702Y1 (ko) 블로바이 가스의 과다흡입 방지장치
JP2005248926A (ja) ブローバイガス還流システムのベンチレータ装置
JPH0439377Y2 (ko)
RU2039298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масла
KR0127047Y1 (ko)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