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047Y1 -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047Y1
KR0127047Y1 KR2019940008710U KR19940008710U KR0127047Y1 KR 0127047 Y1 KR0127047 Y1 KR 0127047Y1 KR 2019940008710 U KR2019940008710 U KR 2019940008710U KR 19940008710 U KR19940008710 U KR 19940008710U KR 0127047 Y1 KR0127047 Y1 KR 0127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low
flow
oil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8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734U (ko
Inventor
박태광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08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047Y1/ko
Publication of KR9500307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7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0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18Air cleaners acting by absorption or adsorption; trapping or removing vapours or liquids, e.g. originating from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2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PCV]; Additional air admission, lubricant or fuel vapour ad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엔진의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오일이 많이 함유된 오일이 크랭크 케이스로부터 고속으로 올라와 에어 크리너를 오염시키고 엔진오일의 소모가 컸던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PCV밸브에 의한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에 부속하는 별도의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블로바이가스 유입구(25)와 배플측 유출구(27) 및 실린더 헤드측 유출구(26)를 갖고, 블로바이가스의 기류를 변화시켜 오일을 분류하고 그 압력으로 유동하며 고속의 블로바이가스를 실린더 헤드측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가스분류용 인서트(28)와 상기 가스분류용 인서트(28)의 유동에 따라 연동하며 유속저하된 블로바이가스를 배플측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유속감쇄밸브(31)가 내부에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상태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가스분류기 종단면도.
제3도는 가스분류용 인서트가 이동하여 유속감쇄밸브를 반닫힘상태로 회전시킨 요부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블로바이가스 유입호스 12 : 케이스
13 : 연결호스 14 : 블로바이가스 유입구
15 : 실린더 헤드측 유출구 16 : 배플측 유출구
17 : 가스분류용 인서트 20 : 유속감쇄밸브
22 : 요속저항부 23 : 고속유출공
24 : 압력단부 25, 25' : 회절편
본 고안은 자동차엔진의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블로바이가스를 대기로 방출하지 않고 재연소시키기 위해 크랭크 케이스에서 흡기계통으로 다시 보내는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가 있는 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의 예는 제1도에 참조된 바와 같이, 에어크리너(1)에서 에어흡기호스(2), 스로틀 보디(3), 서지탱크(4), 흡기 매니폴드(5), 인젝터(6)로 이어지는 흡기계통에 신기유입호스(7)와, 블로바이 제어밸브(PCV밸브)(8) 및 벤틸레이션 호스(9)를 연결하여 신선한 공기가 신기유입호스(7)를 통해 엔진(10)의 로커 커버내로 유입됨과 아울러 실린더 블록에서 블로바이가스 유입호스(11)를 통해 올라오는 블로바이가스가 로커 커버내의 상부에 있는 배플 플레이트로 갔다가 블로바이 제어밸브(8)를 통해 부압이 걸린 서지탱크(4)와 흡기 매니폴드(5)를 통해 연소실내로 들어가 탄화수소 등의 미연소가스(블로바이가스)를 재연소시키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빠른 유속의 블로바이가스가 크랭크 케이스로 부터 올라오게 되면 고부하시 많은 양의 블로바이가스를 연소실로 보내는 블로바이 제어밸브(8)를 거치는 외에 신기유입호스(7)를 통해 에어흡기호스(2)쪽으로 들어가기도 하는데 상기와 같이 빠른 유속의 블로바이가스에는 오일 함유량이 많아 에어흡기호스(2)로 들어가는 블로바이가스의 함유오일이 에어 크리너(1)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블로바이가스중의 오일함유량에 따라 유입장소를 바꾸어주므로서 상기와 같이 에어크리너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엔진오일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엔진의 실린더 블록과 로커 커버에 연통되게 설치한 블로바이가스 유입호스에 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내의 블로바이가스 유입구측에 설치되며 압축 스프링과 블로바이가스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는 가스분류용 인서트와 상기 가스분류용 인서트의 압력단부와 대향되는 회절편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분류용, 인서트에 의해 배플측 유출구를 단속하는 유속감쇄밸브를 내장하고, 상기 케이스와 실린더 헤드를 연결호스로 연통하여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및 커버의 배플에 호스로 각각 연결하여 고속일 때 오일이 걸러진 저속의 블로바이가스는 배플내로, 오일이 걸러진 고속의 블로바이가스는 실린더 헤드내로, 걸러진 오일은 오일 팬내로 각각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10)의 실린더 블록과 로커 커버가 연통되게 블로바이가스 유입호스(11)를 설치하고, 상기 블로바이가스 유입호스(11)에 연통되는 케이스(12)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12)와 실린더 헤드간에는 연통되게 연결호스(13)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의 케이스(12)에는 상기 블로바이가스 유입호스(11)가 끼워질 수 있는 블로바이가스 유입구(14)와, 상기 연결호스(13)가 끼워질 수 있는 실린더 헤드측 유출구(15), 그리고 배플연결호스가 끼워질 수 있는 배플측 유출구(16)가 3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2)내에는 블로바이가스 유입구(25)측 단부에 위치되는 가스분류용 인서트(17)가 압축 스프링(18,18')에 의하여 탄력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축 스프링(18,18')이 있는 배플측 유출구(16)쪽으로는 고정핀(19)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배플측 유출구(16)를 반닫힘상태로 차단할 수 있은 원판상의 유속감쇄밸브(20)가 리턴 스프링(21)에 의하여 복귀가능하게 설이되어 있다.
상기한 가스분류용 인서트(17)에는 블로바이가스 유입구(14)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유동로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블로바이가스 유입구(14)측으로는 유속을 저하시키고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경사진 유속저항부(2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블로바이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가스분유용 인서트(17)가 유동할 때 실린더 헤드측 유출구(15)와 일치할 수 있는 고속유출공(23)이 형성되며, 유속감쇄밸브(20)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는 환상의 압력단부(2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유속감쇄밸브(20)의 고정핀(19)상하에는 상기 압력단부(24)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는 회절편(25,25')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린더 블록에서 블로바이가스 유입호스(11)를 통해 올라오는 블로바이가스가 저속일때, 즉 정적유속일때에는 제2도와 같은 상태에서 블로바이가스 유입구(14)로 들어오는 블로바이가스가 가스분류용 인서트(17)를 통과해 바로 배플측 유출구(16)를 통해 로커 커버내의 상부에 있는 배플 플레이트로 갔다가 블로바이제어밸브(8)를 통해 서지탱크(4)와 흡기 매니폴드(5)를 거쳐 연소실로 보내져 재연소하게 된다.
그러나 블로바이가스 유입호스(11)로 들어오는 블로바이가스의 유속이 고속일 때에는 유속저항부(22)에서 저항을 받아 그 압력으로 가스분류용 인서트(17)는 압축 스프링(18,18')의 저항력을 이김으로써 좌측으로 이동하여 고속유출공(23)은 실린더 헤드측 유출구(15)와 일치되고 압력단부(24)는 회절편(25.25')을 눌러 제3도와 같이 유속감쇄밸브(20)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배플측 유출구(16)를 일부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속저항부(22)에서 와류를 형성하는 블로바이가스는 오일과 분류되어 고속의 블로바이가스는 고속유출공(23)을 통해 실린더 헤드측 유출구(15)와 연결호스(13)를 거쳐 실린더 헤드내로 보내지고, 상기와 같이 분류되어 걸러진 오일은 블로바이가스 유입구(14)와 블로바이가스 유입호스(11)를 통해 실린더 블록내로 들어가 오일 팬으로 떨어져, 반닫힘상태로 닫혀진 유속감쇄밸브(20)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유속이 저하되고 상기와 같이 오일이 걸러진 저속의 블로바이가스는 배플측 유출구(16)를 거쳐 로커 커버내로 보내지므로 만약의 경우 신기유입호스(7)를 거쳐 블로바이가스가 에어 크리너(1)내의 필터에 당도하더라도 오일에 의해 오염되는 일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에어 크리너의 오염이 방지될 뿐 아니라 엔진오일이 완전히 걸러진 블로바이가스만을 배플쪽으로 유입시키므로 엔진오일이 많이 함유된 채로 재연소되는 일은 그만큼 적어져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며 엔진오일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엔진의 실린더 블록과 로커 커버에 연통되게 설치한 블로바이가스 유입호스에 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내의 블로바이가스 유입구측에 설치되며 압축 스프링과 블로바이가스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는 가스분류용 인서트와 상기 가스분류용 인서트의 압력단부와 대향되는 회절편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분류용 인서트에 의해 배플측 유출구를 단속하는 유속감쇄밸브를 내장하고, 상기 케이스와 실린더 헤드를 연결호스로 연통하여서 된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
KR2019940008710U 1994-04-23 1994-04-23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 KR0127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710U KR0127047Y1 (ko) 1994-04-23 1994-04-23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710U KR0127047Y1 (ko) 1994-04-23 1994-04-23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734U KR950030734U (ko) 1995-11-20
KR0127047Y1 true KR0127047Y1 (ko) 1998-10-01

Family

ID=1938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8710U KR0127047Y1 (ko) 1994-04-23 1994-04-23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0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734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6025B1 (en) Blow-by gas oil sepa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479907A (en) Combination in-line air-filter/air-oil separator/air-silencer with preseparator
US4607604A (en) Oil sepa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025049B2 (en) Apparatus for ventilating the crankcase of a combustion engine
US7185643B2 (en) Combined filter and fill tube
CN101479446B (zh) 内燃机
US3175546A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CN101539045A (zh) 内燃机的油气分离装置
JP4551059B2 (ja) 燃焼エンジンにおける圧力制御のためのバルブデバイスおよびそのような圧力制御のための方法
KR0127047Y1 (ko) 블로바이가스 분류장치
KR101496034B1 (ko) 차량용 크랭크케이스 환기장치
AU2019100804B4 (en) Oil Separator
CN109469531B (zh) 一种曲轴箱通风系统油气分离器总成及车辆
JP2540860Y2 (ja) 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JPH0763036A (ja)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JPH09137710A (ja)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ベンチレーション装置
JPS6215448Y2 (ko)
KR200181702Y1 (ko) 블로바이 가스의 과다흡입 방지장치
US20220056825A1 (en) Breather/check valve oil and air separator system and method
KR20230047560A (ko) 차량엔진용 블로아웃 저감구조
JPH1089041A (ja) ブローバイガスのオイルセパレータ構造
JPS6029620Y2 (ja) ブロ−バイガス還元装置
KR960007490Y1 (ko) 블로바이 가스의 과도흡입 방지장치
KR0124053Y1 (ko) 자동차의 블로바이 가스 배출 튜브구조
KR100589186B1 (ko) 엔진의 브리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