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736Y1 -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736Y1
KR200165736Y1 KR2019970026559U KR19970026559U KR200165736Y1 KR 200165736 Y1 KR200165736 Y1 KR 200165736Y1 KR 2019970026559 U KR2019970026559 U KR 2019970026559U KR 19970026559 U KR19970026559 U KR 19970026559U KR 200165736 Y1 KR200165736 Y1 KR 200165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ubber
vertical cylindrical
compressor
support jaw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303U (ko
Inventor
류기오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70026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73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33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3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7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에 관한 것으로, 현가스프링을 지지하는 스너버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통형 몸체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의 하부에는 수직 원통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 원통부의 하부에는 하부 용기에 용접 결합되는 원뿔형의 용접 결합부가 형성되어 현가스프링을 지지하는 스너버에 있어서,
상기 수직 원통부와 용접 결합부의 연결부에 제 1평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원뿔형으로 이루어진 용접 결합부의 하단부에 제 2평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스너버에 있어서, 각 부분의 연결부와 최하단에 형성된 평면부에 의해 스너버의 제조가 단조가공을 통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
본 고안은 압축기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운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현가스프링의 지지수단인 스너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용기(1)(2)의 내부에 고정자(3)와 회전자(4)로 이루어지는 전동 기구부(5)와, 상기 회전자(4)의 중앙에 압입 고정된 크랭크 샤프트(6)의 회전 동작에 의해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후 토출시키는 압축 기구부(7)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압축 기구부(7)는 냉매의 흡입 공간을 이루는 실린더(8)가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 블록(9)과, 상기 크랭크 샤프트(6)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실린더(8)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10)과, 상기 실린더(8)의 단부에 복개 고정되는 실린더 헤드(11)와, 상기 실린더(8)와 실린더 헤드(11)의 사이에 개재되어 냉매를 실린더(8)의 내부로 흡입함과 아울러 압축 냉매를 토출시키는 밸브장치(12)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11)의 상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머플러(13)가 고정자(3)와 밀착되는 형태로 세워져 고정되며, 그 머플러(13)에는 하부 용기(2)를 관통하여 설치된 흡입관(14)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는 흡입관(14)을 통하여 흡입된 냉매가 머플러(13)를 지나 실린더 헤드(11) 및 밸브장치(12)를 통과한 후 실린더(8)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 과정과, 크랭크 샤프트(6)의 회전에 따른 피스톤(1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하여 흡입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 과정과, 상기 실린더(8)의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가 다시 밸브장치(12) 및 실린더 헤드(11)를 통해 토출 경로를 따라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 과정을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냉매의 흡입, 압축 및 토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피스톤(10)이 고속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되므로 심한 진동이 발생되며, 또한, 압축기의 유통시에도 심한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이 실린더 블록(9)을 통해 주변 장치나 하부 용기(2)로 전달될 경우 압축기의 작동 불능 또는 심한 소음이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 저하 및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축기에는 현가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현가 장치는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9) 저면의 모서리부에 각각 돌출 형성된 보스(9a)와, 보스(9a)와 대응되는 위치의 압축기 하부 용기(2)의 바닥면에 각각 용접 결합된 비금속류인 스너버(snubber)와, 보스(9a)와 스너버의 사이에 개재되는 현가스프링(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너버는 원통형의 몸체(30)와, 몸체(30)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현가스프링(20)을 지지하는 지지턱(31)과, 지지턱(31)을 중심으로 그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부(32) 및 수직 원통부(33)와, 수직 원통부(33)의 하부에 형성되는 용접 결합부(34)로 구성된다.
상기 용접 결합부(34)는 하부 용기(2)와의 용접 결합시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즉,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스너버의 제조 공정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30)를 단조가공을 통해 제조하며, 원뿔형의 용접 결합부(34)는 선반가공을 통해 제조한다.
이러한 종래 현가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피스톤(10)이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며, 이 때, 피스톤(10)의 운동에 의해 심한 진동이 발생된다.
이 진동은 실린더 블록(9)으로 전달되고, 실린더 블록(9)으로 전달된 진동은 보스(9a)를 통해 현가스프링(20)으로 전달된다.
현가스프링(20)은 비금속류인 스너버의 지지를 받으면서 수축 또는 팽창되면서 전달된 진동을 흡수 및 분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현가 장치의 스너버에 있어서, 그 제조 공정시 수직 원통부(33)와 용접 결합부(34)의 연결부가 각을 이루고 있고, 또한, 용접 결합부(34)가 원뿔형이기 때문에 단조가공을 통해서는 제조할 수 없으므로 선반가공을 통해 제조하였다. 따라서, 스너버의 제조를 위해서는 단조가공 및 선반가공 2가지의 공정이 요구되므로 제조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조가공과 선반가공시 각각 별도의 공구나 장치가 사용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로워짐과 아울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안출된 것으로,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현가스프링의 지지수단인 스너버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너버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공구나 장치 또는 작업량을 감소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축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현가 장치를 보인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 스너버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스너버의 제조 공정 단계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몸체 31 : 지지턱
32 : 스프링 고정부 33 : 수직 원통부
34 : 용접 결합부 35 : 제 1평면부
36 : 제 2평면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통형 몸체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의 하부에는 수직 원통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 원통부의 하부에는 하부 용기에 용접 결합되는 원뿔형의 용접 결합부가 형성되어 현가스프링을 지지하는 스너버에 있어서,
상기 수직 원통부와 용접 결합부의 연결부에 제 1평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원뿔형으로 이루어진 용접 결합부의 하단부에 제 2평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스너버는, 원통형의 몸체(30)와, 몸체(30)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지지턱(31)과, 지지턱(31)의 상부에 형성되며 현가스프링(미도시)이 끼워지는 스프링 고정부(32)와, 지지턱(31)의 하부에 위치된 수직 원통부(33)와, 수직 원통부의(33) 하부에 형성되며 압축기 하부에 용기(미도시)의 바닥면에 용접 결합되는 테이퍼 형상의 용접 결합부(34)와, 수직 원통부(33)와 용접 결합부(34)의 연결부에 형성된 제 1평면부(35)와, 용접 결합부의 최하단에 형성된 제 2평면부(36)로 구성된다.
제 1평면부(35)는 수직 원통부(33)와 용접 결합부(34) 직경의 차이가 되는 것이다.
제 2 평면부(36)는 용접시 하부 용기와의 접촉면적을 감안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 스너버에 의하면, 수직 원통부(33)와 용접 결합부(34)의 연결부 및 용접 결합부(34)의 하단이 각을 이루지 않고 평면으로 형성되어 예리한 부분이 없어짐에 따라 종래와 같이 용접 결합부의 형성을 위한 선반가공 공정이 없어지게 되어 한번의 단조가공을 통해 그 제조가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스너버에 의해 단조가공 하나의 공정을 통해 스너버의 제조가 완료되므로 제조시간 및 공정이 단축되어 작업 능률 및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원통형 몸체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턱의 하부에는 수직 원통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 원통부의 하부에는 하부 용기에 용접 결합되는 원뿔형의 용접 결합부가 형성되어 현가스프링을 지지하는 스너버에 있어서,
    상기 수직 원통부와 용접 결합부의 연결부에 제 1평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원뿔형으로 이루어진 용접 결합부의 하단부에 제 2평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
KR2019970026559U 1997-09-25 1997-09-25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 KR200165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559U KR200165736Y1 (ko) 1997-09-25 1997-09-25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559U KR200165736Y1 (ko) 1997-09-25 1997-09-25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303U KR19990013303U (ko) 1999-04-15
KR200165736Y1 true KR200165736Y1 (ko) 2000-01-15

Family

ID=1951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559U KR200165736Y1 (ko) 1997-09-25 1997-09-25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7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303U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304316A (ja) サスペンションスプリング
US5252038A (en) Hermetic motor-driven compressor
US6390788B1 (en) Working-fluid intaking structure for hermetic compressor
CN1421609A (zh) 往复压缩机
KR100350805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165736Y1 (ko) 압축기용 현가장치의 스너버
JP2004060634A (ja) 密閉型往復式圧縮機のクランクシャフトの製造方法
US4238172A (en) Hermetic motor-compressor
EP1348076B1 (en) Mounting structure of piston pin for hermetic compressor
EP3530941B1 (en) Linear compressor
KR200165733Y1 (ko) 압축기의 현가스프링 고정구조
KR20010061720A (ko) 밀폐형 압축기의 운동변환장치
KR100241490B1 (ko) 압축기의 현가 장치
KR101366563B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200165730Y1 (ko) 압축기용 흡입머플러의 냉매흡입관 결합구조
EP3643919B1 (en) Compressor including cylinder block corresponding to outer rotor type motor
KR100244378B1 (ko) 압축기의현가장치
US20050053479A1 (en) Compressor
KR100520069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296582B1 (ko) 압축기의라인토출튜브
JP2003155978A (ja) 密閉形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24996Y1 (ko) 밀폐형 압축기의 구동기구부
KR200230841Y1 (ko) 압축기의토출머플러
KR100767119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224997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