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691Y1 -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의 강성구조 - Google Patents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의 강성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5691Y1 KR200165691Y1 KR2019970024882U KR19970024882U KR200165691Y1 KR 200165691 Y1 KR200165691 Y1 KR 200165691Y1 KR 2019970024882 U KR2019970024882 U KR 2019970024882U KR 19970024882 U KR19970024882 U KR 19970024882U KR 200165691 Y1 KR200165691 Y1 KR 20016569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handle rod
- handle
- bent
- loa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시간 사용할 때에도 핸들 로드의 밴딩구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유지하여 핸들의 작동시 핸들 로드의 불량으로 인한 도어의 개폐작동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웃 사이드 핸들 로드의 강성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하를 다단으로 절곡하고 하중에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양단부에 보강리브(13)를 형성한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도어 핸들(미도시)과 연결되는 체결돌기(2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하단에 형성되고 록 콘트롤 레버(미도시)와 연결되는 장공(30)과, 상기 플레이트(10)의 절곡부(11) 중앙에 형성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절곡홈(12)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아웃 사이드 핸들의 로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시간 사용할 때에도 핸들 로드의 밴딩구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유지하여 핸들의 작동시 핸들 로드의 불량으로 인한 도어의 개폐작동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웃 사이드 핸들 로드의 강성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도어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 핸들과 잠금장치인 래치를 설치하였는데, 상기 잠금장치인 래치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에 래치를 개방하는 아웃 사이드 핸들 로드를 연결하여 핸들의 작동시 핸들 로드가 래치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핸들 로드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핸들 로드(1)는 상단에 도어 핸들(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2)를 형성한다.
또한 핸들 로드(1)의 하단은 프레스로 눌러서 평면으로 압출한 후, 장공(3)을 형성하여 록 콘트롤 레버(미도시)와 힌지(미도시)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들 로드(1)는 도어 핸들 및 래치(미도시)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단계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핸들 로드(1)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승객이 상기 도어 핸들을 작동하면 상기 도어 핸들에 연결된 핸들 로드(1)가 록 콘트롤 레버를 작동시켜 래치를 개방하므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핸들 로드(1)는 상기 도어 핸들의 작동시 래치에 힘을 전달하여 래치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핸들 로드(1)는 가는 재질의 환봉을 다단으로 절곡하여 형성하였으므로, 첫째 ; 장기간 반복해서 사용할 때 내구성이 약화되고 상기 절곡된 밴딩구간이 본래의 형상으로 복구되어 도어 핸들의 작동에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래치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도어 핸들의 작동시 움직이지 않아 도어가 개방되지 못하는 등 제품의 신뢰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고, 둘째 ; 하단부의 평면 제작을 위한 프레스 작업으로 인한 작업공정추가로 제작시간 및 제작비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장기간 사용할 때에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핸들의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아웃 사이드 핸들 로드의 강성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핸들 로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핸들 로드 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a ; 핸들 로드 2, 20 ; 체결돌기
3, 30 ; 장공 10 ; 플레이트
11 ; 절곡부 12 ; 절곡홈
13 ; 보강리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를 다단으로 절곡하고 하중에 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양단부에 보강리브를 형성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도어 핸들과 연결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고 록 콘트롤 레버와 연결되는 장공과, 상기 플레이트의 절곡부 중앙에 형성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절곡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를 다단으로 절곡하고 하중에 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양단부에 보강리브(13)를 형성한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도어 핸들(미도시)과 연결되는 체결돌기(2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하단에 형성되고 록 콘트롤 레버(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한 장공(30)과, 상기 플레이트(10)의 절곡부(11) 중앙에 형성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절곡홈(12)으로 구성한다.
상기 플레이트(10)는 양측면을 절곡하여 보강리브(1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의 절곡부(11) 중앙에는 절곡홈(12)을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11)가 상하측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핸들 로드(10a)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핸들 로드(10a)의 작동은 종래와 같으나, 상기 핸들 로드(10a)의 재질이 플레이트(10)의 판재로 되어 있고, 양단부에 형성된 보강리브(13)가 외압으로부터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절곡부(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부(11)의 절곡홈(12)이 상기 핸들 로드(10a)로부터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므로, 상기 핸들 로드(10a)의 상하작동시 래치(미도시)와 마찰 되면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분산시켜 상기 절곡부(11)의 원형복귀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아웃 사이드 핸들 로드의 강성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때에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 핸들의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제작시 발생되는 비용과 작업 공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상하를 다단으로 절곡하고 하중에 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양단부에 보강리브를 형성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도어 핸들과 연결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되고 록 콘트롤 레버와 연결되는 장공과, 상기 플레이트의 절곡부 중앙에 형성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절곡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 사이드 도어 핸들의 강성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4882U KR200165691Y1 (ko) | 1997-08-30 | 1997-08-30 |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의 강성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24882U KR200165691Y1 (ko) | 1997-08-30 | 1997-08-30 |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의 강성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1526U KR19990011526U (ko) | 1999-03-25 |
KR200165691Y1 true KR200165691Y1 (ko) | 2000-01-15 |
Family
ID=1950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24882U KR200165691Y1 (ko) | 1997-08-30 | 1997-08-30 |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의 강성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5691Y1 (ko) |
-
1997
- 1997-08-30 KR KR2019970024882U patent/KR20016569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1526U (ko) | 1999-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2316439A (en) | Latch device for vehicle back door | |
US5046341A (en) | Car locking device | |
US5505506A (en) |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composite housing | |
KR200165691Y1 (ko) |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의 강성구조 | |
KR100336690B1 (ko) |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록킹장치 | |
JP2948751B2 (ja) | 電気機器収納用ボックスの錠装置 | |
KR100448576B1 (ko) | 상용차의 리어 데크의 사이드 게이트 휨 방지 구조 | |
KR200141344Y1 (ko) |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의 도어 래치 연결구조 | |
JPH0742455U (ja) | 部品取付け用グロメット | |
KR0125684Y1 (ko) | 도난방지용 차량도어록 장치 | |
KR200150168Y1 (ko) | 자동차도어의 록킹노브 | |
KR950007496Y1 (ko) |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 |
KR100423087B1 (ko) |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핸들 구조. | |
KR0114715Y1 (ko) | 차량용 도어 록킹 버튼 | |
JPS59102620A (ja) | 車両用ドアの補強構造 | |
JP2739668B2 (ja) | 車両用ロックレバー等のオーバーセンタバネの取付構造 | |
MXPA00011946A (es) | Estructura de cerrojo. | |
KR19990005644U (ko) |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 | |
KR100387681B1 (ko) | 헤치백 차량의 리어필라 보강구조 | |
JPH0240214Y2 (ko) | ||
JP3142053B2 (ja) | 車両用ロック装置 | |
KR200275342Y1 (ko) |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 | |
JPH0135528Y2 (ko) | ||
KR0135156Y1 (ko) | 자동차 도어의 센터트림 마운팅부 보강구조 | |
KR19990021438A (ko) | 잠금장치가 설치된 냉장고의 도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