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496Y1 -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496Y1
KR950007496Y1 KR2019930015126U KR930015126U KR950007496Y1 KR 950007496 Y1 KR950007496 Y1 KR 950007496Y1 KR 2019930015126 U KR2019930015126 U KR 2019930015126U KR 930015126 U KR930015126 U KR 930015126U KR 950007496 Y1 KR950007496 Y1 KR 950007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oor
binding
handle
oper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310U (ko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블럭스위치
이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블럭스위치, 이상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블럭스위치
Priority to KR2019930015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496Y1/ko
Publication of KR950006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3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베어링세트 및 결속부재의 체결상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베어링 세트의 체결상태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2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분해 사시도.
제8a, b, c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결속부재의 작동 상태도.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허브 및 잠금장치의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X-X선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문짝 B : 콘테이너본체
C : 작동봉 D, E : 베어링세트
F : 결속부재 H : 잠금장치
I : 허브 1 : 부시
2, 3 : 돌기 4 : 보강부
5, 6 : 구멍 7, 77 : 베어리커버
7a : 체결구멍 8 : 스토퍼링
9 : 연결부 10, 11 : 걸고리
12 : 돌출부 16 : 핸들
17 : 핸들지지구 18 : 핸들고정구
19 : 단턱부 20 : 나사부
21 : 결합핀 22 : 고정핀
78 : 호형절곡부 79 : 단차부
본 고안은 콘테이너 문짝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운송용 콘테이너 또는 유개차량의 문짝을 결속 및 개폐하는 문짝결속장치의 구성 부품 각각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동시에 그 수를 줄여 결속장치의 제작 및 설치를 이용하게 하는 동시에 결속 및 개폐동작을 확실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의 화물운송용 콘테이너나 유개차량에 사용되고 있는 결속 장치의 경우에는 실용신안공고 제90-9782호로서 공고되어 있는 문짝결속장치를 적용 실시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공고 제90-9782호의 문자결속장치는 결속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결속장치의 제작 및 설치에 상당한 번거로움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구성부품들의 수명이 짧아 그만큼 결속장치의 수명이 단축될 수 밖에 없으며 또한 문짝을 결속한 상태에서 문짝의 비정상적인 개봉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없는데 따른 결속장치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냉동콘테이너의 경우 문짝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상기 종래의 결속장치를 이용해 문짝을 개폐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느끼는 개폐작업시의 어려움은 매우 큰 것이어서 특히 결속상태에서 문짝을 열때는 종래 결속장치의 구조상 매우 큰 힘을 요구하므로 그에따른 작업자의 육체적 피로를 가중시키는 등의 여러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짝결속장치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결속장치의 구성부품수를 현저히 줄여 결속장치의 문짝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문짝의 개폐동작이 원활히 이루어 지도록 하는 한편 문짝의 부정한 개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결속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한 콘테이너용 문짝 결속장치를 제공함을 그 모걱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콘테이너 혹은 유개트럭의 본체(B)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문짝(A)의 개폐작동을 위한 작동봉(C)이 끼워져 회동하는 베어링 세트(D)(E)가 일정간격을 두고 부착되며, 상기 작동봉(C)의 양단에는 본체(B)상하에 용접등에 의해 부착된 공지의 지지부재(G)에 결속되는 결속부재(F)가 부착고정되어 문짝을 긴밀하게 결속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작동봉(C)의 중간에는 잠금장치(H)가 굴대설치되도록 허브(1)를 부착하여 문짝의 실질적인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제2도는 베어링세트(D)와 결속부재(F)및 지지부재(G)체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제3도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세트(D)는 상면과 측면에 다수의 돌기(2)(3)를 돌설하고 내부에 작동봉(C)이 끼워져 회동하도록 중공부를 형성하며 저부를 편평한 보강부(4)로서 형성한 몸체를 양분한 부시(1)의 외면에 상기 돌기(2)(3)가 끼어져 결합되는 구멍(5)(6)을 형성한 대략 역 U자형 단면을 갖는 베어링커버(7)를 씌운후 상기 베어링커버(7)측면에 형성된 체결구멍(7a)에 의해 콘테이너 문짝(A)에 고정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어링세트(D)의 양단에 문짝(A)이 개방되었을때 작동봉(C)이 자중에 의해 축방햐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문짝(A)이 닫힌 상태에서 콘테이너 본체(B)에 측면으로부터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작동봉(C)으로 하여금 버팀지주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스토퍼링(8)이 각각 용접설치된다.
상기 베어링세트(D)를 구성함에 있어 베어링커버(7) 대신에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을 프레스성형(forming)하여 호형 절곡부(78)를 형성함으로써 선단측 스토퍼링(8)의 존재를 필요없게한 베어링커버(77)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상기 호형절곡부(78)에 의해 스토퍼링(8)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며, 호형적곡부(78)내로 끼워져 부착고정되는 결속부재(F)의 연결부(9) 직경에 맞추어 그 선단을 단차부(79)로서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베어링세트(D)는 부시(1)를 양분하여 형성하되 저부를 보강부(4)로서 구성하여 이부분이 문짝(A)에 밀접되게 함으로써 부시(1)를 받치기위한 별도의 받침부재가 필요없게 되며 부시(1)에 형성된 돌기(2)(3)로 하여금 베어링커버(7)의 구멍(5)(6)에 끼워지게하여 그 조립역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 조립이 되면 일부러 부시를 빼내기전에는 항상 부시(1)와 베어링커버(7)가 일체인 상태로 되므로 문짝(A)으로부터 작동봉(C)이 끼워진채 베어링세트(D)를 탈거하더라도 베어링세트(D)는 고스란히 작동봉(C)에 끼워진 상태로 되므로 콘테이너 도장작업시 문짝결속장치의 분리작업도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설명한 베어링 세트(D)보다 문짝(A)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베어링세트(E)의 경우는 상기 베어링세트(D)에 비해 그 크기(길이)만 작을뿐 구성은 동일한 것이므로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제3도 및 제7도에서 알수 있듯이 상기 베어링세트(D)(E) 내부에 끼워져 회동하는 작동봉(C)양단에 연결부(9)에 의해 부착설치되는 결속부재(F)는 기존의 결속부재에 비해 적은힘으로 더욱 큰 각도로 문짝(A)을 열수 있도록 한 것인바, 연결부(9)의 타단양측에는 길이가 다른 다수의 걸고리(10)(11)를 형성하되 짧은 걸고리(11)의 상면에는 돌출부(12)를 형성하여 상기 골거리(10)(11)로 하여금 공지의 지지부재(13)의 걸이부(14)및 끼움부(15)에 결속되게하여 문짝(A)을 개폐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 경우 문짝을 열기위해 작동봉(C)을 회전시키게되면 제8도의 (가)(나)(다)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길이가 긴 걸고리(10)가 지지부재(13)의 몸체 저면과 접촉하면서 일어나 수직으로된 상태에서 작동봉(C)이 계속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결속부재(F)의 짧은 걸거리(11)상면에 형성된 돌출부(12)는 지지부재(13)의 걸이부(14)상면과 다시 접촉하면서 지렛대 역할을 하게되어 길이가 긴 걸고리(10)가 문짝과 수평으로 될정도로 회전하게되므로 결속부재(F)는 그만큼 더 회전하게되어 문짝(A)의 열림정도를 더욱 크게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제8a도에서 도시한 상태, 즉 문짝(A)이 닫힌상태의 작동봉(C)의 중심점과 지지부재(13)의 바닥면, 다시말해 콘테이너 본체(B)면과의 거리를 ℓ로본다면, 지금까지의 결속부재는 문짝을 개방하기 위해 회동하였을때 작동봉(C)의 중심점은 제8도의(나)에 도시한 바와같이,ℓ+0=L의 위치로 이동하게되므로 0만큼의 열림공간이 발생되게 되는 것인데, 이 상태에서 계속해서 작동봉(C)을 회전시키게 되면 본 고안의 결속부재(F)는 돌출부(12)의 존재에 의해 작동봉(C)의 중심점이 상기 제8도의(나)의 위치에서 제8도의(다)에 도시한 바와같이 L+만큼 더 이동하게 되므로만큼의 열림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게되는 것이어서 작업자가 후동작(後動作)으로서 문짝(A)를 열기가 한결 수월해지게 된다.
또한 제9도는 잠금장치(H)의 핸들(16)이 작동봉(C)의 중간위치에 고정핀(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허브(I)는 기존의 허브보다 그 길이를 길게함으로써, 만일의 경우 콘테이너를 부정한 의도로 개방하기 위해 봉인(seal) 상태하에서 핸들(16)을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고정핀(22)을 파손시킨다 하더라도 핸들(16)선단은 허브(I)로부터 절대 빠져나올 수 없게하여 부정한 의도에 따른 비정상적인 콘테이너 문짝(A)의 개방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서 핸들(16)을 잠그거나 풀수 있도록 문짝(A)에 설치된 핸들지지구(17)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고정구(18)를 결합핀(21)으로서 결합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결합핀(21)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의 머리부 하측에 상기 핸들 고정구(18)의 두께보다 큰 높이로 단턱부(19)를 형성하고 다시 상기 단터구(19)에 연장해서 그보다 직경이 작게 나사부(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턱부(19)의 존재에 의해 종래의 결합핀에 별도로 끼워 사용하던 부시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여 그만큼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것이다.
이는 다시말해 핸들고정구(18)가 결합핀(21)의 단턱부(19)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동하여 핸들(16)을 잠그거나 풀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핀(21)은 상술한 잠금장치(H)이외에도 공지의 모든 잠금장치에 적용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핸들고정구(18)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핸들(16)을 잠그거나 풀수 있게한 것이며 본 고안의 결합핀(21)은 어떠한 잠금장치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수 있듯이 본 고안의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에 의하면, 결속장치를 이루고 있는 구성부품의 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개선함으로써, 문짝결속장치의 제작 및 설치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힘으로 콘테이너 문짝을 열고 닫을 수 있게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속장치의 수명연장을 가능하게 하여 나아가서는 콘테이너의 수명연장도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상면과 측면에 다수의 돌기(2)(3)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작동봉(C)이 끼워지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그 저부를 편평한 보강부(4)로서 형성한 몸체를 양분하여 형성한 부시(1)의 외면에, 상기 돌기(2)(3)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멍(5)(6)을 형성한 단면이 대략 역 U자형의 베어링커버(7)를 씌워서 되는 베어링세트(D)(E)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진 상기 작동봉(C)의 양단에는, 일단을 연결부(9)로 형성하고 타단은 다수의 걸고리(10)(11)로서 형성하되 짧은 걸고리(11)의 상면에는 돌출부(12)를 형성한 결속부재(F)를 결합부착하고, 상기 작동봉(C)의 중간에는, 핸들고정구(18)의 두께보다 큰 높이의 단턱부(19)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그보다 직경이 작은 나사부(20)를 연장형성한 결합핀(21)에 의해 핸들고정구(18)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잠금장치(I)의 핸들(16)을 고정하기 위해 폭보다 길이가 긴 허브(I)를 부착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세트(D)의 베어링커버(7) 양단에 공지의 스토퍼링(8)을 각각 부착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커버는, 그 선단을 프레스성형(formig)하여 호형절곡부(78) 및 단차부(79)를 구비한 베어링커버(77)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KR2019930015126U 1993-08-07 1993-08-07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KR950007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126U KR950007496Y1 (ko) 1993-08-07 1993-08-07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126U KR950007496Y1 (ko) 1993-08-07 1993-08-07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310U KR950006310U (ko) 1995-03-20
KR950007496Y1 true KR950007496Y1 (ko) 1995-09-13

Family

ID=1936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126U KR950007496Y1 (ko) 1993-08-07 1993-08-07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4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87B1 (ko) * 2014-06-11 2015-01-12 (주)동양특장 개선된 압축용 도어를 구비한 암롤박스
KR101537076B1 (ko) * 2014-08-19 2015-07-17 주식회사 포유텍 일체형 컨테이너 도어 락킹 장치 및 설치 방법과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87B1 (ko) * 2014-06-11 2015-01-12 (주)동양특장 개선된 압축용 도어를 구비한 암롤박스
KR101537076B1 (ko) * 2014-08-19 2015-07-17 주식회사 포유텍 일체형 컨테이너 도어 락킹 장치 및 설치 방법과 제조 방법
WO2016028054A1 (ko) * 2014-08-19 2016-02-25 주식회사 포유텍 일체형 컨테이너 도어 락킹 장치 및 설치 방법과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310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48678B (zh) 惯性驱动锁定装置
US7455137B2 (en) Industrial truck with force-transmitting door with double hinge
KR100268355B1 (ko) 자동차도어모듈
CN101353937B (zh) 卡板式汽车门锁
US3695661A (en) Door control mechanism
KR950007496Y1 (ko) 콘테이너 문짝 결속장치
US4602720A (en) Locking bar for pivoted doors
US6854775B2 (en) Bar lock assembly
KR102356019B1 (ko) 지게차 캐빈의 도어
EP1612350B1 (en) System for locking doors on goods boxes
DE4118427C2 (de) Schloß, insbesondere Treibstangenschloß
KR200209224Y1 (ko) 화물자동차용 적재함 잠금구
KR960006557Y1 (ko) 콘테이너 도어 잠금용 결속구
KR0181867B1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노브 취부구조
KR200374484Y1 (ko) 차량용 공구함 잠금장치
KR960001150Y1 (ko) 유개트럭의 문짝 잠금장치
CN211287105U (zh) 一种智能挂锁中的锁舌结构
KR200142757Y1 (ko)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
JP4526052B2 (ja) ラッチ錠
JPH052370Y2 (ko)
EP1497519B1 (de) Kipperverschluss
CN117988637A (zh) 一种门窗锁及门窗装置
KR930005355Y1 (ko) 버스 적재함 2중 록킹장치
KR20240050609A (ko) 자동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되는 착탈식 자동차용 하드 탑
KR940005683Y1 (ko) 자동차의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