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342Y1 -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342Y1
KR200275342Y1 KR2020020004690U KR20020004690U KR200275342Y1 KR 200275342 Y1 KR200275342 Y1 KR 200275342Y1 KR 2020020004690 U KR2020020004690 U KR 2020020004690U KR 20020004690 U KR20020004690 U KR 20020004690U KR 200275342 Y1 KR200275342 Y1 KR 200275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housing
key
box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동
Original Assignee
오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동 filed Critical 오영동
Priority to KR2020020004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3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342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박스도어에 매립되게 설치함으로서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특장차의 미관을 좋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시건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내부에 키어셈블리를 장착하여 키에 의하여 잠김 및 해제시킨 후 손으로 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효과적으로 도난방지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품질향상 및 신뢰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Lock device of door for a freight car}
본 고안은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도어에 매립되게 설치되어지고 키에 의하여 잠김 및 해제시킨 후 손으로 쉽게 개폐시킬 수 있음은 물론 효과적으로 도난방지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1)에는 도1에서와 같이 적재함에 물건을 적재 운반할 수 있도록 좌우 개폐되는 한쌍의 박스도어(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박스도어(2)에는 적재된 물건의 낙하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록킹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록킹장치는 박스도어(2)의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록킹바(3)와 이 록킹바(3)의 손잡이부위(3a)에 설치하여 록킹바(3)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자물통(4)등의 시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록킹바(3)의 상,하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돌기는 록킹바(3)가 좌우 회전하게 되면 걸림부재(5)에서 이탈 및 결합됨으로서 박스도어(2)를 잠금 및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록킹장치를 이용하여 박스도어(2)를 잠금 및 해제가능하다는 잇점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록킹장치는 타인으로부터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자물통(4)등의 시건장치를 장착하였던바, 이로 인하여 박스도어(2)를 개폐시킬시에는 시건장치를 해체하거나 잠금해야되는 소정의 과정이 더 요구되는 등의 번거로움이발생될 뿐만 아니라 자물통(4)등의 시건장치등은 도난방지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록킹바(3)가 박스도어(2)의 외측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특장차의 미관상에도 좋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박스도어에 매립되게 설치됨으로서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특장차의 미관을 좋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시건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내부에 키어셈블리를 장착하여 키에 의하여 잠김 및 해제시킨 후 손으로 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효과적으로 도난방지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품질향상 및 신뢰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록킹장치가 특장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가 특장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개폐레버의 저면 사시도,
도5a,5b,5c,5d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특장차 200 ; 박스도어
300 ; 하우징 310 ; 함체실
320, 410 ; 연결구멍 330 ; 브라켓
340 ; 힌지 400 ; 개폐레버
420 ; 키어셈블리 430 ; 로커
440 ; 눌림레버 442 ; 걸림단부
450 ; 힌지축 460 ; 걸림레버
470 ; 압축스프링 500 ; 록킹바
600 ; 걸림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특장차의 박스도어 내측으로 배면이 매입됨과 동시에 전면은 개방되어 박스도어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매입된 몸체부위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일단은 박스도어 내부의 상하측에 고정설치되는 통상의 걸림부재상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연결구멍에 삽입되는 록킹바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일측은 록킹바의 타단과 연결되고몸체상에는 통상의 키어셈블리가 설치되어 키에 의해 잠김이 해제시에는 일정구간만큼 전후로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회동시에는 록킹바를 연동되게 회전시킴으로서 록킹바의 일단을 걸림부재상에서 이탈 및 결합되도록 하는 개폐레버와;
상기 개폐레버의 몸체부위중 키어셈블리의 근접된 위치로는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힌지축상에 하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림되어지는 눌림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키어셈블리의 하단으로는 잠금상태에 있을시 눌림레버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단부가 걸리게 됨으로서 눌림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키어셈블리에 키가 삽입되어 소정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연동되어 회전되는 로커가 장착되며, 상기 눌림레버의 하단이 연결되는 힌지축상에는 로커가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눌림레버를 누르게 되면 일단이 하우징의 힌지상에서 이탈되어 걸림해제되는 걸림레버의 타단이 연결되어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록킹장치가 특장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가 특장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개폐레버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5a,b,c,d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는 박스도어를 잠글 시에 별도의 자물통등의 시건장치를 필요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키에 의해 잠김 및 해제시킨후 박스도어를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2 내지 도5에서와 같이 크게 특장차(100)의 박스도어(200) 내측으로 일부분이 매입 설치되는 하우징(300)과, 이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키에 의해 잠김/해제되어지는 개폐레버(400) 및 잠김이 해제되어 개폐레버(400)가 일정구간만큼 회동시에는 연동되어 회전되어짐으로서 통상의 걸림부재(600)에 이탈 및 결합되어지는 록킹바(500)가 동원되어진다.
이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록킹장치는 도2 내지 도5에서와 같이 특장차(100)의 박스도어(200) 내측으로 배면이 매입됨과 동시에 전면은 개방되어 박스도어(200)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300)의 매입된 몸체부위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통상의 걸림부재(600)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3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구멍(320)에 대응되게 연결되는 록킹바(500)와;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록킹바(500)의 타단이 일측에 연결되어 키에 의해 잠김이 해제시에는 일정구간만큼 전후로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회동시에는 록킹바(500)를 연동되게 회전시킴으로서 록킹바(500)의 일단을 걸림부재(600)상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개폐레버(400)를 구비하되,
상기 개폐레버(400)의 몸체상에는 통상의 키어셈블리(420)와, 이 키어셈블리(420)의 하단에 장착되어 잠금상태에 있을시에는 개폐레버(400)에 형성된 눌림레버(440)가 눌림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키어셈블리(420)에 키가 삽입되어 소정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연동되어회전하는 로커(430)와, 눌림레버(440)의하부에 구비되는 힌지(442)에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로커(430)가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눌림레버(440)를 누르게 되면 하우징(300)의 힌지(340)상에서 이탈되어 걸림해제되는 걸림레버(444)로서 구성된다.
하우징(300)은 후기에 설명될 개폐레버(4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전면부는 개방되어 함체실(310)이 형성됨과 동시에 박스도어(200) 내측으로 매입된 몸체부위 중 상하 양측일정부위에는 연결구멍(320)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 연결구멍(320)에는 박스도어(200) 내부 상하측에 고정설치된 통상의 걸림부재(600)상에 각각 일단이 결합되는 록킹바(500)의 타단이 삽입되어진다.
또한, 하우징(300)의 함체실(310) 내부 일정부위에는 하우징(300)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330)상에 힌지(340)가 고정설치되어지며, 전면부의 테두리부에는 박스도어(200)에 체결볼트로서 체결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체결구멍(350)을 갖는다.
상기 개폐레버(400)는 키에 의해 잠김 및 해제될 수 있도록 몸체상에는 통상의 키어셈블리(420)가 장착되어 하우징에 설치되는 바, 개폐레버(400)의 좌우 양측으로는 하우징(300)의 연결구멍(310)과 대응되게 연결구멍(410)이 형성되며, 이 연결구멍(410)은 하우징(300)의 연결구멍(310)에 삽입된 록킹바(500)의 타단과 연결됨으로서 개폐레버(400)는 일정구간만큼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개폐레버(400)의 연결구멍(410)에 삽입된 록킹바(500)의 타단은 고정부재(700)로서 고정되어짐으로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개폐레버(400)에 장착된 키어셈블리(420)의 하단으로는 잠금상태에 있을시 후기에 설명될 눌림레버(440)를 사용자가 눌러도 하향 작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키가 삽입되어 소정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는 로커(430)가 장착되어진다.
또한, 개폐레버(400)의 몸체 부위중 키어셈블리(420)의 근접된 위치로는 눌림레버(440)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눌림레버(440)는 개폐레버(400)에 가로방향으로 고정설치된 힌지축(450)상에 하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하단 중앙부위에는 로커(430)가 회전되지 않았을시 눌림레버(440)을 누르게 되면 로커(430)에 걸리게 되는 걸림단부(4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눌림레버(440)의 하단이 연결되는 힌지축(450)상에는 눌림레버(440)를 누르게 되면 하우징(300)의 힌지(340)와 결합되어 있던 일단이 이탈되어 걸림해제되는 걸림레버(460)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바, 이 걸림레버(460)의 하부로는 압축스프링(470)이 구비되어 잠금상태에서는 걸림레버(460)의 일단이 항상 하우징(300)의 힌지(340)에 걸림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는 하우징(300)의 전면부와 이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장착되는 개폐레버(400)만이 박스도어(200)에 돌출되게 설치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박스도어(200)를 개방시킬시에는 사용자는 소정의 키를 개폐레버(400)에 장착된 키어셈블리(420)에 삽입한 후 소정각도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키어셈블리(420)의 하단에 장착된 로커(430)는 키어셈블리(420)와 연동되어 소정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폐레버(400)의 눌림레버(440)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누르게 되면 눌림레버(440)는 하향작동됨과 더불어 하우징(300)의 힌지(340)상에 걸림되어 있던 걸림레버(444)의 일단이 이탈되어 걸림해제되며 사용자는 개폐레버(400)를 일정구간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개폐레버(400)의 양측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진 록킹바(50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바, 이때 록킹바(500)의 타단 즉, 박스도어(200)) 상하측에 고정설치된 걸림부재(600)상에 결합되었던 록킹바(500)의 타단이 이탈되면서 잠금이 해제되어 박스도어(2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는 반대로 박스도어(200)를 잠김하고자 할 시에는 개폐레버(400)를 하우징(300) 내부측으로 회전시킨 후 소정의 누르는 힘을 가하게 되면 걸림레버(440)의 일단이 하우징(300)의 힌지(340)에 걸림되어지며, 이때 록킹바(500)의 일단은 걸림부재(600)에 결합되어진다.
그 다음 키로서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잠김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특장차의 박스도어에 매립되게 설치됨으로서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특장차의 미관을 좋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시건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내부에 키어셈블리를 장착하여 키에 의하여 잠김 및 해제시킨 후 손으로 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효과적으로 도난방지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품질향상 및 신뢰성이 증진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특장차(100)의 박스도어(200) 내측으로 배면이 매입됨과 동시에 전면은 개방되어 박스도어(200)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300)의 매입된 몸체부위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일단은 박스도어(200) 내부의 상하측에 고정설치되는 통상의 걸림부재(600)상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300)의 연결구멍(320)에 삽입되는 록킹바(500)와;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일측은 록킹바(500)의 타단과 연결되고 몸체상에는 통상의 키어셈블리(420)가 설치되어 키에 의해 잠김이 해제시에는 일정구간만큼 전후로 회동가능함과 동시에 회동시에는 록킹바(500)를 연동되게 회전시킴으로서 록킹바(500)의 일단을 걸림부재(600)상에서 이탈 및 결합되도록 하는 개폐레버(400)와;
    상기 개폐레버(400)의 몸체부위중 키어셈블리(420)의 근접된 위치로는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힌지축(450)상에 하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림되어지는 눌림레버(440)가 설치되고, 상기 키어셈블리(420)의 하단으로는 잠금상태에 있을시 눌림레버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단부(442)가 걸리게 됨으로서 눌림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키어셈블리(420)에 키가 삽입되어 소정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연동되어 회전되는 로커(430)가 장착되며, 상기 눌림레버(440)의 하단이 연결되는 힌지축(450)상에는 로커(430)가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눌림레버(450)를 누르게 되면 일단이 하우징(300)의 힌지(340)상에서 이탈되어 걸림해제되는 걸림레버(460)의 타단이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
KR2020020004690U 2002-02-18 2002-02-18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 KR200275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690U KR200275342Y1 (ko) 2002-02-18 2002-02-18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690U KR200275342Y1 (ko) 2002-02-18 2002-02-18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342Y1 true KR200275342Y1 (ko) 2002-05-11

Family

ID=7307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690U KR200275342Y1 (ko) 2002-02-18 2002-02-18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3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461A (en) Safety gate for children
US5881585A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unlocking a door lock and a dead bolt
US6857298B2 (en) Double action push button locking system
US5709111A (en) Lock system
US7032417B2 (en) Lock mechanism
CA2877780C (en) Security assembly for use with a security console
KR200275342Y1 (ko) 특장차의 매립형 도어 록킹장치
US4455846A (en) Security lock for coin operated machines
JP3904209B2 (ja) 引き出し回転操作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03049572A (ja) 鎌 錠
KR100423087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핸들 구조.
JPS5847173Y2 (ja) 自動販売機の扉のロック機構
JP4215311B2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構造
KR200378678Y1 (ko) 잠금장치를 갖는 출입문
KR200252596Y1 (ko) 도어 록킹장치
KR960002907Y1 (ko) 보조 자물쇠
EP0777024A1 (en) Sliding-door handle with latch
KR200175232Y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JPH10288452A (ja) 低温貯蔵庫
JP2567205B2 (ja) 平面ハンドル
GB222976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andle assemblies for doors, windows
JPH072916Y2 (ja) 車両用ドアの盗難防止装置
KR100337574B1 (ko) 강제 해제 방지구조를 갖는 특장차용 도어 록킹장치의걸림부재
JP3046161U (ja) 盗難防止用錠
JP2591404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