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630Y1 -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630Y1
KR200165630Y1 KR2019990017112U KR19990017112U KR200165630Y1 KR 200165630 Y1 KR200165630 Y1 KR 200165630Y1 KR 2019990017112 U KR2019990017112 U KR 2019990017112U KR 19990017112 U KR19990017112 U KR 19990017112U KR 200165630 Y1 KR200165630 Y1 KR 200165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tirring
powder
couple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현
Original Assignee
서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현 filed Critical 서상현
Priority to KR2019990017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6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07B1/524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the brushes being rotating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분말 선별기에 교반장치를 설치하여 별도의 교반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분쇄된 소재의 분말을 효율적으로 선별하여 선별시간 단축과 함께 다양한 소재를 원활하게 선별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에 구동모터와 편심축을 설치, 가동체를 링크로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망체가 결합된 가동체가 진동 및 충격 등의 작동되도록 하고, 가동체 하단에 호퍼가 설치되어 선별된 분말이 모아져 수집토록 된 분발선별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측의 각기 모서리에 지지대와 그 양측에 가이드가 고정 설치하여, 가이드상에서 교반대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측 가이드에는 고정대와 타측의 가이드에는 이동대를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부상에 설치되는 교반부는 교반대에 브러쉬가 축에 결합된 교반모터의 회동으로 망체내에서 브러쉬에 의하여 교반이 이루어 지도록 하고; 상기 교반대 하단 일측에는 가이드에 결합되도록 게재홈이 형성된 체결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가이드에는 이동대를 결합하되, 고정대의 체결볼트로 와셔와 체결너트로 가이드부상에 고정시킬수 있도록 하여 교반부가 망체상에서 교반이 이루어져 본체에서 원활하게 분말이 선별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Powder separation a machine of agitate}
본 고안은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 약재 또는 건축용, 화공용 둥의 재료를 분쇄하여 분쇄된 소재를 체 등과 같이 망체로 된 선별수단을 진동시켜 원하는 입도 이하의 분말을 선별하는 분말 선별기에서 선별효율을 높이도록 한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 선별기는 한약재, 미곡, 고추 및 불린쌀 등과 같은 식음용 재료와 기타 건축 및 화공재료등을 분쇄기에 의해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분쇄하고, 이렇게 분쇄된 재료의 분말로부터 체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일정한 입도 크기이하로 분말가루를 선별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분쇄기로 분쇄된 다양한 성질을 갖는 재료의 분말 선별장치에서 분말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재료의 건조상태와 무게 그리고 재료간의 접착력 등에도 불구하고 쉽게 선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주로 진동모터(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모터에 편심축등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망체에 충격을 가하므로서 선별이 이루어 지도록하고 있다.
따라서, 망체에 진동과 충격이 가해져야 분말의 선별효율이 높아지게 되기 때문에 망체에 충격과 진동이 가하므로 분말의 선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선별 도중에 선별되어 망체를 통과한 것과 통과하지 못하고 남는 것이 발생된다.
즉 망체를 통과하지 못한 소재는 망체바닦에서 망체의 구멍을 차단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충격이나 진동등에 대하여도 많은 재료를 연속적으로 선별하는 경우는 선별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않고 있으며 선별하고자 하는 소재의 성질(수분을 함유하거나 덩어리진 상태의 것 등)에 따라서도 제약을 받는 요소들이 많이 발생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분말을 선별하는 시간은 많이 소요되고, 망체를 통과하지 못한 잔재들로 인하여 선별효율이 떨어지는 반면 에너지의 손실은 증가하게 되므로 종래에는 선별기 가까이에서 봉체를 이용하여 사람이 서서 망체에 투입된 소재를 저어서 교반시켜 주므로 분말의 선별이 원활하게 하는 방법으로 분말의 선별이 촉진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분말의 선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항시 교반하는 인력이 필요하게 되며 봉체를 이용하여 저어주는 것에 불과하므로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아 분말의 선별효율은 그다지 높아지지 않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분말 선별기에 교반장치를 설치하여 별도의 교반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분쇄된 소재의 분말을 효율적으로 선별하여 선별시간 단축과 함께 다양한 소재를 원활하게 선별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교반장치가 적용된 분말 선별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말 선별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부를 보인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1' : 프레임 2 : 구동모터
3 : 편심축 4 : 링크 5 : 호퍼
6 : 가동체 8 : 망체 9 : 가이드
9' : 안내대 20 : 교반부 21 : 교반대
22 : 고정홈 23 : 교반모터 24 : 축
25 : 브러쉬 30 : 가이드부 31 : 지지대
32,32' : 가이드 33 : 이동대 40 : 체결부
41 : 체결대 42 : 게재홈 43 : 고정대
44 : 체결볼트 45 : 와셔 46 : 체결너트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1)에는 프레임(1')에 모터(2)에 편심축(3)을 설치하여 편심축(3)과 가동체(6)를 링크(4)로 연결하여 모터(2)의 회전에 의하여 망체(8)가 결합된 가동체(6)가 진동 및 충격 등의 작동되도록 하고, 가동체(6) 하단에 호퍼(5)가 설치되어 선별된 분말이 모아져 별도의 용기에 수집토록 된 분발선별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 상측의 각기 모서리에 지지대(3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31)에 교반대(21)의 이동이 가능하게 양측에 가이드(32)(32')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32)(32')의 일측 가이드(32)에는 고정대를 결합하고 타측의 가이드(32')에는 이동대(33)를 결합하여 가이드부(30)를 구성하되 ;
상기 가이드부(30)상에 설치되는 교반부(20)는 고정홈(22)이 형성된 교반대(21)에 브러쉬(25)가 축(24)에 결합된 교반모터(23)가 설치되어 상기 교반모터(23)의 회동으로 망체(8)내에서 브러쉬(25)에 의하여 교반이 이루어 지도록 하고;
상기 교반대(21) 하단 일측에는 가이드(32)에 결합되도록 게재홈(42)이 형성된 체결대(41)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가이드(32')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대(33)에 결합하되, 교반대(21)의 고정홈(22)에 대응하여 가이드(32)의 고정대(43)에는 체결볼트(44)를 형성시켜 와셔(45)와 체결너트(46)로 가이드부(30)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수 있도록 한 체결부(40)와; 상기 체결부(40)에 의하여 고정되어 교반부(20)가 망체(8)상에서 교반이 이루어져 본체(1)에서 원활하게 분말이 선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도 1과,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1')에 구동모터(2)가 고정 설치되며 구동모터(2)의 측에는 편심축(3)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동체(6) 하단에는 분리된 분말을 수집되게 하는 호퍼(5)가 설치되어 호퍼(5)에 의해 모아진 분말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고, 가동체(6)에는 망체(8)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구조는 분말을 선별하고 난 다음 잔여물을 제거하기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착탈 가능하도록된 것이며 이는 통상적인 수단이다.
구동모터(2)의 편심축(3)과 가동체(6)의 연결대(7)를 링크(4)로 연결하여 구동모터(2)의 회전에 의하여 망체(8)가 결합된 가동체(6)가 작동되어지는데, 여기서 프레임(1')의 양측에 가이드(9)를 설치하고 가이드(9)를 타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동체(6) 하단에 안내대(9')를 수개 설치하여 구동모터(2)의 구동력이 가동체(6)의 안내대(9')가 가이드(9)를 타고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지도록 하여 분말을 선별하도록 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프레임(1') 상측의 각기 모서리에 지지대(31)와 가이드(32)(32')가 고정 설치되어 본체(1)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여 가이드(32)(32')상에 교반부(20)가 상기 지지대(31)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하게 되는데 본체(1) 양측에 가이드(32)(32')를 설치된 상기 가이드(32)(32')의 일측 가이드(32)에는 교반대(2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대(43)를 결합하고 타측의 가이드(32')에는 이동대(33)를 결합하여 가이드부(30)상에서 교반부(20)가 움직일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교반부(20)가 착탈과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은 망체(8)내의 잔여물을 제거시에 가동체(6)에서 망체(8)를 분리한 다음 잔여물을 털어내고 다시 가동체(6)에 망체(8)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동대(33)가 결합된 가이드(32)를 축으로 도 4와 같이 교반부(20)를 들어서 도 3의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원하는 위치에 이르면 다시 도 4의 형태로 체결대(41)의 게재홈(42)을 가이드(32)결합하여 체결부(40)의 고정대(43)로 교반대(21)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30)상에 고정된 교반부(20)는 도 6에 보인바와 같이 고정대(43)를 교반대(21)의 고정홈(22)에 게재시켜 고정시키므로 망체(8)상에 위치하게 되며 구동모터(2)의 회전에 의하여 망체(8)가 결합된 가동체(6)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교반대(21)에 브러쉬(25)와 축(24)이 결합된 교반모터(23)가 설치되어 상기 교반모터(23)의 회동으로 망체(8)내에서 브러쉬(25)가 회전하게 되면서 교반과 함께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하여 원활하게 분쇄된 분말의 선별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회동되는 브러쉬(25)는 털이 아닌 봉상체나 판상체를 부착하여 사용 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교반부(20)를 가이드(32)(32')상에 체결하기 위하여 도 5에 보인바와 같이 고정홈(22)이 형성된 교반대(21)의 하단 일측에는 가이드(32)에 결합되도록 고정홈(22)을 중심으로 양측에 게재홈(42)이 형성된 체결대(41)가 결합되고, 교반대(21)의 고정홈(22)에 게재되는 가이드(32)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대(43)에는 체결볼트(44)를 형성시켜 와셔(45)와 체결너트(46)로 가이드부(30)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32)상에서 체결대(41)를 가이드(32)에 결합한 다음 체결대(41)의 게재홈(42)사이에 위치한 고정대(43)를 교반대(21)의 고정홈(22)사이에 게재시키고 체결볼트(44)를 고정홈(22)의 상측에 위치시켜 와셔(45)을 결합하고 체결너트(46)로 조이게 되면 가이드(32)에 지지된 체결볼트(44)가 가이드(32)상에 얹혀진 교반대(21)를 가압하므로 고정되며 타측에는 가이드(32')에 결합되어 있는 파이프상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대(33)에 교반대(21)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해지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로 이동은 가능하나 고정대(43)로 체결하게 되면 교반모터(23)의 구동에도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교반부(2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식품류 또는 건축및 화학소재 둥의 분말을 선별함에 있어, 간단히 분말 선별기에 교반장치를 설치하므로 교반시, 별도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분쇄된 소재의 분말을 효율적으로 선별하여 선별시간 단축과 함께 다양한 소재를 원활하게 선별하여 인건비 절감과 함께 분말의 선별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프레임(1') 상측의 각기 모서리에 지지대(31)와 그 양측에 교반대(21)의 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32)(32')를 설치하며 일측 가이드(32)에는 고정대(43)를 결합하고 타측의 가이드(32')에는 이동대(33)를 결합하여 가이드부(30)를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부(30)상에 설치되는 교반부(20)는 고정홈(22)이 형성된 교반대(21)에 브러쉬(25)가 교반모터(23)의 축(24)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모터(23)의 회동으로 망체(8)내에서 브러쉬(25)에 의하여 교반이 이루어 지도록 하고;
    상기 교반대(21)의 하단 일측에는 가이드(32)에 결합되도록 게재홈(42)이 형성된 체결대(41)가 그리고 타측에는 가이드(32')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대(33)에 결합하되, 교반대(21)의 고정홈(22)에 결합되도록 가이드(32)의 고정대(43)에는 체결볼트(44)를 형성시켜 와셔(45)와 체결너트(46)로 가이드부(30)상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수 있도록 한 체결부(40)와; 상기 체결부(40)에 의하여 고정되어 교반부(20)가 망체(8)상에서 교반이 이루어져 본체(1)에서 원활하게 분말이 선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
KR2019990017112U 1999-08-13 1999-08-13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 KR200165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12U KR200165630Y1 (ko) 1999-08-13 1999-08-13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12U KR200165630Y1 (ko) 1999-08-13 1999-08-13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630Y1 true KR200165630Y1 (ko) 2000-02-15

Family

ID=1958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112U KR200165630Y1 (ko) 1999-08-13 1999-08-13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63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854B1 (ko) * 2014-03-10 2014-09-04 주식회사 유림기계 톱밥 또는 목재 칩 선별기
CN106622963A (zh) * 2017-03-01 2017-05-10 无锡远及科技有限公司 空气循环流式谷物筛分农用机械装置及其工作方法
CN107755232A (zh) * 2017-09-26 2018-03-06 孙广田 一种用于生物制药的原料筛选分离设备
KR102161634B1 (ko) * 2020-02-07 2020-10-05 김세진 두부 제조용 콩물 가열장치
CN115351878A (zh) * 2022-09-13 2022-11-18 湖南省新化县鑫星电子陶瓷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化陶瓷挤压成型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854B1 (ko) * 2014-03-10 2014-09-04 주식회사 유림기계 톱밥 또는 목재 칩 선별기
CN106622963A (zh) * 2017-03-01 2017-05-10 无锡远及科技有限公司 空气循环流式谷物筛分农用机械装置及其工作方法
CN107755232A (zh) * 2017-09-26 2018-03-06 孙广田 一种用于生物制药的原料筛选分离设备
KR102161634B1 (ko) * 2020-02-07 2020-10-05 김세진 두부 제조용 콩물 가열장치
CN115351878A (zh) * 2022-09-13 2022-11-18 湖南省新化县鑫星电子陶瓷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化陶瓷挤压成型装置
CN115351878B (zh) * 2022-09-13 2024-02-27 湖南省新化县鑫星电子陶瓷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化陶瓷挤压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1575U (ja) 粉粒体原料の振動篩機装置
KR200165630Y1 (ko) 분말 선별기의 교반장치
CA2205963C (en) Apparatus for sieving a particulate material
CN209577352U (zh) 一种具备清理灰尘的环保型小麦加工用筛选设备
CN201150918Y (zh) 大杂清理筛和组合清理筛
CN219616039U (zh) 一种混凝土加工用干砂振动筛
CN210187729U (zh) 一种多级组合筛分设备
CN110975992A (zh) 一种多级振动筛选的陶瓷原料筛选装置
CN114425472B (zh) 一种生物质能原料碾碎筛选装置
CN110000086A (zh) 一种三维阶梯复合筛
US91082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fractionating bulk material
CN211003639U (zh) 一种振动给料机
CN219560516U (zh) 一种甜玉米粒筛选分级机构
CN214077726U (zh) 一种中药材筛土去污设备
CN219052128U (zh) 一种色选机用的振动送料结构
CN201350447Y (zh) 滚筒式筛分机
CN212045492U (zh) 一种塑料制品生产用具有分离结构的震动筛
CN220900940U (zh) 一种防粘黏的振动筛分机
KR200165631Y1 (ko) 분말 선별장치의 소음방지 구조
CN220969937U (zh) 一种筛分装置
CN217911554U (zh) 一种混凝土加工用干砂振动筛
CN220678545U (zh) 一种水分保持剂配料用振动筛
CN217726175U (zh) 一种多层往复振动筛
JP2579822Y2 (ja) 篩分装置
CN216323262U (zh) 一种带有搅拌装置的振动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