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320Y1 -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320Y1
KR200165320Y1 KR2019970004190U KR19970004190U KR200165320Y1 KR 200165320 Y1 KR200165320 Y1 KR 200165320Y1 KR 2019970004190 U KR2019970004190 U KR 2019970004190U KR 19970004190 U KR19970004190 U KR 19970004190U KR 200165320 Y1 KR200165320 Y1 KR 200165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power
power control
communication
control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173U (ko
Inventor
김종태
김기홍
제임스 지민 김
Original Assignee
김종태
김기홍
제임스 지민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태, 김기홍, 제임스 지민 김 filed Critical 김종태
Priority to KR2019970004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32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1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3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7Identification code transf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기기(3)에 연결된 링선(1)과 팁선(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부터 상기 링선(1)과 팁선(2)을 통해 호신호가 걸려 오거나 통신기기(3)의 핸드셋을 들게됨으로 인해 오프훅 상태가 되면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시키고 통신이 완료되므로 인해 온훅 상태로 바뀌었을 때 통신기기(3)로의 전원공급을 일정시간 유지시켜 주도록 상기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구동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켜 주는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와; 전원공급 라인 중 일측 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로 부터 트리거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통신기기(3)에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의 지연시간 동안 계속해서 통신기기에 전원전압을 공급한 후 차단하는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로 구성하여 통신기기가 대기상태에 있을시에는 본 고안 장치를 포함하여 통신기기에서의 전력소모를 완전히 차단시켜 줄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가입자는 물론 국가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제1도는 전화망과 일반 통신기기의 연결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를 일반 통신기기에 적용시킨 상태의 연결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 장치 중 트리거링 및 시간지연회로의 상세 블럭 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 장치를 일반 통신기기에 내장시켰을시의 연결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링선 2 : 팁선
3 : 통신기기 4 :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
5 :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 6 : 릴레이 구동부
7 : 릴레이 41 : 통신상태 검출 스위칭 회로부
42 : 스위칭 구동 회로부 43 : 스위칭 회로부
44 : 전류구동 회로부 45 : 게이트 트리거 회로부
본 고안은 전화선의 통화상태를 감시하여 통신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전화망에 연결된 통신기기(예를들어 팩시밀리 등)의 통신동작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화선의 통화상태를 감시함으로서 온 훅, 오프 훅 및 링 신호 등을 구분하여 기기가 작동되어야 하는 조건하에서만 전력을 공급하고 그 이외의 시간에는 전력을 완전히 차단시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화망에 연결되어 사용하는 통신기기인 팩시밀리의 경우, 그 대부분 소정의 데이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때에만 작동함으로 작동중이 아닐때에는 전원전압의 공급이 불필요하지만 호(Call)가 들어오기를 기다리는 대기중인 상태에서도 제1도에서와 같이 통신기기에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에 있는 단점이 있다.
즉, 통신기기가 동작하지 않고 대기상태에 있을시에도 적지 않은 전력이 소비되므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감열기록자를 사용하는 팩시밀리의 경우 동작시에 필요한 전력의 약 1/2 내지 1/3이 대기상태에서 소모되고 있고, 또 쓰는 시간에 비해 대기하는 시간이 대부분임을 고려할 때 전력의 낭비는 적지 않은 양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199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9063호로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를 출원한 바 있는데, 이는 종래의 통신기기(즉, 전원 제어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통신기기)에서 보다는 많은 량의 전력을 절약할 수는 있지만 이와같은 구성은 그 장치가 동작하기 위해 대기 상태시 항상 논리회로 부분에 전원이 공급됨으로 인해 비록 통신기기인 팩시밀리의 전력 소모량에 비해 매우 적은 수준이긴 하나 소량의 전력 소모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의 사용할 때에는 기기로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비 사용할 때에는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전원 자동 절환시스템으로 공개특허 제93-20817호(1993. 10. 20)와, 팩시밀리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통화에 지장을 주지 않고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팩시밀리의 전원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으로 공개특허 제94-23144호(1994. 10. 22)로 제시된 바 있는데, 전술의 경우는 대기시에 제어회로인 상태검출부와 전원구동부의 B+단자를 통해 항상 전력을 공급시켜 주어야 하고, 후술의 경우는 대기시에 네트워크 제어부내의 포토커플러에 +5V의 전압을 항상 공급시켜 주어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외부에서 정전압을 만들어 공급시켜 주어야 하며 대기 상태에 있을시에도 비록 소량이긴 하나 상기한 정전압 회로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항상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작동시간이 대기시간에 비해 매우 짧은 통신기기(예 ; 팩시밀리)의 경우에 있어서, 대기시간 중에는 전원전압의 공급을 완전 차단시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통신기기가 대기상태에 있을시에는 본 고안 장치를 포함하여 통신기기에서의 전력소모를 완전히 차단시켜 일체의 전력낭비를 방지하고 외부에서 호출이 있을 경우와, 외부와 통신을 하기 위해 통신기기 자체에서 오프훅 상태가 된 경우에만 통신기기로 전원을 공급시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통신기기(3)에 연결된 링선(1)과 팁선(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부터 상기 링선(1)과 팁선(2)을 통해 호신호가 걸려 오거나 통신기기(3)의 핸드셋을 들게됨으로 인해 오프훅 상태가 되면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시키고 통신이 완료되므로 인해 온훅 상태로 바뀌었을 때 통신기기(3)로의 전원공급을 일정시간 유지시켜 주도록 상기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구동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켜 주는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와 ; 전원공급 라인 중 일측 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로 부터 트리거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통신기기(3)에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의 지연시간동안 계속해서 통신기기에 전원전압을 공급한 후 차단하는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로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 또는 트라이액을 사용하게 된다.
또,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를 통해 출력되는 교류전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릴레이 구동부(6)와 ; 상기 릴레이 구동부(6)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정상적인 교류전압을 통신기기(3)에 인가시켜 주는 릴레이(7)를 전술한 일 실시예의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후단에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5도는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에 대한 상세한 블럭 구성도를 일예로서 나타낸 것으로, 통상시 오프상태에 있다가 전화선으로 부터 링신호가 입력되거나 통신기기(3)의 핸드셋이 들려져 오프훅 상태가 되면 스위치가 온되어 교류전압을 스위칭 구동 회로부(42)로 공급시켜 주는 통신상태 검출 스위칭 회로부(41)와 ; 상기 통신상태 검출 스위칭 회로부(41)가 구동될시 충전되어 스위칭 회로부(43)의 베이스에 구동전류를 공급시켜 주다가 통신상태 검출 스위칭 회로부(41)로 부터 소정전압이 공급되지 않을시 충전전류를 스위칭 회로부(43)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 방전시켜 상기 스위칭 회로부(43)의 구동이 일정시간 후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칭 구동 회로부(42)와 ; 상기 스위칭 구동 회로부(42)에서 소정의 전류가 출력되는 동안 턴온되어 전류구동 회로부(44)의 출력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스위칭 회로부(43)와 ; 게이트 트리거 회로부(45)가 동작되는 동안 교류전압을 전류구동시켜 상기 스위칭 회로부(43)로 공급하는 전류구동 회로부(44)와 ; 전원공급 라인 중 일측 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칭 회로부(43)와 전류구동 회로부(44)가 작동될시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게이트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시켜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가 구동되도록 하는 게이트 트리거 회로부(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 장치는 제2도와 같이 전화망의 팁선(1)과 링선(2)에 입력측을 연결하고 그 출력측을 통신기기(3)의 입력측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 제6도와 같이 통신기기(3)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기기(3)에 연결된 링선(1)과 팁선(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는 외부로 부터 상기 링선(1)과 팁선(2)을 통해 호신호가 걸려 오거나 사용자가 외부와 통신을 하기 위해 통신기기(3)의 핸드셋을 들거나 별도의 훅스위치를 조작하여 오프훅 상태가 되면 소정 주기를 갖는 트리거 펄스를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게이트에 발생시키고 이후 통신이 완료되어 온훅 상태로 바뀌면 통신기기(3)로 공급되는 전원전압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구동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켜 준다.
즉,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는 두가지의 경우로 동작하게 되는데, 그 첫번째는 외부로 부터 통신기기(3)에 호신호가 입력되거나 내부의 훅 스위치가 오프훅 상태가 되면 통신기기(3)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시켜 통신기기(3)에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고, 두번째로는 통신이 끝남으로 인해 오프훅 상태에서 온훅 상태로 바뀌었을시 곧바로 통신기기(3)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하지 않고 잠시동안(즉, 일정시간 동안) 통신기기(3)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면 팩시밀리의 경우 송수신 후 기기 자체에서 통신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경우 전원공급이 일시적으로 유지되어야만 되므로, 이를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팩시밀리와 같은 통신기기(3)의 전원공급 라인 중 일측 라인상에 설치된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는,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로 부터 트리거 신호가 출력되면 통신기기(3)에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이 완료된 후에는 소정시간 동안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로 부터 출력되는 트리거 펄스에 의해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계속해서 소정시간 동안 통신기기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통상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나 트라이액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통신기기(3)의 전원전압 공급부 전단부에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만을 설치한 경우, 상기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를 통과한 교류전압의 파형이 정현파를 갖지 않게 되므로 통신기기(3)로 공급되는 전력이 정상치를 갖지 않아 비정상적으로 구동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4도와 같이 상기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후방부에 릴레이 구동부(6)와 릴레이(7)를 설치하여 통신기기(3)로 공급되는 교류전압은 정상적인 정현파를 갖고 릴레이(7)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일 실시예에서 보다는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소비전력은 약간 크나, 제품의 신뢰도면에서 볼 때 후술한 다른 실시예가 더 좋은 것이다.
또한, 제5도는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에 대한 상세한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통신상태 검출 스위칭 회로부(41)는 통상시 오프상태에 있다가 전화선으로 부터 링신호가 입력되거나 통신기기(3)의 핸드셋이 들려져 오프훅 상태가 되면 교류전압을 스위칭 구동 회로부(42)로 공급시켜 충전을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통상 광 아이솔레이터 등을 사용하여 AC 전원으로 부터 전화선을 절연시켜 교환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스위칭 구동 회로부(42)는 상기 통신상태 검출 스위칭 회로부(41)가 구동될시 충전되어 스위칭 회로부(43)의 베이스에 구동전류를 공급시켜 주다가 통신상태 검출 스위칭 회로부(41)로 부터 소정전압이 공급되지 않을시 충전전류를 스위칭 회로부(43)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 방전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일정시간 후 상기 스위칭 구동 회로부(44)의 충전전류가 완전 방전되면 상기 스위칭 회로부(43)의 구동이 차단되므로 전류구동 회로부(44)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게이트 트리거 회로부(45)도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통신기기(3)로의 전원공급이 완전 차단된다.
이와같이 상기 통신기기(3)로의 전원공급이 완전 차단된 상태 즉, 통신기기가 대기상태에 있을시에는 본 고안 장치를 포함하여 통신기기에서의 전력소모를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회로부(43)는 스위칭 구동 회로부(42)에서 소정의 전류가 출력되는 동안 턴온되므로 이 시간동안 전류구동 회로부(44)의 출력전류가 상기 스위칭회로부(43)를 통해 흐르게 된다.
또, 상기 전류구동 회로부(44)는 통상 4개의 다이오드를 브릿지 형태로 연결한 것으로써, 게이트 트리거 회로부(45)가 동작되는 동안 교류전압을 전류구동시켜 상기 스위칭 회로부(43)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원공급 라인 중 일측 라인상에 설치된 게이트 트리거 회로부(45)는 상기 스위칭 회로부(43)와 전류구동 회로부(44)가 작동될시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게이트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시켜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가 구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이와같은 게이트 트리거 회로부(45)에 공급되는 교류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이면 그 내부에 설치된 다이액 등과 같은 소자들이 작동되어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를 트리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5도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는 여러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 장치는 제2도와 같이 통신기기(3)의 입력단과 전화선로 사이에 설치하여(즉, 통신기기의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제6도와 같이 통신기기(3) 내부에 내장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미 제작 완료되어 소정장소에 설치된 채 사용되는 통신기기(3)인 경우는 전자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고, 새로이 제작될 통신기기인 경우는 후자와 같이 아예 본 고안 장치를 통신기기 내부에 장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작동시간이 대기시간에 비해 매우 짧은 팩시밀리와 같은 통신기기가 대기상태에 있을시에는 본 고안 장치를 포함하여 통신기기에서의 전력소모를 완전히 차단시켜 줄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가입자는 물론 국가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통신기기(3)에 연결된 링선(1)과 팁선(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부터 상기 링선(1)과 팁선(2)을 통해 호신호가 걸려 오거나 통신기기(3)의 핸드셋을 들게됨으로 인해 오프훅 상태가 되면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시키고 통신이 완료되므로 인해 온훅 상태로 바뀌었을 때 통신기기(3)로의 전원공급을 일정시간 유지시켜 주도록 상기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구동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켜 주는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와 ; 전원공급 라인 중 일측 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로 부터 트리거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통신기기(3)에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의 지연시간 동안 계속해서 통신기기에 전원전압을 공급한 후 차단하는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로 구성하되, 상기 트리거링 및 지연회로(4)는, 통상시 오프상태에 있다가 전화선으로 부터 링신호가 입력되거나 통신기기(3)의 핸드셋이 들려져 오프훅 상태가 되면 스위치가 온되어 교류전압을 스위칭 구동 회로부(42)로 공급시켜 주는 통신상태 검출 스위칭 회로부(41)와 ; 상기 통신상태 검출 스위칭 회로부(41)가 구동될시 충전되어 스위칭 회로부(43)의 베이스에 구동전류를 공급시켜 주다가 통신상태 검출 스위칭 회로부(41)로 부터 소정전압이 공급되지 않을시 충전전류를 스위칭 회로부(43)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 방전시켜 상기 스위칭 회로부(43)의 구동이 일정시간후 차단되도록 하는 스위칭 구동 회로부(42)와 ; 상기 스위칭 구동 회로부(42)에서 소정의 전류가 출력되는 동안 턴온되어 전류구동 회로부(44)의 출력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스위칭 회로부(43)와 ; 게이트 트리거 회로부(45)가 동작되는 동안 교류전압을 전류구동시켜 상기 스위칭 회로부(43)로 공급하는 전류구동 회로부(44)와 ; 전류공급 라인 중 일측 라인상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칭 회로부(43)와 전류구동 회로부(44)가 작동될시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게이트에 트리거 펄스를 발생시켜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가 구동되도록 하는 게이트 트리거 회로부(4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의 출력단과 통신기기(3)의 전원입력단 사이에는, 상기 전력제어용 반도체소자(5)를 통해 출력되는 교류전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릴레이 구동부(6)와 ; 상기 릴레이 구동부(6)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정상적인 교류전압을 통신기기(3)에 인가시켜 주는 릴레이(7)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KR2019970004190U 1997-03-07 1997-03-07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KR200165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190U KR200165320Y1 (ko) 1997-03-07 1997-03-07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190U KR200165320Y1 (ko) 1997-03-07 1997-03-07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173U KR19980060173U (ko) 1998-11-05
KR200165320Y1 true KR200165320Y1 (ko) 2000-01-15

Family

ID=1949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190U KR200165320Y1 (ko) 1997-03-07 1997-03-07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3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173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0030B2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power supply unit, a transformer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 card for an electrical device
KR200165320Y1 (ko)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US6088599A (en) Fixed subscriber unit
US6914980B2 (en) Power switch device utilizing phone loop signals to control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 telephony instrument
JPH11177731A (ja) コンピュータインタフェース付き通信端末装置
CA2105376A1 (en) Telephone Line Interface Circuit with Voltage Switching
EP1328111B1 (en) Power switch device utilizing phone loop signals to control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 telephony instrument
KR19990029336U (ko) 키폰시스템의 정전대피회로
EP0975137B1 (en) Network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decreasing power consumption during a waiting mode
JP4023009B2 (ja) 端末網制御装置
JP2659874B2 (ja) 給電制御回路
JPH0537630A (ja) 呼出信号送出回路
JP3047648B2 (ja) 公衆電話システム
KR930007127Y1 (ko) 팩스에서 전화기 훅크 온/오프 상태 검출회로
JP3786877B2 (ja) 電力スイッチ装置
JPS61105949A (ja) 電話端末への電源制御方式
JPH01119813A (ja) 電子機器の電源制御装置
SU2058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ЗА РЕЖИМАМИ РАБОТЫ НАСОСНЫХ СТАНЦИЙ
JP2682213B2 (ja) ボタン電話装置の内線着信応答監視回路及びその監視方法
JPH11234420A (ja) 端末網制御装置
JP2000050322A (ja) 加入者回路
KR19980015794U (ko)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JP2000049983A (ja) 通信機器端末の待機電力削減方法
JP2003219055A (ja) 網終端装置およびその電力削減方法
JP2001237995A (ja) 充電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