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309Y1 -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 - Google Patents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309Y1
KR200165309Y1 KR2019970011851U KR19970011851U KR200165309Y1 KR 200165309 Y1 KR200165309 Y1 KR 200165309Y1 KR 2019970011851 U KR2019970011851 U KR 2019970011851U KR 19970011851 U KR19970011851 U KR 19970011851U KR 200165309 Y1 KR200165309 Y1 KR 200165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connector
fixed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296U (ko
Inventor
시로 세가와
다이스케 사토
Original Assignee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모토 히데아키
Priority to KR2019970011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30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2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2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6Emergency opening means for persons trapped in the luggag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지지축 등이 은폐된 방식이면서 조립작업성이 좋고, 갇힌 사람이 자력으로 탈출할 수 있는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를 제공한다.
고정본체에 가동본체(2)를 내장피벗축(3)에 의해서 연결하여, 가동본체(2)에 훅레버(5)를 내장지지축(6)에 의해서 연결하여, 훅레버(5)를 쓰러짐방향 또는 기립방향에 회전력을 더하는 스프링 기구(10)를 설치하여, 커넥터(11)를 내장핀(12)에 의해서 고정본체(1)에 연결하여, 커넥터(11)의 선단 클릭부(14)를 가동본체(2)의 받이홈부(13)의 내벽면의 걸어멈춤오목부(15)에 걸어맞춤시켜 가동본체(2)를 고정본체(1)에 구속하여, 커넥터(11)의 요동을 저지하는 스토퍼(16)를 받이홈부(13)에 끼워넣어 고정한다. 또한, 문(18)의 통과구멍(19)에서 스토퍼(16)를 유지수단(20)에 의하여 받이홈부(13)내에 밀어넣어 유지하여, 문(18)의 배면측에 스토퍼(16)의 빠짐조작수단(21)을 설치한다.

Description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 }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의 짐상자 등의 문개폐용 핸들에 사용되는 문고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화물자동차의 짐상자에서는, 경첩에 의해서 문을 개구부측 기둥에 연결하여, 문 정면측의 축받이 브래킷에 로크샤프트를 삽통하여, 로크샤프트의 상하 단부에 로크캠을 설치하여, 짐상자의 상하 프레임재에 캠키퍼를 설치하여, 로크샤프트의 중간부에 수평피벗축에 의해 문개폐용 핸들을 연결하고 있다. 문을 폐쇄회전시킨 후, 문개폐용 핸들로 로크샤프트를 적당히 회전시켜, 로크캠을 캠키퍼에 걸어맞춤시키는 것에 따라 문을 짐상자로 잠궈 두고 있다. 이 문개폐용 핸들은, 짐의 도난방지를 위해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조작할 수 없도록 적당한 문고리 장치에 의해서 관리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는, 고정본체의 분할홈부에 끼워넣은 훅레버의 중간부를 지지축에 의해서 고정본체에 기복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고정본체와의 사이에 문개폐용 핸들을 구속하는 걸어두는 홈부분를 훅레버의 선단훅부의 배면측에 설치하여, 고정본체와 훅레버의 사이에서 작용력점의 위치에 대응하여 훅레버를 쓰러짐방향 또는 기립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스프링 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그렇지만, 훅레버의 지지축 단면이 고정본체의 외측면에 노출하도록 설계된 문고리 장치로는, 지지축을 타격하여 빼내는 것에 의해 훅레버를 고정본체에서 이탈시켜, 문개폐용 핸들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도난방지성이 낮다. 도난방지성을 높이기 위해서, 지지축을 고정본체의 내부에 은폐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지만, 종래의 은폐 방식에서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의 작업성이 좋지 않다.
도난방지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고정본체에 자물쇠 유니트를 조립하고, 자물쇠 유니트의 로터에 연결한 로크 플레이트에 의해 훅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한 문고리 장치도 제안되고 있지만, 자물쇠 유니트는 문의 정면측에서만 조작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짐상자 안에서 운전자가 작업중에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해 문이 폐쇄되어, 자물쇠 유니트에 의해서 자물쇠가 채워져 버렸을 때에는, 운전자는 짐상자 안에 가두어져서, 자력 탈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축 등이 은폐된 방식이면서 조립의 작업성이 좋고,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물쇠 유니트로 자물쇠가 채워지더라도 갇힌 사람이 자력으로 탈출할 수 있는,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관한 문고리 장치를 장착한 문의 정면측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문고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문고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문고리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문고리 장치를 장착한 문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문고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본체 2 : 가동본체
3 : 내장피벗축 4 : 가동본체의 분할홈부
5 : 훅레버 6 : 내장지지축
7 : 선단훅부 8 : 문개폐용 핸들
9 : 훅레버의 걸어두는 홈부분
10 : 스프링 기구 11 : 커넥터
12 : 내장핀 13 : 가동본체의 받이홈부
14 : 커넥터의 선단 클릭부
15 : 가동본체의 걸어멈춤오목부
16 : 스토퍼 17 : 고정기판
18 : 문 19 : 문의 통과구멍
20 : 스토퍼의 유지수단 21 : 스토퍼의 빠짐조작수단
본 고안의 청구항 1의 문고리 장치에서는, 고정본체(1)에 가동본체(2)의 단부를 내장피벗축(3)에 의해서 튀어올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가동본체(2)의 분할홈부(4)에 끼워넣은 훅레버(5)를 내장지지축(6)에 의해서 기복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훅레버(5)의 선단훅부(7)의 배면측에 문개폐용 핸들(8)을 구속하는 걸어두는 홈부분(9)을 설치하여, 고정본체(1)와 훅레버(5)의 사이에 작용력점의 위치에 대응하여 훅레버(5)를 쓰러짐방향 또는 기립방향으로 회전력을 더하는 스프링 기구(10)를 설치하고, 커넥터(11)의 기단부를 내장핀(12)에 의해서 고정본체(1)에 연결하여, 커넥터(11)가 요동이 자유롭게 들어가는 받이홈부(13)를 가동본체(2)에 설치하여, 커넥터(11)의 선단 클릭부(14)를 받이홈부(13)의 내벽면의 걸어멈춤 오목부(15)에 걸어맞춤시켜 가동본체(2)를 고정본체(1)에 구속하여, 선단 클릭부(14)가 걸어멈춤 오목부(15)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으로의 커넥터(11)의 요동을 저지하는 스토퍼(16)를 받이홈부(13)에 끼워 넣어 고정한다.
이 문고리 장치에서는, 문(18)을 개방하는 경우, 훅레버(5)의 기단부 전면을 손가락으로 밀어 넣으면, 훅레버(5)는 스프링 기구(10)의 가압에 저항하여 내장지지축(6)을 중심으로 기립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도중에 스프링 기구(10)에 의한 가압방향이 반전한다. 이렇게 하여, 훅레버(5)의 걸어두는 홈부분(9)에 의한 문개폐용 핸들(8)의 구속이 해제되기 때문에, 문개폐용 핸들(8)은 수평피벗축(50)을 중심으로 윗쪽으로 끌어올려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문개폐용 핸들(8)을 앞으로 당겨서 로크샤프트(22)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로크캠(51)이 캠키퍼(52)로부터 이탈하고 문(18)이 개방된다.
운전자가 문(18)을 폐쇄한 후, 로크샤프트(22)를 역회전시켜 로크캠(51)과 캠키퍼(52)를 다시 걸어맞춤시켜, 문개폐용 핸들(8)을 수평피벗축(50)을 중심으로 밀어내려 회전시키면, 문개폐용 핸들(8)이 훅레버(5)의 선단훅부(7)의 캠경사면(23)에 접촉하기 때문에, 훅레버(5)가 비스듬히 기립회전시켜진다. 문개폐용 핸들(8)이 소정위치에 들어가면, 훅레버(15)는 스프링 기구(10)에 의해서 쓰러짐 방향으로 회전하여, 문개폐용 핸들(8)은 훅레버(5)의 걸어두는 홈부분(9)에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서, 문개폐용 핸들(8)은 문고리 장치에 재차 구속되어, 문(18)의 개방이 저지된다.
본 고안의 청구항 2의 문고리 장치에서는, 고정본체(1)에 가동본체(2)의 단부를 내장피벗축(3)에 의해서 튀어올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가동본체(2)의 분할홈부(4)에 끼워 넣은 훅레버(5)를 내장지지축(6)에 의해서 기복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훅레버(5)의 선단훅부(7)의 배면측에 문개폐용 핸들(8)을 구속하는 걸어두는 홈부분(9)을 설치하여, 고정본체(1)와 훅레버(5)의 사이에 작용력점의 위치에 대응하여 훅레버(5)를 쓰러짐방향 또는 기립방향에 회전력을 더하는 스프링 기구(10)를 설치하여, 커넥터(11)의 기단부를 내장핀(12)에 의해서 고정본체(1)에 연결하여 커넥터(11)가 요동자유롭게 들어가는 받이홈부(13)를 가동본체(2)에 설치하여, 커넥터(11)의 선단 클릭부(14)를 받이홈부(13)의 내벽면의 걸어멈춤 오목부(15)에 걸어맞춤시켜 가동본체(2)를 고정본체(1)에 구속하여, 선단 클릭부(14)가 걸어멈춤 오목부(15)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으로의 커넥터(11)의 요동을 저지하는 스토퍼(16)를 받이홈부(13)에 끼워넣어, 문(18)의 통과구멍(19)으로부터 스토퍼(16)를 돌출시켜, 유지수단(20)에 의해서 스토퍼(16)를 받이홈부(13) 안에 밀어넣어 유지하여, 문(18)의 배면측에 설치하여 스토퍼(16)의 빠짐조작수단(21)을 설치한다.
청구항 2의 문고리 장치에 의한 문개폐 핸들(8)의 구속과 문(18)의 개폐조작은 청구항 1의 문고리 장치와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청구항 2의 문고리 장치에서는, 짐상자(24)안에서 작업중에 자물쇠 유니트(23)에 의해서 자물쇠를 채워져 버린 경우, 갇힌 작업자는 안쪽에서 문(18)을 개방할 수 있다. 갇힌 작업자는, 문 배면측에 있는 빠짐조작수단(21)을 당기므로서, 유지수단(20)을 스토퍼(16)로부터 이탈시켜, 스토퍼(16)를 문(18)의 배면측으로 빼낸다. 스토퍼(16)의 빠짐에 따라, 커넥터(11)은 선단 클릭부(14)가 가동본체(2)의 걸어멈춤 오목부(15)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본체(1)에 대한 가동본체(2)의 구속을 해제한다. 그 때문에, 문(18)을 배면측으로부터 미는 것에 의해, 가동본체(2)는 내장피벗축(3)을 중심으로 튀어올라 회전하여, 이것에 동반하여 훅레버(5)도 고정본체(1)에서 이탈하기 때문에, 훅레버(5)에 의한 문개폐 핸들(8)의 구속이 해제되어, 문(18)은 안쪽에서 밀어서 열 수 있다.
(고안의 실시의 형태)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좌우 2개의 고정본체(1, 1)는 고정기판(17)의 배면측으로부터 비틀어 넣어진 비스(25)에 의해서 고정기판(17)의 정면측에 고착된다. 고정기판(17)과 고정본체(1, 1)는 정면측으로부터 비스 또는 볼트(26)에 의해서 문(18)에 체결 고착된다. 가동본체(2)는 고정본체(1, 1)의 사이에 배치되고, 하단부를 내장피벗축(3)에 의해서 고정본체(l, 1)에 피벗되어 있다. 고정본체(1)의 일부(1a)는 가동본체(2)의 뒷쪽으로 뚫고 나오도록 배치되어, 이 뒷쪽 돌출부(1a)에는 주 입벽부(30)와 부 입벽부(35)가 설치된다. 분할홈부(4)는 가동본체(2)의 상반부 중앙에 세로로 길게 설치되고, 분할홈부(4)의 양측의 배면벽부에는, 축받이홈(27)과 핀받이홈(28)이 옆으로 길게 설치된다. 훅레버(5)의 중간부 통과구멍(29)에 삽입된 내장지지축(6)은, 좌우단부를 축받이홈(27)에 끼워지고, 내장지지축(6)의 측면에 주 입벽부(30)의 전면부(30a)를 밀어 부침에 따라, 내장지지축(6)의 탈출이 저지되어 있다.
가동본체(2)의 상기 핀 받이홈(28)에는, 스프링 기구(10)의 가동핀(31)이 끼워져 있다. 스프링 기구(10)의 가이드판(32)의 머리부 받이홈(33)은 가동핀(31)에 걸어맞춤하여, 가이드판(32)의 기부받이홈(34)은 고정본체(1)의 주 입벽부(30)와 부 입벽부(35)에 가설된 고정핀(30)에 걸어맞춤하고 있다. 가이드판(32)에 끼워진 압축코일스프링(37)의 일단은 가이드판(32)의 머리부분 어깨면(38)에 접촉하여, 스프링(37)의 고정핀(36)에 접촉하고 있다. 고정핀(36)과 내장지지축(6)을 맺는 직선상을 작용력점인 가동핀(31)이 넘을 때마다 스프링기구(10)에 의한 훅레버(5)의 회전가압방향이 반전한다.
가동본체(2)의 하단부 통과구멍(39)에 삽입된 내장피벗축(3)의 좌우 단부는, 고정본체(1)의 안쪽면에 설치한 축받이구멍(40)에 끼움되어 있다. 고정본체(1)에는 가동본체(2)의 받이홈부(13)에 연통하는 홈구멍(41)이 설치되어, 홈구멍(41)의 좌우 내벽면에는 고정본체(1)의 배면측에 개구하고 있는 핀 받이홈(42)을 설치하고 있다. 커넥터(11)의 기단부 통과구멍(43)에 삽입된 내장핀(12)의 좌우단부는 핀 받이홈(42)에 끼움되고 있다. 고정기판(17)은 해당 홈구멍(41)과 핀 받이홈(42)을 폐쇄하여, 긴밀히 끼움된 스토퍼(16)와 동시에 커넥터(11)를 탈출불능하게 고정유지하고 있다. 가동본체(2)의 하부에 매설하여 고착한 자물쇠 유니트(43)의 로터(44)에는, 훅레버(5)의 밀어넣기를 저지하는 로크 플레이트(45)를 연결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의 기본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같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해방기구가 부가되어 있다.
문(18)의 배면측에는 고정 케이스(46)를 매설하여 고착하여 있어, 고정 케이스(46)에는 스프링판으로 이루어지는 유지수단(20)이 비스(47)에 의해서 고착하고 있다. 고정기판(17)의 통과구멍(48)과 문(18)의 통과구멍(19) 및 고정 케이스(46)의 통과구멍(49)으로부터 돌출한 스토퍼(16)의 단부에는, U자형 핸들로 이루어지는 빠짐조작수단(21)이 리벳형의 피벗축(53)에 의해서 피벗되어 있다. 보통때는 유지수단(20)의 선단 반환부(20a)가 스토퍼(16)의 후단면(16a)에 압접함으로써, 스토퍼(16)는 가동본체(2)의 받이홈부(13)에 밀어넣어 가압되어, 커넥터(1)의 요동을 저지하고 있다.
짐상자(24)내에서 작업중에 자물쇠 유니트(43)로 자물쇠가 채워졌을 때는, 고정 케이스(46)로부터 빠짐조작수단(21)을 기립회전시켜, 앞으로 강하게 당기면 된다. 인출조작에 의해서, 판 스프링의 유지수단(20)이 탄성변형하여 스토퍼(16)의 후단면(16a)에서 이탈하기 때문에, 스토퍼(16)는 가동본체(2)의 받이홈부(13)로부터 빼내여지게 된다.
스토퍼(16)의 빠짐조작수단(21)에서는, 핸들 등의 별개의 부품을 장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토퍼(16)의 기단부에 팔거리용 확대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16)의 유지수단(20)에서는, 스프링판에 한정되지 않고, 스토퍼(16)의 기단부를 내포하여 고정 케이스 등의 나사통부에 나사결합되는 캡 너트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청구항 1의 문고리 장치에서는, 훅레버(5)의 지지축(6), 가동본체(2)의 피벗축(6), 커넥터(11)의 축핀(12)이 어느 것이나 고정본체(1) 또는 가동본체(2)의 내부에 은폐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들의 타격 배출에 의해 부정하게 열 수 없고, 도난방지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구조가 간략화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의 작업성도 좋다.
또한, 청구항 2의 문고리 장치에서는, 스토퍼(16)를 문(18)의 배면측으로부터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짐상자 안에 갇힌 사람은 자력으로 탈출할 수 있고, 안전성이 우수하다.

Claims (2)

  1. 고정본체(1)에 가동본체(2)의 단부를 내장피벗축(3)에 의해서 튀어올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가동본체(2)의 분할홈부(4)에 끼워넣은 훅레버(5)를 내장지지축(6)에 의해서 기복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훅레버(5)의 선단훅부(7)의 배면측에 문개폐용 핸들(8)을 구속하는 걸어두는 홈부분(9)을 설치하여, 고정본체(1)와 훅레버(5)의 사이에 작용력점의 위치에 대응하여 훅레버(5)를 쓰러짐방향 또는 기립방향에 회전력을 더하는 스프링 기구(10)를 설치하여, 커넥터(11)의 기단부를 내장핀(12)에 의해서 고정본체(1)에 연결하여, 커넥터(11)가 요동이 자유롭게 들어가는 받이홈부(13)를 가동본체(2)에 설치하여, 커넥터(11)의 선단 클릭부(14)를 받이홈부(13)의 내벽면의 걸어멈춤 오목부(15)에 걸어맞춤시켜 가동본체(2)를 고정본체(1)에 구속하여, 선단 클릭부(14)가 걸어멈춤 오목부(15)로부터 탈출하는 방향으로의 커넥터(11)의 요동을 저지하는 스토퍼(16)를 받이홈부(13)에 끼워넣어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6)를 유지수단(20)에 의해서 받이홈부(13)내에 밀어넣어 유지하여, 문(18)의 배면측에 스토퍼(16)의 빠짐조작수단(2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
KR2019970011851U 1997-05-26 1997-05-26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 KR200165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851U KR200165309Y1 (ko) 1997-05-26 1997-05-26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851U KR200165309Y1 (ko) 1997-05-26 1997-05-26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96U KR19980067296U (ko) 1998-12-05
KR200165309Y1 true KR200165309Y1 (ko) 2000-01-15

Family

ID=1950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851U KR200165309Y1 (ko) 1997-05-26 1997-05-26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3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96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803B1 (en) Security lock, for doors in installation/mounting in caravans in particular
JPS6215705B2 (ko)
US3995459A (en) Lock assemblies
KR100750580B1 (ko) 문짝용 핸들의 로크 장치
JP2724452B2 (ja) 防水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165309Y1 (ko) 문개폐용 핸들의 문고리 장치
US4229955A (en) Lock for roller shutters
CN210685652U (zh) 一种新型的防雷锁装置
KR100528841B1 (ko) 문짝 개폐용 핸들의 걸음쇠장치
US20040083777A1 (en) Tamper resistant lock assembly
GB823248A (en) Improvements in fastening devices for doors and the like
JP2580077Y2 (ja) 錠におけるデッドボルトの空動き防止装置
JP2756954B2 (ja)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US3012270A (en) Safety hinge
JP4530294B2 (ja)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KR10046240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웨이스트라인 몰딩 수납구조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HU223622B1 (hu) Kiegészítő kötőpánt
JP2723425B2 (ja) 自動販売機の扉体施錠装置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JPS5817088Y2 (ja) キ−レバ−に盗難防止装置を設けた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200284816Y1 (ko) 자동차의트렁크리드열림상태지지구조
JPH0624530Y2 (ja) 平面ハンドル装置
JPH0720301Y2 (ja) 退没位置拘束型引き戸用ロック装置
JPS62116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