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279Y1 -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279Y1
KR200165279Y1 KR2019970030247U KR19970030247U KR200165279Y1 KR 200165279 Y1 KR200165279 Y1 KR 200165279Y1 KR 2019970030247 U KR2019970030247 U KR 2019970030247U KR 19970030247 U KR19970030247 U KR 19970030247U KR 200165279 Y1 KR200165279 Y1 KR 200165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groove
door
coupling memb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774U (ko
Inventor
임관영
안을수
Original Assignee
임관영
안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관영, 안을수 filed Critical 임관영
Priority to KR2019970030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27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47G1/101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 A47G1/102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having an aperture to receive a fastener to connect to a fram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짝이나 액자등을 견고하게 결합되는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접합면(105)의 내측은 개방되고, 외측은 폐쇄되는 동시에 각 접합면(105)의 하부에서 상부로 동일각을 가지는 안내요홈(110)이 길게 형성되는 각 틀(102)(104)(106)(108); 일단부가 외측으로 일정각도 벌어진 합목부(124)가 각기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편(122), 상기 한 쌍의 걸림편(122)을 연결하는 연결판(128), 상기 연결판(128)을 상기 합목부(124)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형성하여 형성된 안내편(126)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20); 그리고, 상기 내측으로 개방된 안내요홈(110)을 은폐시키는 커버(130)가 구비되어, 상기 각 틀의 접합면을 마주댄 상태에서 형성되는 안내요홈(110)에 상기 결합부재(120)를 밀어넣음으로서, 상기 한 쌍의 걸림편(122)이 각 틀의 안내요홈(110)을 슬라이딩하는 동시에 일정각을 가진 합목부(124)에 의하여 상기 각 틀의 접합면이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로 인하여 상기 결합부재의 부식을 방지됨으로서, 문짝이나 액자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
본 고안은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자 및 문짝을 이루는 각 틀의 접합면에 안내요홈을 형성하고, 이후, 맞대어진 두 틀의 안내요홈 내부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두 틀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문짝이나 액자의 결합시 결합부재가 각 틀의 요홈 내부로 은폐되게 하여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부패를 방지함으로서 수명을 연장시키고, 문짝의 각 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나 문짝등은 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즉, 네 개의 틀을 서로 접합시킴으로서 액자나 문짝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문짝 및 액자의 제작과정을 제1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각목의 일측면에 보조부재 장착용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목을 가공하여 문짝을 구성하는 상측틀(1), 하측틀(3), 좌측틀(2) 및 우측틀(4)을 만든다.
상기 각 틀(1)(2)(3)(4)은 좌우측면이 모두 내측으로 절삭된 접합면이 형성되어 사다리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후, 각 틀의 접합면을 맞대고, 결합수단(5)에 의하여 접합면을 결합시키면 액자나 혹은 문짝이 완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각 틀의 접합면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은 못을 사용하여 접합면을 결합하는 방법과, 접착제를 접합면에 발라 결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제1도에서와 같이 스테플(1)을 이용하여 접합면을 결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못이나 스테플을 이용하는 경우 접합면을 확실히 밀착시켜 접합하기 어려울 뿐 만 아니라, 수분의 노출이 많은 싱크대 문짝의 경우 못이나 스테플을 사용하게 되면 수분에 의하여 못이나 스테플이 쉽게 부식되고, 이에 따라 그 문짝의 결합이 견고해지지 못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스테플이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자 혹은 문짝을 이루는 각 틀의 접합면에 안내요홈을 형성하고, 이후, 맞대어진 두 틀의 안내요홈 내부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두 틀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재, 상기 안내요홈을 은폐하는 커버를 구비하여, 문짝이나 액자의 결합시 결합부재가 각 틀의 안내요홈 내부로 은폐되게 함으로서, 각종 오염물지로부터 부패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킴은 물론 문짝 및 액자의 각 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 할 수 있는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재 및 커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을 결합시 결합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문짝 또는 액자 102,104,106,108 : 제 1, 2, 3, 4틀
105 : 접합면 110 : 안내요홈
112 : 타부재 장착용 요홈 120 : 결합부재
122 : 걸림편 124 : 합목부
126 : 안내편 128 : 연결판
130 : 커버 132 : 요철부
134 : 결착돌기 136 : 은폐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는, 좌우측면이 모두 내측으로 절삭된 접합면이 형성되어 사다리꼴을 이루고, 내측면에는 타부재 장착용 요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틀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문짝이나 액자에 있어서, 상기 각 접합면의 내측은 개방되고, 외측면은 폐쇄되는 동시에 각 접합면의 하부에서 상부로 동일각을 가지는 안내요홈이 길게 형성되는 각 틀; 상기 맞대어진 두 틀의 안내요홈 내부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두 틀을 결합할 수 있도록 안내요홈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가지는 동시에 일단부가 외측으로 일정각도 벌어진 합목부가 각기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편, 상기 한 쌍의 걸림편을 연결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을 상기 합목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형성하여 형성된 안내편으로 이루어진 결합주재; 그리고, 상기 내측으로 개방된 안내요홈을 폐쇄시키는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각 틀의 접합면을 마주댄 상태에서 형성되는 장형의 슬롯에 상기 결합부재를 밀어넣음으로서, 상기 한 쌍의 걸림편이 각 틀의 안내요홈을 슬라이딩하는 동시에 일정각을 가진 걸림편의 합목부가 상기 각 틀의 안내 요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각 틀의 접합면을 확실히 밀착접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된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도는 본 고안의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재 및 커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을 결합시 결합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문짝이나 액자(100)는 먼저, 내측면에 유리나 보조물을 끼울 수 있는 타부재 장착용 요홈(112)이 형성된 피착물(원목: 약 2.5M)에 염화비닐의 피복재를 부착한다. 이후, 상기 피착물을 일정각도로 잘라 4개의 틀(102)(104)(106)(108)을 만든다. 이로서, 각 틀(102)(104)(106)(108)은 좌우측면이 모두 내측으로 절삭된 접합면(105)이 형성되어 사다리꼴을 이룬다. 또한, 각 접합면(105)에는 내측하부에서 외측상부로 안내요홈(110)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결합부재(120)를 안내한다. 상기 안내요홈(110)은 접합면(105)의 내측하부에서 외측상부로 일정각도 경사시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120) 결합시에 상기 각도로 인하여 견고성이 증대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제 1틀(102), 제 2틀(104), 제 3틀(106),제 4틀(108)을 마주대면, 각 한 쌍의 접합면(105)에는 안내요홈(110) 또한 서로 대응되어 하나의 결착홈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맞대어진 두 틀의 안내요홈(110)내부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두 틀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재(120)는, 제3도에서와 같이, 중앙의 본체가 되는 연결판(128)과, 상기 연결판(128)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설치되는 걸림편(122), 상기 연결판(128)의 일단부를 연장형성하여 상기 안내요홈(110)에 슬라이딩 상기의 결합부재(120)를 안내할 수 있도록하는 안내편(12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걸림편(122)은 상기 안내편(126)이 있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외향각을 가지는 합목부(124)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는 결합부재(120)가 안내요홈(110)에 슬라이딩 결합시에 맞대어진 한 쌍의 틀(102)(104)을 확실히 밀착시켜 결합한다. 또한, 상기 걸림편(122)의 상하부는 목재틀에 잘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날카롭게 형성된다.
또한,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130)는 상기 안내요홈(110)에 상기 결합부재(120)가 슬라이딩 결합한 후에 상기 안내요홈(110)이 외부로 도출되는 것을 은폐한다. 즉, 상기 커버(130)은 90°로 절곡된 은폐판(136)과, 상기 은폐판(136)의 내부로 요철부(132)가 형성된 결착돌기(13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은폐판(136)은 상기 안내요홈(110)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그 각에 대응하기 위하여 내측이 일정길이 더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다리꼴의 형상을 하도록 좌우측면을 잘라 접합면(105)을 형성한 각틀(102)(104)(106)(108)을 만든 후, 상기 접합면(105)에는 문짝이나 액자의 내부하측에서 외부상측으로 안내요홈(110)을 가공한다.
상기 동작 후, 상기 제 1, 2, 3, 4틀(102)(104)(106)(108)의 접합면(105)을 마주대어 가 결합 시키면 상기 안내요홈(110) 또한 서로대응되게 맞대어져 하나의 결착홈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안내요홈(110)에 상기 결합부재(120)의 안내편(126)을 삽입시키고, 그후, 상기 결합부재(120)를 계속해서 밀어 넣으면, 제4도에서와 같이, 재질이 연한 목재인 한쌍의 틀(102)(104)은 상기 걸림편(122)의 일단에 일정각도 외향으로 벌어진 합목부(124)에 의하여 화살표 P방향으로 외력을 받게 된다. 즉, 결합부재(120)의 합목부(124)가 계속 전진함에 따라 상기 각 틀(102)(104)은 상기 걸림편(122)방향으로 모이게 되어 한쌍의 접합면(105)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120)를 밀어놓어 결합한 후, 상기 결합부재(120)의 부식 및 상기 안내요홈(110)으로 인한 심미감의 저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요홈(110)에는 상기 커버(130)가 끼워지게 된다.
제4도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130)의 결착돌기(134)를 상기 안내요홈(110)에 끼운 후 상기 연결판(128)을 밀어 넣으면, 상기 요철부(132)는 상기 안내요홈(11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은폐판(136)은 상기 안내요홈(110)에 상기 결합부재(120)가 슬라이딩 결합한 후에 안내요홈(110)이 외부로 도출되는 것을 은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는, 액자 혹은 문짝을 이루는 각 틀의 접합면에 안내효홈을 형성하고, 이후, 맞대어진 두틀의 안내요홈 내부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두 틀을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재, 상기 안내요홈을 은폐하는 커버를 구비하여, 문짝이나 액자의 결합시 결합부재가 각 틀의 안내요홈 내부로 은폐되어 결합함으로서,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부패를 방지하여 문짝이나 액자의 수명을 연장시킴을 물론 문짝의 각 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 할 수 있고, 커버를 사용하여 안내요홈의 도출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심미감 저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좌우측면이 모두 내측으로 절삭된 접합면(105)이 형성되어 사다리꼴을 이루고, 내측면에는 타부재 장착용 요홈(112)이 형성되는 다수의 틀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문짝이나 액자에 있어서, 상기 각 접합면(105)의 내측은 개방되고, 외측은 폐쇄되는 동시에 각 접합면(105)의 내측은 개방되고, 외측은 폐쇄되는 동시에 각 접합면(105)의 하부에서 상부로 동일각을 가지는 안내요홈(110)이 길게 형성되는 각 틀(102)(104)(106)(108); 상기 맞대어진 두 틀의 안내요홈(110)내부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두 틀을 결합할 수 있도록 안내요홈(110)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가지는 동시에 일단부가 외측으로 일정각도 벌어진 합목부(124)가 각기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편(122), 상기 한 쌍의 걸림편(122)을 연결하는 연결판(128), 상기 연결판(128)을 상기 합목부(124)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형성하여 형성된 안내편(126)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20); 그리고, 상기 내측으로 개방된 안내요홈(110)을 은폐시키는 커버(130)가 구비되어, 상기 각 틀의 접합면을 마주댄 상태에서 형성되는 안내요홈(110)에 상기 결합부재(120)를 밀어넣음으로서, 상기 한 쌍의 걸림편(122)이 각 틀의 안내요홈(110)을 슬라이딩하는 동시에 일정각을 가진 합목부(124)에 의하여 상기 각 틀의 접합면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이나 액자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30)은 90°로 절곡된 은폐판(136)과, 상기 은폐판(136)의 내부로 요철부(132)가 형성된 결착돌기(1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맞대어진 한쌍의 틀의 안내요홈(110)에 의해서 형성되는 홈에 상기 결착돌기(134)가 끼워짐으로서 상기 안내요홈(110)을 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틀의 안내요홈(110)은 접합면(105)의 내측하부에서 외측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
KR2019970030247U 1997-10-30 1997-10-30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 KR200165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247U KR200165279Y1 (ko) 1997-10-30 1997-10-30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247U KR200165279Y1 (ko) 1997-10-30 1997-10-30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74U KR19990016774U (ko) 1999-05-25
KR200165279Y1 true KR200165279Y1 (ko) 2000-03-02

Family

ID=1951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247U KR200165279Y1 (ko) 1997-10-30 1997-10-30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2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74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5992A (en) J-trim corner piece
JP5631582B2 (ja) 建具および額縁
KR200165279Y1 (ko) 문짝 및 액자의 결합구조
JP2721628B2 (ja) 外壁材接合部の防水構造
JP3133022B2 (ja) 開口枠の組み立て方法
KR19980072998A (ko) 창틀골재 연결구
KR200186964Y1 (ko) 문틀조립체
KR940006577Y1 (ko)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연결부재
KR102206073B1 (ko) 창호 표면마감 커버용 모서리접합부 마감재
JP3129781U (ja) 壁開口部の開口枠及び開口枠の取り付け方法
KR100846723B1 (ko) 문살의 연귀맞춤 구조
JP2007239277A (ja) 片引き戸の枠構造
JP3126105U (ja) 壁開口部の開口枠
KR100590426B1 (ko) 가구용 판재의 체결구조
JP2779384B2 (ja) 開口枠
KR200414552Y1 (ko) 조립형 복합창호
JPS587915Y2 (ja) 建具
JP3330111B2 (ja) 扉の構造
JP3852726B2 (ja)
JP2000154639A (ja) 床見切り材
KR200322798Y1 (ko) 가변형 문틀커버
JP3819584B2 (ja)
JP4881675B2 (ja) 枠および枠取付構造
KR200354582Y1 (ko) 가구용 판재의 체결구조
JP2555564Y2 (ja) 羽目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