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091Y1 - 자동차용 핸들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핸들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5091Y1 KR200165091Y1 KR2019990016240U KR19990016240U KR200165091Y1 KR 200165091 Y1 KR200165091 Y1 KR 200165091Y1 KR 2019990016240 U KR2019990016240 U KR 2019990016240U KR 19990016240 U KR19990016240 U KR 19990016240U KR 200165091 Y1 KR200165091 Y1 KR 20016509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handle
- transparent vinyl
- cushion layer
- outside
- Prior art date
Links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물지상에 인쇄된 여러 가지 문양이나 무늬가 투명비닐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므로써 외관 품질의 장식적 미감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핸들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핸들커버(10)는 고무를 통형으로 가류시켜 환형으로 성성된 커버본체(11)와, 커버본체(11)의 외측을 둘러싸는 쿠션층(12)과, 상기 쿠션층(12)의 표면을 감싸며 여러 가지 문양이나 무늬가 인쇄된 직물지(13)와, 직물지(13)의 인쇄면을 감싸며 그 문양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구성된 투명비닐(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핸들커버는 직물지의 문양이 투명비닐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므로써 종래의 단순한 디자인으로 일관된 핸들커버의 외관 품질을 미려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커버본체와 직물지의 사이에 탄력성이 구비된 쿠션층이 개재되므로써 운전자가 핸들을 잡았을 때 안락하고 편안한 쿠션감이 전달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핸들커버의 외측이 투명비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묻거나 더러워졌을 경우에 닦아내기만 하면 되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용 핸들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고무로 구성된 커버본체의 외측에 쿠션층을 형성하고 쿠션층의 표면에 여러 가지 문양이 인쇄된 직물지와 투명비닐을 적층 형성하므로써 투명비닐을 통해 보이는 직물지의 문양에 의하여 장식적 미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쿠션층에 의한 파지감이 좋아지도록 한 핸들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핸들커버는 운전중에 핸들에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자동차 내부의 장식적 인테리어를 위해서 원형의 핸들 외측을 둘러싸며 부착하는 자동차 악세사리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종래의 핸들커버는 다양한 형태와 형상으로 제작되어 시중에 제품화되어 출시되고 있는 바, 그 대표적인 형태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일예로서, 종래 핸들커버는 주로 가죽으로 구성되어 그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 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환형의 고무판으로 이루어진 커버본체의 외측에 합성섬유 소재의 두꺼운 직물지가 일체로 접착되는 2중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전자의 경우처럼 다수개의 돌기 또는 요철부가 형성된 핸들커버는 운전자가 장시간 운전을 하게 되면 손바닥에 통증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핸들커버 자체의 미적 감각보다는 손에 파지되는 핸들의 요철 형상이 더 중요시 되기 때문에 디자인을 중시하는 요즘의 추세에는 부합되지 못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핸들커버의 외측이 가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가의 가격이 유지될 수 밖에 없으며, 핸들커버의 특성상 손바닥에서 생기는 땀을 흡수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오래 사용하다 보면 가죽 자체에 손바닥에서 발생되는 땀이 차게 되어 핸들커버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처럼 고무판체로 구성된 커버본체와 두꺼운 직물이 이중으로 형성된 핸들커버는 직물이 합성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땀이나 수분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여름철에 운전할 때 쾌적한 느낌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핸들커버를 벗겨낸 후 여름이 지난 후 다시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직물지가 커버의 전체 표면으로 드러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노상에서 간단한 엔진정비후에 곧바로 핸들을 잡는 경우나 운전자의 손에 이물질이 묻은 상태로 핸들을 잡게 되면 핸들커버가 쉽게 더러워지게 되며, 세탁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핸드커버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형으로 형성된 커버본체의 외측에 탄력성이 우수한 쿠션층이 위치하고, 쿠션층의 표면에 직물지와 투명비닐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직물지에 인쇄된 문양에 의해서 핸드커버의 미적감각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쿠션층에 의한 핸들의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핸들커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 핸들커버의 절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핸들커버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핸들커버 11. 커버본체
12. 쿠션층 13. 직물지
14. 투명비닐 15. 내측 주연부
16. 삽입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고무로 이루어진 커버본체와, 커버본체의 외측에 부착되는 쿠션층과, 상기 쿠션층의 표면을 둘러싸며 여러 가지 문양과 무늬가 인쇄된 직물지와, 그 외측에 적층형성된 투명비닐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커버는 자동차 핸들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삽입되고 일반적인 자동차 핸들의 형상인 환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측 원주면을 통해 핸들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개구된 삽입구가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커버를 이루는 구성물로서 커버본체, 쿠션층, 직물지, 투명비닐이 순차적인 적층체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의 양측부에 형성된 재봉선을 따라 상기 구성물들이 일렬로 재봉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 고안 자동차용 핸들커버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핸들커버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 핸들커버의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핸들커버(10)는 고무를 통형으로 가류시켜 환형으로 형성된 커버본체(11)의 외측을 둘러싸는 쿠션층(12)과, 상기 쿠션층(12)의 표면을 감싸며 여러 가지 문양이나 무늬가 인쇄된 직물지(13)와, 직물지(13)의 인쇄면을 감싸며 그 문양이 드러나도록 구성된 투명비닐(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핸들커버(10)의 배면을 이루는 커버본체(11)은 고무로 구성되어 있어서 고무 자체가 구비하고 있는 마찰력에 기인하여 핸들의 외주면에 삽입됐을 때 헛돌지 않도록 구성되며, 그 배면에 다수개의 돌기(11a)와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핸들의 조향 작동시에 핸들의 외측면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되므로써 안정감있는 핸들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11)는 고무 자체가 구비하고 있는 우수한 원형복원력과 신축성에 기인하여 핸들의 외측에 더욱 밀착하여 고정을 이루게 되며, 핸들커버(10)의 원주방향으로 발생되는 소정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각사마다 약간씩 차이가 나는 핸들의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핸들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11)의 외측을 둘러싸는 쿠션층(12)은 그 배면에 부착된 커버본체(11)과 함께 소정의 쿠션감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력성이 강한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직물지(13)에 의해서 전체면이 모두 가려지게 되므로 핸들커버(10)의 외측으로는 전혀 드러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층(12)을 이루는 부직포 자체가 약간의 신장율을 가지고 늘어나는 성질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핸들의 외측에 끼워질때에 그 배면의 커버본체(11)와 동일하게 원주방향으로 신장되어 핸들에 일체로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쿠션층(12)은 부직포 외에도 스폰지나 융 또는 발포스티로폴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쿠션층(12)의 표면을 둘러싸는 직물지(13)는 평직으로 짜여진 일반적인 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표면에 여러 가지 문양이나 무늬가 인쇄되어 있는 형태로서, 상기 문양이나 무늬는 소비자의 선호도나 취향 또는 자동차의 내부 인테리어에 맞추어 소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변화시켜 인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핸들커버(10)의 상층부를 이루는 투명비닐(14)은 그 배면에 접하고 있는 직물지(13)의 무늬나 문양이 잘 보일 수 있도록 일반적인 투명비닐(14)이 사용되며, 핸들커버(10)의 최상부층을 이루는 구성물로서, 운전시에 운전자의 조향 작동에 따른 손바닥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투명비닐(14)이 핸들상에서 찢어지지 않도록 대략 0.02㎜ 이상의 두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비닐(14)상에 직물지(13)의 무늬나 문양과는 별도로 투명비닐(14) 자체에 소정의 무늬를 인쇄할 수 있으며, 투명비닐(14)에 인쇄된 무늬가 직물지(13)의 무늬와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더욱 미려한 외관 품질이 표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투명비닐(14)에 인쇄되는 문양은 형광안료를 사용하여 인쇄하므로써 더욱 미려한 무늬나 색상이 표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형광문양은 투명비닐(14)의 내측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투명비닐(14)의 형광인쇄 부분이 직물지(13)에 접하면서 재봉되도록 하여 운전시 손바닥과의 마찰이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형광문양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의 핸들커버(1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무가 가류되어 환형으로 형성된 커버본체(11)의 외측으로 쿠션층(12)과 직물지(13), 투명비닐(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를 이루며, 상기 적층체가 커버본체(11)의 전체를 감싸면서 그 양측단부를 커버본체(11)의 배면으로 감아올려 상기 4겹의 적층체가 겹쳐진 상태에서 양측 가장자리 부분, 즉 핸들커버(10)의 내측 주연부(15)을 따라 재봉하므로써 환형의 형태로 핸들커버(10)의 형체로서 완성된다.
또한, 핸들커버(10)의 내측 주연부(15)을 따라 재봉된 가장자리부에 핸들에 핸들커버(10)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구(16)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6)를 통해서 핸들의 외측이 핸들커버(10) 커버본체(11)의 배면과 접하면서 결합이 되며, 이때 상기 삽입구(16)는 핸들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핸들커버는 고무가 환형으로 형성된 커버본체와 그 상부의 쿠션층 표면에 여러 가지 무늬나 문양이 인쇄된 직물지와 투명 내지는 형광문양이 인쇄된 투명비닐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이루어진 구조에 기인하여 직물지의 문양이 투명비닐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므로써 종래의 단순한 디자인으로 일관된 핸들커버의 외관 품질을 미려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 핸들커버는 고무로 구성되는 커버본체와 평직으로 짜여진 직물지의 사이에 탄력성이 구비된 쿠션층이 게재되므로써 운전자가 핸들을 잡았을 때 안락하고 편안한 쿠션감이 전달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부층을 이루는 투명비닐은 그 내측에 별도의 무늬를 형광안료로 인쇄하여 야광반사기능이 구비되도록 하므로써 야간 주차시 또는 가로등이 없는 곳을 주행할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커버 외측에 이물질이 묻거나 더러워졌을 경우에 닦아내기만 하면 되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 고무를 통형으로 가류시켜 환형으로 형성된 커버본체(11)의 외측을 둘러싸는 쿠션층(12)과, 상기 쿠션층(12)의 표면을 감싸며 여러 가지 문양이나 무늬가 인쇄된 직물지(13)와, 직물지(13)의 인쇄면을 감싸며 그 문양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구성된 투명비닐(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들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비닐(14)의 배면에는 형광안료를 사용하여 인쇄된 형광문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들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6240U KR200165091Y1 (ko) | 1999-08-09 | 1999-08-09 | 자동차용 핸들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6240U KR200165091Y1 (ko) | 1999-08-09 | 1999-08-09 | 자동차용 핸들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5091Y1 true KR200165091Y1 (ko) | 2000-02-15 |
Family
ID=1958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6240U KR200165091Y1 (ko) | 1999-08-09 | 1999-08-09 | 자동차용 핸들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5091Y1 (ko) |
-
1999
- 1999-08-09 KR KR2019990016240U patent/KR20016509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02744A (ko) | 오염방지를 위한 자동차매트 | |
US6062601A (en) | Motorized vehicle fuel tank protective device | |
KR200165091Y1 (ko) | 자동차용 핸들커버 | |
CA2417620A1 (en) | Vehicle floor mats | |
GB2312147A (en) | Releasably securable seat belt cover | |
ES2275689T3 (es) | Alfombrilla de proteccion y/o decoracion, particularmente destinada a equipar un vehiculo automovil. | |
US6408715B1 (en) | Steering wheel cover | |
US20130298721A1 (en) | Grip for handlebars | |
KR101683370B1 (ko) | 차량용 핸들커버 | |
FR2537933A3 (fr) | Tapis en chlorure de polyvinyle avec motif imprime, pour interieur de vehicules automobiles | |
KR200386016Y1 (ko) | 투명 핸들커버 | |
JPH0954626A (ja) | 操作レバー用樹脂製カバー | |
KR200344822Y1 (ko) | 일회용 자동차 매트 | |
KR200251604Y1 (ko) | 핸들커버 | |
JP3039625U (ja) | 両面式カーマット | |
JPH0647323Y2 (ja) | 自動車用座席カバー | |
JP2847287B2 (ja) | 階段の構造 | |
KR960006457Y1 (ko) | 자동차용 핸들카바 | |
KR200175490Y1 (ko) | 2륜자동차용 안장 보조덮개 | |
JPH0867286A (ja) | グ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0288186Y1 (ko) | 차량용 시트커버의 라벨 | |
KR20100000311U (ko) | 자동차용 핸들커버 | |
KR200304075Y1 (ko) | 차량 크래쉬 패드용 커버 | |
KR20080000767U (ko) | 봉재선이 감추어진 자동차 핸들커버 | |
KR200343063Y1 (ko) | 자동차 핸들카바의 미끄럼방지용 돌출부의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01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