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717Y1 - 야채쓰레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야채쓰레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717Y1
KR200164717Y1 KR2019990013894U KR19990013894U KR200164717Y1 KR 200164717 Y1 KR200164717 Y1 KR 200164717Y1 KR 2019990013894 U KR2019990013894 U KR 2019990013894U KR 19990013894 U KR19990013894 U KR 19990013894U KR 200164717 Y1 KR200164717 Y1 KR 200164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vegetable waste
water
grinding
fin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근
Original Assignee
윤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홍근 filed Critical 윤홍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7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Abstract

본 고안은 농산물시장이나 화훼단지 등에서 발생되는 각종 야채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커터로 형성된 강력한 분쇄수단을 이용하여 야채쓰레기에 포함된 이물질(포장용 끈 등)을 별도 분리하는 작업없이 한꺼번에 잘게 분쇄하여 소각 또는 퇴비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야채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각체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호퍼로 공급되는 야채쓰레기에 압축력을 배가하는 레듀셔부가 형성되며 외주에 다수의 수분배출공이 천공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레듀셔부 타측에 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공급되는 야채쓰레기를 분쇄수단으로 압축이송시키는 압축이송수단과, 상기 압축이송수단으로 이송된 야채쓰레기를 잘게 분쇄시키는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수단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분쇄수단으로 분쇄된 야채쓰레기의 잔여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수단과, 상기 몸체 하부에 설치되어 수분배출공으로 배출된 수분을 포집하는 수분포집구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야채쓰레기 및 이물질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한 분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한몸체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수분이 거의 제거되며 입자가 미세하게 분쇄되므로 부피 및 무게가 작아져 운송효율이 높아지고 소각하거나 퇴비화 하기가 수월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야채쓰레기 처리장치{Vegetables refuse disposal device}
본 고안은 농산물시장이나 화훼단지 등에서 발생되는 각종 야채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커터로 형성된 강력한 분쇄수단을 이용하여 야채쓰레기에 포함된 이물질(포장용 끈 등)을 별도 분리하는 작업없이 한꺼번에 잘게 분쇄하여 소각 또는 퇴비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야채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추, 무우, 양파 등의 채소나 장미, 백합 등의 화초가 대량 유통되는 농산물시장과 화훼공판장에서는 야채쓰레기가 대량으로 발생되고 각 가정에서도 김장철에는 대량의 야채쓰레기가 발생된다.
즉 이러한 야채쓰레기는 채소나 화훼 등을 정리하거나 다듬을때 발생되는 것으로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부피가 매우 크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야채쓰레기는 한곳에 모아져 트럭 등으로 운송하여 매립장에 매립하거나 소정의 크기로 잘게 분쇄하여 발효시킨 다음 퇴비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야채쓰레기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야채쓰레기가 수분을 많이 포함하여 무게가 많이 나가고 부피가 크므로 1회 운송이 가능한 양에 제한이 있으므로 주로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여 수분을 제거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분쇄하는 공정뿐만 아니라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압착을 행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비용 또한 막대한 것이었다.
또한 막대한 설치비용에도 불구하고 분쇄수단이 대부분 한쌍의 분쇄로울러 사이로 통과하여 분쇄가 이루어지므로 야채쓰레기 이외의 불순물(노끈이나, 테이프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분쇄로울러에 이물질이 감겨져 원활한 분쇄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었고 결국에는 기계적인 파손이 우려되고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송단계의 야채쓰레기에 연속 반복적으로 압축력을 가해 수분을 제거한 후 다수의 커터로 형성되는 강력한 분쇄수단을 이용하여 압축된 야채쓰레기를 잘게 분쇄하여 소각하거나 퇴비로 이용할 수 있는 야채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각체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호퍼로 공급되는 야채쓰레기에 압축력을 배가하는 레듀셔부가 형성되며 외주에 다수의 수분배출공이 천공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레듀셔부 타측에 형성되고 몸체 내부에 공급되는 야채쓰레기를 분쇄수단으로 압축이송시키는 압축이송수단과, 상기 압축이송수단으로 이송된 야채쓰레기를 잘게 분쇄시키는 분쇄수단과, 상기 분쇄수단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분쇄수단으로 분쇄된 야채쓰레기의 잔여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수단과, 상기 몸체 하부에 설치되어 수분배출공으로 배출된 수분을 포집하는 수분포집구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야채쓰레기 및 이물질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한 분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한몸체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수분이 거의 제거되며 입자가 미세하게 분쇄되므로 부피 및 무게가 작아져 운송효율이 높아지고 소각하거나 퇴비화 하기가 수월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야채쓰레기 처리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야채쓰레기 처리장치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분쇄수단의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분쇄수단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분쇄수단의 분쇄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3,11 : 호퍼 10 : 몸체
12 : 레듀셔부 20 : 압축이송수단 21 : 피스톤
22 : 유압실린더 24 : 리미트스위치 30 : 분쇄수단
31,31a,31b : 고정커터판 33 : 고정커터 36 : 1차커터
36-3 : 절단돌기 37 : 2차커터 38 : 3차커터
40 : 동력전달수단 44 : 회전축 50 : 수분제거수단
60 : 수분포집구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체 프레임(1) 상부에 설치되고 야채쓰레기가 공급되는 원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몸체(10)에 공급된 야채쓰레기를 분쇄수단(30)으로 압축이송시키는 압축이송수단(20)과,
상기 압축이송수단(20)으로 이송된 야채쓰레기를 잘게 분쇄시키는 분쇄수단(30)과,
상기 분쇄수단(30)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40)과,
상기 분쇄수단(30)으로 분쇄된 야채쓰레기 잔여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수단(50)과,
상기 몸체(10)의 수분배출공(13)으로 배출된 수분을 포집하는 수분포집구(60)로 이루어 진다
사각체 프레임(1)은 사방 하부에 다리(2)가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부에 야채쓰레기 처리장치의 원통형 몸체(10)가 설치된다.
원통형 몸체(10)는 상부 호퍼(11)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호퍼(11)로 공급되는 야채쓰레기가 압축이송수단(20)의 피스톤(21)으로 압축이송되는 과정에서 야채쓰레기가 단단하게 압축될 수 있도록 분쇄수단(30) 쪽으로 점점 내경이 작아지는 레듀셔부(12)가 형성되며 외주에는 압축이송과정에서 제거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수분배출공(13)이 천공된다.
상기 레듀셔부(12)의 타측에 형성되는 압축이송수단(20)은 몸체(10) 내부에 좌,우 왕복 이송되는 피스톤(21)이 설치되어 호퍼(11)로 투입된 야채쓰레기를 분쇄수단(30)으로 압축이송한다.
피스톤(21)은 몸체(10) 일측 선단에 설치된 유압실린더(22)에 의해 좌,우 이송되며 이때 좌,우 이송량은 이송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제어수단은 피스톤(21) 일측면에 부착되고 몸체(10) 외부로 돌출된 이송봉(23)에 리미트스위치(24)가 설치되고 리미트스위치(24)는 고정봉(25)의 양측에 설치된 접지구(26) 사이를 왕복 이송하면서 피스톤(21)의 좌,우 이송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스톤(21)에 의해 분쇄수단(30)으로 압축이송되는 야채쓰레기는 몸체(10) 일측의 레듀셔부(12)에 의해 압축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므로 압축력이 더욱 가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야채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은 대부분 수분배출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수분은 몸체(10) 하부에 설치된 수분포집구(60)에 포집되어 외부의 오수처리시설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분쇄수단(30)은 도 3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일측선단의 플랜지부(14)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커터판(31)(31a)(31b)이 설치된다.
고정커터판(31)(31a)(31b)은 중앙에 동력전달수단(40)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끼움공(32)이 형성되고 끼움공(32)을 중심으로 1,2,3차 커터(36)(37)(38)와 맞대어지는 고정커터(33)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면상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끼움공(32)에는 베어링이 삽입되어 회전축(44)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커터판(31)(31a)의 삽입부(34)에는 외통(35)이 삽입고정되므로써 잘게 분쇄된 야채쓰레기가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고정커터판(31)의 내측에는 회전축(44)에 1차커터(36)가 고정설치되고 다른 고정커터판(31a)(31b)의 사이사이에는 회전축(44)에 2,3차커터(37)(38)가 고정설치되어 야채쓰레기를 복수의 단계과정으로 잘게 분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1차커터(36)는 지지부(36-1)의 양측으로 엇갈리게 절단날(36-2)이 형성되고 절단날(36-2)의 일측면에는 산형의 절단돌기(36-3)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절단돌기(36-3)는 일반적인 야채쓰레기 이외의 불순물(노끈이나 양파망 등)의 경우에도 찍어 누르면서 갈기갈기 찢는 형태로 잘게 분쇄할 수 있게 되므로 분쇄작업 이전에 별도의 불순물 분리작업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2,3차커터(37)(38)는 지지부(37-1)의 양측으로 엇갈리게단면형의 절단날(37-2)이 형성되고 이러한 커터는 일차적으로 1차절단부(37-3)에 의해 1차절단되고 2차절단부(37-4)에 의해 연속적으로 2차절단이 이루어 지므로 보다 효과적인 분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분쇄수단(30)은 체결구에 의해 고정커터판(31)(31a)(31b)이 관통되어 플랜지부(14)에 고정되고 고정커터판(31)(31a)(31b)의 사이사이에는 간격유지구(39)가 끼워져 고정커터판(31)(31a)(31b)의 일정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분쇄수단(30)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40)은 공지된 형태로 프레임(1) 일부 고정판(41)에 설치된 모터(42)의 회전력을 벨트(43)로 전달받아 회전축(44)이 회전되며 회전축(44)은 베어링이 내재된 지지체(45)에 회전가능케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분쇄수단(30)으로 분쇄된 야채쓰레기는 프레임(1)에 설치된 호퍼(3)를 통해 잔여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수분제거수단(50)으로 이송되고 수분제거수단(50)은 맞물리며 회전하는 한쌍의 로울러(51)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수단이다.
수분제거수단(50)에 의해 완전히 수분이 제거되고 잘게 분쇄된 야채쓰레기는 더욱 완벽한 수분제거를 위해 이송스크류에 의해 외부의 탈수기로 이송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4) 등의 투입장치에 의해 야채쓰레기를 호퍼(11)에 투입하면 몸체(10) 내부에 공급된 야채쓰레기는 일정시간으로 왕복운동하는 압축이송수단(20)의 피스톤(21)에 의해 분쇄수단(30)으로 압축이송된다.
이때 대부분의 수분이 제거되어 수분배출공(13)을 통해 배출되고 야채쓰레기는 압축이 이루어지되 피스톤(21)의 압축력에 비해 분쇄수단(30)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레듀셔부(12)에 의해 압축공간이 좁아지므로 압축력이 배가되어 단단하게 압축된다.
압축된 야채쓰레기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야채쓰레기에 의해 분쇄수단(30)으로 점점 밀리게 된다.
이때 동력전달수단(40)에 의해 회전축(44)이 회전하고 회전축(44)에 고정설치된 1,2,3차커터(36)(37)(38)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야채쓰레기는 1차적으로 1차커터(36)로 분쇄되고 순차적으로 2,3차 커터(37)(38)에 의해 잘게 분쇄된다.
순차적으로 분쇄된 야채쓰레기는 각기 고정커터(33) 사이의 배출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일반적인 야채쓰레기 이외의 노끈이나 양파망, 테이프의 경우에는 본 고안에서는 1차커터(36)의 산형 절단돌기(36-3)에 의해 찍어 눌리면서 갈기길기 찢어지듯 절단되고 절단날(36-2)과 고정커터판(31)의 고정커터(33)에 의해 2차분쇄가 이루어 진다.
1차 커터(36)에 의해 분쇄된 야채쓰레기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차커터(37)(38)에 의해 2,3차 분쇄가 이루지되 2,3차커터(37)(38)는 1차절단부(37-3)로 1차분쇄한 후 2차절단부(37-4)가 고정커터판(31)(31a)(31b)의 고정커터(33)와 2차분쇄하는 것으로 이중분쇄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완벽한 분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잘게 분쇄된 야채쓰레기는 호퍼(3)를 통해 수분제거수단(50)의 로울러(51)사이에 투입되어 잔여수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압축 및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압축이송수단에 의해 야채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대부분 제거되고 다수의 커터로 형성된 강력한 분쇄수단에 의해 야채쓰레기 및 이물질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한 분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한몸체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수분이 거의 제거되고 입자가 미세하게 분쇄되므로 부피 및 무게가 작아져 운송효율이 높아지며 소각하거나 퇴비화 하기가 수월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사각체 프레임(1)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호퍼(11)로 공급되는 야채쓰레기에 압축력을 배가하는 레듀셔부(12)가 형성되며 외주에 다수의 수분배출공(13)이 천공된 원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레듀셔부(12) 타측에 형성되고 몸체(10) 내부에 공급되는 야채쓰레기를 분쇄수단(30)으로 압축이송시키는 압축이송수단(20)과,
    상기 압축이송수단(20)으로 이송된 야채쓰레기를 잘게 분쇄시키는 분쇄수단(30)과,
    상기 분쇄수단(30)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40)과,
    상기 분쇄수단(30)으로 분쇄된 야채쓰레기의 잔여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수단(50)과,
    상기 몸체(10) 하부에 설치되어 수분배출공(13)으로 배출된 수분을 포집하는 수분포집구(6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압축이송수단(20)은 몸체(10) 내부에서 좌,우 반복이송하며 야채쓰레기를 분쇄수단(30)으로 압축이송시키는 피스톤(21)과, 상기 몸체(10) 일측선단에 설치되어 피스톤(21)을 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22)와,
    상기 피스톤(21)의 좌,우 이송량을 제어하는 이송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분쇄수단(30)은 몸체(10)의 플랜지부(14)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끼움공(32)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고정커터(33)가 형성되며 끼움공(32)에 동력전달수단(40)의 회전축(44)이 끼워지는 고정커터판(31)(31a)(31b)과,
    상기 고정커터판(31)(31a)의 삽입부(34)에 끼워지는 외통(35)과,
    상기 고정커터판(31)의 내측 회전축(44)에 고정설치되고 지지부(36-1)의 양측에 엇갈리게 절단날(36-2)이 형성되며 절단날(36-2)의 일측면에 산형의 절단돌기(36-3)가 형성된 1차커터(36)와,
    상기 고정커터판(31)(31a)(31b)의 사이사이 회전축(44)에 고정설치되고 지지부(37-1)의 양측에 엇갈리게단면형의 절단날(37-2)이 형성된 2차, 3차커터(37)(38)와,
    상기 고정커터판(31)(31a)(31b)을 관통하여 플랜지부(14)에 고정시키는 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KR2019990013894U 1999-07-14 1999-07-14 야채쓰레기처리장치 KR2001647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8378A KR100309176B1 (ko) 1999-07-14 1999-07-14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378A Division KR100309176B1 (ko) 1999-07-14 1999-07-14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717Y1 true KR200164717Y1 (ko) 2000-02-15

Family

ID=196015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894U KR200164717Y1 (ko) 1999-07-14 1999-07-14 야채쓰레기처리장치
KR1019990028378A KR100309176B1 (ko) 1999-07-14 1999-07-14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8378A KR100309176B1 (ko) 1999-07-14 1999-07-14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647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9786A (zh) * 2016-07-30 2017-01-04 合肥白云环卫设备有限公司 一种小型垃圾压缩机的垃圾处理方法
KR101864848B1 (ko) * 2016-11-21 2018-07-06 공병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730A (ja) * 1996-04-10 1997-10-28 Hitachi Ltd 生ごみ処理装置
KR19980026600U (ko) * 1996-11-07 1998-08-05 공종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937921B2 (ja) * 1997-01-20 1999-08-23 関電興業株式会社 貝類減容装置
KR19990086396A (ko) * 1998-05-22 1999-12-15 차건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4523Y1 (ko) * 1998-10-01 2001-12-17 김대수 음식물쓰레기감량처리장치
KR200239834Y1 (ko) * 1998-11-13 2001-09-25 이형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66542Y1 (ko) * 1999-08-04 2000-02-15 김창기 채소 쓰레기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791A (ko) 2001-02-05
KR100309176B1 (ko) 200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0799A (en) Apparatus for making organic fertilizer
KR20010091740A (ko) 음식물 쓰레기의 자동처리 및 사료제조장치
US5558281A (en) Recycling and solid material conversion apparatus
KR101940451B1 (ko)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KR200164717Y1 (ko) 야채쓰레기처리장치
KR20043268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16871B1 (ko)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KR19990024209A (ko) 야채 쓰레기 압축기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017257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S63258656A (ja) 厨芥処理装置
KR200255569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676645B1 (ko)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및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01002751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910463B1 (ko)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류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방법
KR950005063Y1 (ko) 농산폐기물의 가공처리 장치
KR100266894B1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10464B1 (ko)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류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20020035682A (ko) 음식물쓰레기 사료화 시스템
JPH10180129A (ja) 破砕装置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19990001561A (ko)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20030021417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9980064869A (ko) 야채쓰레기 탈수장치
KR100301934B1 (ko) 음식쓰레기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