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076Y1 - 소음 저감용 캐링채널 - Google Patents

소음 저감용 캐링채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076Y1
KR200163076Y1 KR2019970040753U KR19970040753U KR200163076Y1 KR 200163076 Y1 KR200163076 Y1 KR 200163076Y1 KR 2019970040753 U KR2019970040753 U KR 2019970040753U KR 19970040753 U KR19970040753 U KR 19970040753U KR 200163076 Y1 KR200163076 Y1 KR 200163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lab
channel
ceiling material
carrying channel
nois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128U (ko
Inventor
송창원
허장현
Original Assignee
홍상복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복,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홍상복
Priority to KR2019970040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076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0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 E04B9/067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supporting beams having a folded cross-section with inverted T-shap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이스트와 데크플레이트로서 바닥슬라브를 구성하는 경량철골조건물의 바닥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해 위층 바닥슬라브의 조이스트와 천정부재사이에 장착되어 층간소음을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요철부를 형성한 경량형강부재의 자체적인 진동감쇄현상을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소음저감용 캐링채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철골조물인 바닥슬라브(110)의 하부측에 천정재(1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슬라브(110)에 연결된 달대(120)와 천정재(140)의 퍼링채널(141)사이에 장착되는 캐링채널에 있어서, 수평한 상부면인 웨브(10)의 양단으로 부터 하부내측으로 오므림 절곡한 다음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요철부(30)를 형성하도록 하부외측으로 벌림 절곡한 플랜지(20)를 갖는 단면구조로 일정길이 신장되는 형강부재(2)를 갖추고, 상기 퍼링채널(141)과 접하는 플랜지(20)의 단부에는 탭핑나사를 체결할수 있도록 체결편(22)을 연장형성하며, 상기 요철부(30)의 중심경계선에는 장공(31)을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천공형성한 소음저감용 캐링채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음저감용 캐링채널
본 고안은 조이스트와 데크플레이트로서 바닥슬라브를 구성하는 경량철골조건물의 바닥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해 위층 바닥슬라브의 조이스트와 천정부재사이에 장착되어 층간소음을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요철부를 형성한 경량형강부재의 자체적인 진동감쇄현상을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소음저감용 캐링채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틸하우스(Steel House)는 주요 구조부재의 소재로 아연도금된 냉연강판을 사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주택으로서 이러한 스틸하우스는 일본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철강재 공업화주택(철골조립식 주택)과 달리, 골조부재로 판두께 1 ㎜ 전후의 냉연강판을 사용하며, 볼트나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 탭핑나사(Tapping Screws)로서 골조부재를 접합한다는 점에서 철골조라기 보다는 못을 사용하는 목조에 가까운 공법이라 할수 있기 때문에, 목조주택에 사용되는 구조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으며, 미국 및 호주를 중심으로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틸하우스의 특징은 첫째, 내진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경량이면서 견고한 내진주택이라는 점이다. 즉, 스틸하우스가 자동차용 소재로 사용되는 냉연강판을 골조부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지진 및 태풍에 강할 뿐만 아니라, 내식성,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다. 둘째로는 설계의 자유도가 매우 크다는 점이다. 즉, 설계변경이 쉽고, 유연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개조 및 개축이 용이하다. 셋째로는 시공이 우수하고, 특수한 장비가 불필요하다는 점이다. 즉, 조립에 있어서 모두 탭핑나사와 전동공구를 사용하므로 건설현장에서의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시공이 가능하고, 동일한 치수의 목재보다 가볍고 강하기 때문에 골조의 간격을 넓힐수 있다. 넷째로는 철은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보호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점이다. 즉, 귀중한 산림자원인 목재는 사람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한정시키고, 구조재로는 모두 재활용이 가능한 냉연강판을 사용하고 있음으로 환경보호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스틸하우스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이스트와 데크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철골조구조물인 바닥슬라브(110)의 하부면인 천정부를 깨끗이 마감하도록 석고보드로 이루어진 천정재(140)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러한 천정재(140)는 상,하층간을 구분하는 상기 바닥슬라브(110)에 상단이 연결되는 달대(120)와, 그 하단에 장착되는 연결구(121)와, 상기 연결구(121)에 올려지는 캐링채널(130)과 탭핑나사로 연결되고, 상기 천정재(140)의 상부면에 조립되는 퍼링채널(141)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즉, 골조부재인 조이스트나 데크플레이트로 구성된 철골구조물인 바닥슬라브(110)에는 상기 달대(120)의 상단을 연결고정하고, 상기 달대(120)의 하단에 장착되는 연결구(121)의 안쪽홈에는 'ㄷ'자형 단면구조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진 캐링채널(130)을 올려 놓은 다음, 설치하고자 하는 상기 천정재(140)의 상부면에 일체로 장착된 복수개의 퍼링채널(141) 상부면과 교차되면서 접하는 상기 캐링채널(130)의 플랜지(131)부위에 탭핑나사(미도시)를 각각 체결함으로서, 중량물인 천정재(140)가 바닥슬라브(110)의 달대(120)에 연결조립되는 설치구조로 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철골조구조물인 상기 바닥슬라브(110)에 외부충격이 가해져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천정재(140)가 상기 바닥슬라브(110)와 달대(120), 캐링채널(130) 및 퍼링채널(141) 등을 매개체로 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설치구조로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바닥진동음이 그대로 상기 천정재(140)로 전달되면서 스틸하우스의 주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천정재의 퍼링채널과 조립되어 달대에 연결되는 형강부재를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요철형강으로 구성함으로서 바닥슬라브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천정재로 전달되기전에 감쇄되어 스틸하우스에서의 소음발생을 줄일 수있도록 개선한 소음저감용 캐링채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채링채널을 이용하여 천정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 한 조립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음저감용 캐링채널을 이용하여 천정재를 설치한 상 태를 도시한 조립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음저감용 캐링채널을 도시한 외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캐링채널 2 ..... 형강부재
10 ..... 웨브 20 ..... 플랜지
22 ..... 체결편 30 ..... 요철부
31 ..... 장공 110 .... 바닥슬라브
120 .... 달대 121 .... 연결구
140 .... 천정재 141 .... 퍼링채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골조물인 바닥슬라브의 하부측에 천정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슬라브에 연결된 달대와 천정재의 퍼링채널사이에 장착되는 캐링채널에 있어서, 수평한 상부면인 웨브의 양단으로 부터 하부내측으로 오므림 절곡한 다음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요철부를 형성하도록 하부외측으로 벌림 절곡한 플랜지를 갖는 단면구조로 일정길이 신장되는 형강부재를 갖추고, 상기 퍼링채널과 접하는 플랜지의 단부에는 탭핑나사를 체결할수 있도록 체결편을 연장형성하며, 상기 요철부의 중심경계선에는 장공을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천공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캐링채널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음저감용 캐링채널을 이용하여 천정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조립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음저감용 캐링채널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음저감용 캐링채널(1)은 도 2 와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천정재(140)에 장착된 퍼링채널(141)과 바닥슬라브(110)에 상단이 고정되는 달대(120)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천정재(140)가 철골조물인 바닥슬라브(11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진동발생시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진동을 감쇄시키는 댐핑(Damping)역활을 발휘함으로서 스틸하우스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퍼링채널(141)과 마찬가지로 일정길이로 신장형성되는 캐링채널(1)은 수평한 중앙상부면을 이루는 웨브(10)와, 그 양단으로 부터 연장되는 플랜지(20)를 갖추어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신장되는 형강부재(1a)로 갖추어지는바, 이러한 웨브(10)의 양단으로 부터 하부내측으로 오므림 절곡되는 플랜지(20)는 진동전달시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진동을 감쇄하는 요철부(30)를 형성하도록 하부외측으로 다시 벌림 절곡되며, 좌,우양측 플랜지(20)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요철부(30)의 중심경계선에는 상기 바닥슬라브(110)에서 발생된 진동이 전달될 때 수직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보다 양호하게 발생하여 진동을 감쇄하는 댐핑(Damping)역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장공(31)을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천공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천정재(140)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퍼링채널(141)과 접하는 플랜지(20)의 양단부에는 탭핑나사를 체결하여 일체로 연결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다소 연장되어 상기 웨브(10), 플랜지(20)와 더불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체결편(22)을 각각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조를 갖는 캐링채널을 이용하여 마감재인 천정재(140)를 바닥슬라브(110)의 하부측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와 마찬가지로 조이스트와 데트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철골조물인 바닥슬라브(110)에 상단이 연결되도록 달대(120)를 수직하게 설치한 다음, 상기 달대(120)의 하단에는 연결구(121)를 갖추고, 상기 연결부(121)의 안쪽홈에는 수평한 웨브(10)를 갖는 형강부재(2)의 플랜지(20) 중간에 요철부(30)를 형성하고, 일정길이 신장형성된 캐링채널(1)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설치하고자 하는 천정재(140)의 상부면에 다수열로 장착된 퍼링채널(141)과 상기 달대(120)의 연결구(121)에 안착되어 서로 교차되는 상기 캐링채널(1)의 체결편(22)에 탭핑나사를 체결하여 마감재인 상기 천정재(140)를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닥슬라브(110)의 하부측에 설치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철골조구조물인 상기 바닥슬라브(110)에 외부충격이 가해져 진동이 발생되면, 그 발생진동은 상기 달대(120), 연결구(121), 캐링채널(1) 및 퍼링채널(141)을 차례로 거쳐 상기 천정재(140)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천정재(140)의 퍼링채널(141)과 일체로 연결구성된 상기 캐링채널(1)이 플랜지(20) 중간부에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요철부(30)를 형성한 형강부재로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상층부인 상기 바닥슬라브(110)에서 발생되어 상기 달대(120)를 거쳐 하층부의 천정재(140)로 전달되는 진동은 하부내측으로 경사지게 오므려지도록 굴곡된 다음, 하부외측으로 경사지게 벌어지도록 굴곡형성된 상기 캐링채널(1)의 요철부(30)를 통과하면서 발생진동폭이 자연적으로 크게 감쇄되어 상기 바닥슬라브(110)의 진동이 그대로 상기 천정재(140)측으로 직접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바닥슬라브(110)에서 발생된 진동이 달대(120)를 거쳐 캐링채널(1)의 요철부(30)에 전달되면, 상기 요철부(30)의 구조상 발생진동에 의해 상기 연결구(121)와 퍼링채널(141)사이에서 진동을 역으로 감쇄시키는 댐핑역활을 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함으로서 상기 천정재(140)까지 전달되는 진동을 현저히 줄이거나 전달되지 않도록 할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철골조구조물인 바닥슬라브(110)에 연결된 달대(120)와 천정재(140)의 퍼링채널(141)사이에 요철부(30)를 갖는 탄성재질의 캐링채널(1)을 설치함으로서, 달대(120)를 거쳐 전달되는 진동이 요철부(30)를 통과할 때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발생진동을 감쇄시키기 때문에, 천정재(140)가 바닥슬라브(110)의 진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줄여 스틸하우스의 주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철골조물인 바닥슬라브(110)의 하부측에 천정재(1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슬라브(110)에 연결된 달대(120)와 천정재(140)의 퍼링채널(141)사이에 장착되는 캐링채널에 있어서, 수평한 상부면인 웨브(10)의 양단으로 부터 하부내측으로 오므림 절곡한 다음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요철부(30)를 형성하도록 하부외측으로 벌림 절곡한 플랜지(20)를 갖는 단면구조로 일정길이 신장되는 형강부재(2)를 갖추고, 상기 퍼링채널(141)과 접하는 플랜지(20)의 단부에는 탭핑나사를 체결할수 있도록 체결편(22)을 연장형성하며, 상기 요철부(30)의 중심경계선에는 장공(31)을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천공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용 캐링채널.
KR2019970040753U 1997-12-26 1997-12-26 소음 저감용 캐링채널 KR200163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753U KR200163076Y1 (ko) 1997-12-26 1997-12-26 소음 저감용 캐링채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753U KR200163076Y1 (ko) 1997-12-26 1997-12-26 소음 저감용 캐링채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128U KR19990028128U (ko) 1999-07-15
KR200163076Y1 true KR200163076Y1 (ko) 1999-12-15

Family

ID=1951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753U KR200163076Y1 (ko) 1997-12-26 1997-12-26 소음 저감용 캐링채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0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90B1 (ko) 2005-11-17 2007-04-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음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20190109815A (ko) 2018-03-19 2019-09-27 황병길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90B1 (ko) 2005-11-17 2007-04-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차음 기능을 갖는 바닥 시스템
KR20190109815A (ko) 2018-03-19 2019-09-27 황병길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128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6596C2 (ru) 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9990053902A (ko) 스틸하우스의 바닥슬라브 제진구조
CA2143778A1 (en) Buildings method of construction
CA2224400C (en) Wood wall structure
KR200163076Y1 (ko) 소음 저감용 캐링채널
JPH10311110A (ja) 建築物の接合構造
KR0154107B1 (ko) 건축물의 마루구조
KR20190048037A (ko) 복합패널유닛 및, 복합패널구조체
JPH11166293A (ja) 合成梁
JP7235192B2 (ja) 天井面材の支持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JP3227330B2 (ja) 防音二重床の設置方法
JP2008127942A (ja) 建築物における床支持構造
RU107204U1 (ru) Перекрытие для деревянного здания (варианты)
JPH04101411U (ja) 防振床パネル
US11939778B2 (en) Sound transmission control in cross laminated timber construction
KR200163074Y1 (ko) 건식 벽체의 상부트랙 보강구조
RU67600U1 (ru) Звукоизолированное межэтажное перекрытие
JP6453384B2 (ja) 遮音床構造
KR100892006B1 (ko) 스틸 하우스의 벽 패널 상부 보강 구조
JP2543586B2 (ja) 床 板
JP6715702B2 (ja) 乾式床構造
JPH0565669B2 (ko)
EP0104629A1 (en) Combined construction plate
JPH09177222A (ja) 建築物の床構造
JP4121303B2 (ja) 床構造及び床構造に用いる幅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