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815A -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 - Google Patents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815A
KR20190109815A KR1020180031334A KR20180031334A KR20190109815A KR 20190109815 A KR20190109815 A KR 20190109815A KR 1020180031334 A KR1020180031334 A KR 1020180031334A KR 20180031334 A KR20180031334 A KR 20180031334A KR 20190109815 A KR20190109815 A KR 2019010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soundproof
laminate
adhesive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464B1 (ko
Inventor
황병길
Original Assignee
황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길 filed Critical 황병길
Priority to KR102018003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46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6Protection against smoke or toxic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ovable parts, e.g. pivoting panels, acces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 E04B2001/8281Flat elements mounted parallel to a supporting surface with an acoustically active air ga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mount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Abstract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은 한 쌍의 차음판재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한 쌍의 차음판재가 일체로 결합된 2겹의 제1차음적층판을 제조하고, 슬래브의 하면에 황토적착제를 바른 후 상기 제1차음적층판을 상기 슬래브의 하면에 부착시공하는 단계; 제1차음적층판에 이격되도록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불연성 천장재를 시공하는 단계; 한 쌍의 차음판재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한 쌍의 차음판재가 일체로 결합된 2겹의 제2차음적층판을 제조하고, 콘크리트 벽체에 황토접착제를 바른 후 상기 제2차음적층판을 상기 콘크리트 벽에 부착시공하는 단계; 상기 제2차음적층판에 이격되도록 스터드를 설치하고, 상기 스터드에 측벽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천장재에 복수의 연기배출공을 타공한 후, 상기 복수의 연기배출공 각각에 제1개폐도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벽을 타공하여 상기 제1차음적층판과 상기 천장재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배기구를 형성하고, 이 배기구에 블로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Construction method of multi-story building for the Reducing of Noises between stairs and Noises between walls and fire smoke emission And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ed by this same}
본 발명은 아파트, 다중시설 같은 시멘트/콘크리트로 된 다층건물의 실내 마감시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천장의 에어포켓층을 이용하여 층간소음 차단과 측벽의 마감시 에어포켓 층을 형성하여 벽간소음을 차단하고, 화재발생시 천장의 에어포켓층을 이용하여 연기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에 관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라, 빌딩 등의 공동주택과 같은 다층건물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시멘트/콘크리트가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소음이 차단되지 않아 층간소음, 벽간 소음에 의한 심각한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 등의 다층건물에서의 층간소음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통해서 발생하는 불쾌한 소리로 중량 충격음과 경량충격음이 있으며, 불쾌소음의 95%정도는 중량충격음이고, 5%정도는 경량충격음에 해당한다고 한다.
이러한 다층건물에서의 층간소음 및, 벽간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바닥시공, 천정시공, 측벽 시공에 있어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층간소음을 완벽히 줄이지 못하기 때문에, 이웃 간에 분쟁이 많아 보다 획기적인 형태의 층간, 벽간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시공방법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아파트, 영화관, 상가, 병원, 교회, 체육관 등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다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발생에 따른 그을음, 유독가스가 너무나 빨리 온 건물에 퍼져 건물 내부에 연기가 빠르게 차오르기 때문에, 조그만 화재에도 소방관 등과 같은 화재 진압인들의 진입이 어려워 초기 화재진압이 어렵고, 이에 따라 건물 내부의 연기나 유독가스에 의해 질식사하는 사람이 많이 발생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1244461호 등록특허 10-1828708호 등록실용신안 20-016307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그린 글루, Green Glue)를 이용해 2겹으로 적층결합된 차음적층판을 각각 황토접착제로 콘크리트 슬래브 하면과 콘크리트 벽에 부착설치하고, 이 차음적층판과 이격되게 천장재와 측벽마감재를 시공하여, 차음적층판과 천장재 사이, 그리고 차음적층판과 측벽마감재 사이에 각각 에어포켓층이 형성되도록 시공함으로써, 층간 및 벽간 소음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고, 아울러, 천장의 에어포켓층을 이용해 건물 내의 화재연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시공함으로써 화재연기에 따른 대형 인명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은 한 쌍의 차음판재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한 쌍의 차음판재가 일체로 결합된 2겹의 제1차음적층판을 제조하고, 슬래브의 하면에 황토적착제를 바른 후 상기 제1차음적층판을 상기 슬래브의 하면에 부착시공하는 단계; 제1차음적층판에 이격되도록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불연성 천장재를 시공하는 단계; 한 쌍의 차음판재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한 쌍의 차음판재가 일체로 결합된 2겹의 제2차음적층판을 제조하고, 콘크리트 벽체에 황토접착제를 바른 후 상기 제2차음적층판을 상기 콘크리트 벽에 부착시공하는 단계; 상기 제2차음적층판에 이격되도록 스터드를 설치하고, 상기 스터드에 측벽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천장재에 복수의 연기배출공을 타공한 후, 상기 복수의 연기배출공 각각에 제1개폐도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벽을 타공하여 상기 제1차음적층판과 상기 천장재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배기구를 형성하고, 이 배기구에 블로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는 그린글루(green glu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은 슬래브의 하면에 도포된 제1황토접착제층; 상기 제1황토접착층에 부착되며, 한 쌍의 제1차음판재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가 도포되어져 상기 한 쌍의 제1차음판재가 일체로 서로 겹쳐진 형태로 결합되어진 제1차음적층판; 상기 제1차음적층판에 대해 하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연기배출공이 타공형성된 불연성의 천장재; 상기 천장재와 상기 제1차음적층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1에어포켓층; 힌지 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기배출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천장재에 설치되는 제1개폐도어; 상기 제1에어포켓층과 연결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벽에 관통형성된 배기구; 상기 배기구 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건물내부의 연기가 상기 연기배출공을 통해 상기 제1에어포켓층으로 유입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블로워; 콘크리트 벽 내측면에 도포된 제2황토접착제층; 상기 제2황토접착층에 부착되며, 한 쌍의 제2차음판재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가 도포되어져 상기 한 쌍의 제2차음판재가 일체로 서로 겹쳐진 형태로 결합된 제2차음적층판; 상기 제2차음적층판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에 고정설치되는 측벽 마감재; 상기 제2차음적층판과 상기 측벽마감재 사이에 형성된 제2에어포켓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는 그린글루(green glue)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도어는 상기 블로워가 구동하여 상기 건물내부의 연기가 상기 제1에어포켓층으로 유동하는 기류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어 상기 연기배출공을 개방시키고, 상기 블로워의 정지시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동하여 상기 연기배출공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그린 글루, Green Glue)를 이용해 2겹으로 적층결합된 차음적층판을 각각 황토접착제로 콘크리트 슬래브 하면과 콘크리트 벽에 부착설치하고, 이 차음적층판과 이격되게 천장재와 측벽마감재를 시공하여, 차음적층판과 천장재 사이, 그리고 차음적층판과 측벽마감재 사이에 각각 에어포켓층이 형성되도록 시공한 것으로서, 황토접착제, 차음재판-그린글루-차음재판으로 구성된 차음적층판에 의해 발생소음의 95% 이상의 소음전달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차음적층판을 통과한 나머지 소음은 에어포켓층의 공간에서 완전히 소음이 사라져 층간, 벽간소음을 확실히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천장재에 연기배출공을 타공하고, 콘크리트 벽에 에어포켓층과 연결되는 배기구를 타공한 후, 이 배기구에 블로워를 설치함으로써, 화재시 블로워의 작동에 따라, 건물 내부의 화재연기가 에어포켓층을 통해 건물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화재진압인의 신속한 진입이 가능하게 하고, 피신인들의 연기, 유독가스 흡입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황토접착제의 습기조절, 해독, 향균기능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 건물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병리적인 피해를 근원적으로 방지하여 친환경적인 실내를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공동주택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공동주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이며,
도 3은 도 2에서 지지프레임, 천장재의 설치구조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공동주택의 시공방법에 의한 공동주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진동저감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진동저감패드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과 같은 다층건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다층건물의 시공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슬래브와 콘크리트 벽에 기존과는 다른 시공법에 의해 천장과 측벽에 공간(에어포켓층)을 형성하도록 시공하는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이다.
본 발명은 시공방법은 각 층의 슬라브(s)와 벽(w)에 시공되는 것으로, 도 2에서는 다층건물에서 한개층에 대해서만 본 발명의 시공방법이 적용된 시공구조만이 개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층마다 도 2에 도시된 시공형태가 적용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석고보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차음판재(12,16)를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14)를 이용해 서로 접착시켜 2겹의 제1차음판재(12,16)가 일체화된 제1차음적층판(11)을 제작하고, 슬래브(s)의 하면에 황토접착제(17)를 도포한 후, 황토접착제(17)에 제1차음적층판(11)을 부착한다(s10).
제1차음적층판(11)은 하나의 제1차음판재(12)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14)을 전체면적에 바른 후, 나머지 제1차음판재(16)를 겹쳐지도록 붙여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14)는 시판되고 있는 그린글루(Green Glue)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그린글루는 접착성이 있어 한 쌍의 제1차음판재(12,16)를 접착하여 제1차음적층판(11)을 결합하는 기능뿐 아니라, 제1차음적층판(11)이 슬래브(s1)의 하면에 부착시공된 상태에서, 윗층의 소음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음력이 강화되게 된다.
한편,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14)에 천연향 성분을 첨가하여 천연향 성분이 첨가된 접착제(14)를 이용해 제1차음적층판(11)을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제1차음판재(12,16)는 석고보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음, 흡음성능이 있는 여타의 판재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황토접착제(17)는 황토성분이 포함된 접착제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과 같이, 지지프레임(22,24)을 격자형태가 되도록 콘크리트 벽(w)을 포함하는 건물벽체에 고정설치하되, 지지프레임(22,24)이 제1차음적층판(11)의 하부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한 다음, 지지프레임(22,24)에 불연성(난연성) 천장재(26)를 시공한다(s20).
이렇게 불연성 천장재(26)를 지지프레임(22,24)에 결합 시공하게 되면, 불연성 천장재(26)와 제1차음적층판(11) 사이에 제1에어포켓층(c1)이 형성되게 된다. 윗층 슬래브로부터 생성된 소음은 황토접착제(17), 제1차음재판(12), 그린글루(14) , 나머지 제1차음재판(16)을 거치면서 거의 전부가 소멸되게 되며, 잔여 소음음은 제1에어포켓층(c1)으로 완전히 없어지게 됨으로써, 윗층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아랫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 불연성(난연성) 천장재(26)는 석고보드로 구성될 수 있고, 불연성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의 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금속재질 또는 석판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
다음으로, 석고보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차음판재(41,42)를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43)를 이용해 서로 접착시켜 2겹의 제1차음판재(12,16)가 일체화된 제2차음적층판(40)을 제작하고, 콘크리트 벽(w)의 내측면에 황토접착제(45)를 도포한 후, 황토접착제(45)에 제2차음적층판(40)을 부착한다(s30).
본 발명에서 상기 점탄성 접착제(43)로 그린글루(green glue)가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제2차음판재(41,42)도 석고보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타의 차음성능이 있는 판재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차음적층판(40)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스터드(47)를 설치하고, 이 스터드(47)에 측벽 마감재(48)를 시공할 수 있다(s40).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 예로서, 콘크리트 바닥면과 천장재(26)에 각각 러너를 설치하고, 이 러너에 스터드(47)를 복수개 좌우 소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세워서 설치하고, 이 스터드(47)에 측벽마감재(26)를 나사등의 체결부재로 고정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측벽마감재(26)는 석고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판재, 금속판재, 석판 등 여타의 마감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제2차음적층판(40)에 이격되게 측벽마감재(48)를 시공함으로써, 측벽마감재(48)와 제2차음적층판(40) 사이에 제2에어포켓층(c2)이 형성되게 되며, 이 제2에어포켓층(c2)으로 인해, 건물의 벽간 소음 전달을 차단해 주게 된다.
다음으로, 타공장비를 이용해 천장재(26)를 천공하여 복수의 연기배출공(28)을 형성한 후, 연기배출공(28)을 개폐하기 위한 힌지타입의 제1개폐도어(30)를 천장재(26)의 상면에 설치한다(s60). 도 2와 같이, 제1개폐도어(30)는 힌지(h1)에 의해 상하 힌지회전하여, 각각의 연기배출공(28)을 개방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벽(w)을 타공하여 배기구(32)를 형성하되, 해당 층에 대해 상부쪽 벽(w)을 타공하여, 배기구(32)가 제1에어포켓층(c1)과 연결되도록 하며, 이렇게 배기구(32)를 형성시킨 후에는 배기구(32)에 블로워(34)를 설치한다(s60).
블러워(34)의 구동시 제1에어포켓층(c1)으로부터 배기구(32)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를 형성되고, 이러한 기류에 의해, 제1에어포켓층(c1)에 음압이 발생되어 제1개폐도어(30)가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상부로 힌지회전해 연기배출공(28)이 개방됨으로써, 건물 내부공간(R)의 공기가 연기배출공(28), 제1에어포켓층(c1) 및 배기구(3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블로워(34)의 정지시에는 제1개폐도어(3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힌지회전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연기배출공(28)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로워(34)는 건물 관리실에 설치된 스위치(미도시)와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관리원이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블로워(34)가 온/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리원은 화재 시, 즉시 스위치를 조작해 블로워(34)를 동작시킴으로, 건물내부 공간(R)의 화재연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화재연기 및 유독가스 흡입에 의한 인명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s20단계 이후에 측벽시공에 관한 s30단계와 s40 단계가 수행된 후, s50단계와 s60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20단계 이후에, s50단계와, s60단계의 시공을 한 다음에, s30단계와 s40단계가 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은 슬래브(s)의 저면에 황토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제1황토접착제층(17)과, 제1황토접착층(17)에 부착되며, 한 쌍의 제1차음판재(12,16)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14)가 도포되어져 한 쌍의 제1차음판재(12,16)가 일체로 서로 겹쳐진 형태로 결합되며, 복수의 연기배출공(28)이 형성된 제1차음적층판(11)과, 상단이 슬래브(s)에 정착되어, 제1차음적층판(11)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천장달대(20)와, 천장달대(20)의 하단에 시공되는 불연성의 천장재(26)와, 천장재(20)와 제1차음적층판(11) 사이에 형성되는 제1에어포켓층(c1)과, 힌지 개폐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연기배출공(28)을 개폐하도록 제1차음적층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개폐도어(30)와, 제1에어포켓층(c1)과 연결되도록 콘크리트 벽(w)에 관통형성된 배기구(32)와, 배기구(32) 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건물내부의 연기가 연기배출공(28)을 통해 제1에어포켓층(c1)으로 유입되어 배기구(32)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블로워(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층건물은 윗층에서 발생된 소음이 제1에어포켕층(c1)에 의해 현저히 감소될 뿐 아니라, 제1황토접착제층(17), 한 쌍의 제1차음판재(12,16)와 특수 점탄성 접착제(14, 그린글루)에 의해 소음이 저감되고 에어포켓층에서 소멸됨으로 층간소음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층건물은 화재시 블로워(34)가 구동하게 되면 제1개폐도어(30)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건물 내부공간(R)의 연기가 개방된 제1개폐도어(30), 제1에어포켓층(c1)을 거쳐 배기구(32)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게 됨으로써, 화재연기 흡입으로 인한 사상자를 감소하게하며, 화재 진압인이 진입하지 못하는 사태가 방지되어 대형 화재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본 발명의 다층건물은 콘크리트 벽(w) 내측면에 황토접착제가 도포되어져 형성된 제2황토접착제층(45)과, 제2황토접착층(45)에 부착되며 한 쌍의 제2차음판재(41,42)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43)가 도포되어져 한 쌍의 제2차음판재(41,42)가 일체로 서로 겹쳐진 형태로 결합된 제2차음적층판(40)과, 제2차음적층판(4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스터드(47)와, 스터드(47)에 고정설치되는 측벽 마감재(48)와, 제2차음적층판(11)과 측벽마감재(48) 사이에 형성된 제2에어포켓층(c2)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은 건물 내부공간(R)에서 발생된 소음이 제2에어포켓층(c2)에 의해 건물 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2토접착제층(45), 한 쌍의 제2차음판재(41,42)와 접착제(43, 그린글루)에 의해 소음이 외측방으로 퍼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해주어, 확실한 소음차단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비나 눈이 배기구(32)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개폐도어(30)와 동일한 형태의 제2개폐도어(36)를 배기구(32)의 외측단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개폐도어(36)는 블로워(32)의 구동에 따른 송풍에 의해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회전하여 배기구(32)를 개방할 수 있고, 블로워(32)의 정지시,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배기구(32)를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진동저감패드(50)가 더 시공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시공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의 s10 단계 후에, 제1차음적층판(11)의 하면에 진동저감패드(50)를 시공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진동저감패드(50)를 시공한 후, 그 이후의 제 1 실시 예만 동일한 s20, s30, s40, s50, s60 단계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s20 단계에서, 천장달대(20)의 상단을 슬래브(s)에 정착시키기 위해 천장달대(20)를 진동저감패드(50), 제1차음적층판(11) 및 황토접착제(17)에 관통시켜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진동저감패드(50)는 소정두께를 갖는 난연성 고무재질의 판재로 이루어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반구형태의 채움홈부(52)가 복수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진동저감패드(50)의 시공은 진동저감패드(50)에 형성된 각각의 채움홈부(52) 내에 톱밥(55)과 고무볼(56)들을 혼합한 진동흡수재(54)를 채운 후, 진동저감패드(50)를 그린글루(green glue)와 같이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를 이용해 제1차음적층판(11)의 하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무볼(56)은 직경이 1cm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진동흡수재(54)는 톱밥(55)과 고무볼(56)이 대략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직경과 높이로 이루어져 동일한 용량을 갖는 두 개량용기에 각각 톱밥(55)과 고무볼(56)을 동일한 높이만큼 채운 후, 두 개량용기에 각각 채운 톱밥(55)과 고무볼(56)을 하나의 다른 용기에 쏟아 섞어줌으로써 진동흡수재(54)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무볼(56)은 난연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공에 따라, 본 발명의 공동주택은 도 4와 같이, 제1차음적층판(11)의 하면에 진동저감패드(50)가 부착되고, 이 진동저감패드(50)의 채움홈부(52)내의 소정높이까지 톱밥(55)과 고무볼(56)들을 혼합한 진동흡수재(54)가 채워진 구조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윗층에서 발생된 소음 및 진동은 제1에어포켓층(c1), 그린글루로 이루어진 접착제(14), 황토접착제(17), 한 쌍의 제1차음판재(12,16)에 의해서 현저히 줄어들 뿐 아니라, 진동이 고무재질의 진동저감패드(50)에 의해 더 감소될 뿐 아니라, 특히, 진동이 반구형의 채움홈부(52) 내측으로 모여 진동흡수재(54)를 거치면서 상쇄되어 소멸되어 버림으로써 진동의 감소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층간소음을 더욱더 줄여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진동흡수재(54)는 채움홈부(52)의 전체깊이(d)에 전부 채워지는 것보다는 채움홈부(52)의 전체깊이(d) 보다 낮은 위치까지만 채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보다는 낮고 1/3 보다는 높은 위치까지 채워지는 것이 좋다. 이는, 채움홈부(52)에 채워진 진동흡수재(54)의 상단과 제1차음적층판(11)의 하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채움홈부(52) 내로 진동의 유입이 잘 이루어지게 하고, 채움홈부(52) 내부로 유입된 진동이 진동흡수재(54)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진동 감소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제1차음적층판
12,16...한 쌍의 제1차음판재
14...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
17...황토접착제
22, 24...지지프레임
26...천장재
28...연기배출공
30...제1개폐도어
c1...제1에어포켓층
32...배기구
34...블로워
36...제2개폐도어
40...제2차음적층판
41,42...제2차음판재
43...접착제
45...황토접착제
47...스터드
48...측벽마감재
c2...제2에어포켓층
50...진동저감패드
52...채움홈부
54...진동흡수재

Claims (5)

  1. 한 쌍의 차음판재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한 쌍의 차음판재가 일체로 결합된 2겹의 제1차음적층판을 제조하고, 슬래브의 하면에 황토적착제를 바른 후 상기 제1차음적층판을 상기 슬래브의 하면에 부착시공하는 단계;
    제1차음적층판에 이격되도록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불연성 천장재를 시공하는 단계;
    한 쌍의 차음판재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한 쌍의 차음판재가 일체로 결합된 2겹의 제2차음적층판을 제조하고, 콘크리트 벽체에 황토접착제를 바른 후 상기 제2차음적층판을 상기 콘크리트 벽에 부착시공하는 단계;
    상기 제2차음적층판에 이격되도록 스터드를 설치하고, 상기 스터드에 측벽마감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천장재에 복수의 연기배출공을 타공한 후, 상기 복수의 연기배출공 각각에 제1개폐도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벽을 타공하여 상기 제1차음적층판과 상기 천장재 사이의 공간과 연결되는 배기구를 형성하고, 이 배기구에 블로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는 그린글루(green glu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3. 슬래브의 하면에 도포된 제1황토접착제층;
    상기 제1황토접착층에 부착되며, 한 쌍의 제1차음판재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가 도포되어져 상기 한 쌍의 제1차음판재가 일체로 서로 겹쳐진 형태로 결합되어진 제1차음적층판;
    상기 제1차음적층판에 대해 하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연기배출공이 타공형성된 불연성의 천장재;
    상기 천장재와 상기 제1차음적층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1에어포켓층;
    힌지 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기배출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천장재에 설치되는 제1개폐도어;
    상기 제1에어포켓층과 연결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벽에 관통형성된 배기구;
    상기 배기구 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건물내부의 연기가 상기 연기배출공을 통해 상기 제1에어포켓층으로 유입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블로워;
    콘크리트 벽 내측면에 도포된 제2황토접착제층;
    상기 제2황토접착층에 부착되며, 한 쌍의 제2차음판재 사이에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가 도포되어져 상기 한 쌍의 제2차음판재가 일체로 서로 겹쳐진 형태로 결합된 제2차음적층판;
    상기 제2차음적층판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스터드;
    상기 스터드에 고정설치되는 측벽 마감재;
    상기 제2차음적층판과 상기 측벽마감재 사이에 형성된 제2에어포켓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및 방진성을 갖는 젤타입의 점탄성 접착제는 그린글루(green glu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도어는 상기 블로워가 구동하여 상기 건물내부의 연기가 상기 제1에어포켓층으로 유동하는 기류에 의해 상부로 회동되어 상기 연기배출공을 개방시키고, 상기 블로워의 정지시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동하여 상기 연기배출공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

KR1020180031334A 2018-03-19 2018-03-19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 KR102098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34A KR102098464B1 (ko) 2018-03-19 2018-03-19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34A KR102098464B1 (ko) 2018-03-19 2018-03-19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15A true KR20190109815A (ko) 2019-09-27
KR102098464B1 KR102098464B1 (ko) 2020-04-07

Family

ID=6809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34A KR102098464B1 (ko) 2018-03-19 2018-03-19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4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7150A (zh) * 2019-11-15 2020-03-17 陆秀权 一种安装便捷的具有防异物功能的新风机
CN112554332A (zh) * 2020-12-10 2021-03-26 上海席得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建筑设计用核心筒
KR20220133052A (ko) 2021-03-24 2022-10-04 ㈜씨이에스 이노베이션 건물의 복수층 벽체와 슬라브의 모르타르 동시 타설이 가능한 건축 시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076Y1 (ko) 1997-12-26 1999-12-15 홍상복 소음 저감용 캐링채널
JP2007505237A (ja) * 2003-09-08 2007-03-08 クワイエット・ソリューション・エルエルシー 音響防音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29436A (ko) * 2005-09-09 2007-03-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의 슬래브 구조물
KR101244461B1 (ko) 2010-12-07 2013-03-18 한국기계연구원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 구조
JP2013257055A (ja) * 2012-06-11 2013-12-26 Four System Co Inc 建築物における換気システム
KR101828708B1 (ko) 2016-09-27 2018-02-13 윤국도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076Y1 (ko) 1997-12-26 1999-12-15 홍상복 소음 저감용 캐링채널
JP2007505237A (ja) * 2003-09-08 2007-03-08 クワイエット・ソリューション・エルエルシー 音響防音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29436A (ko) * 2005-09-09 2007-03-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의 슬래브 구조물
KR101244461B1 (ko) 2010-12-07 2013-03-18 한국기계연구원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 구조
JP2013257055A (ja) * 2012-06-11 2013-12-26 Four System Co Inc 建築物における換気システム
KR101828708B1 (ko) 2016-09-27 2018-02-13 윤국도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7150A (zh) * 2019-11-15 2020-03-17 陆秀权 一种安装便捷的具有防异物功能的新风机
CN110887150B (zh) * 2019-11-15 2021-09-10 佛山市亿佰利风机有限公司 一种安装便捷的具有防异物功能的新风机
CN112554332A (zh) * 2020-12-10 2021-03-26 上海席得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建筑设计用核心筒
KR20220133052A (ko) 2021-03-24 2022-10-04 ㈜씨이에스 이노베이션 건물의 복수층 벽체와 슬라브의 모르타르 동시 타설이 가능한 건축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464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134B2 (en) Gypsum-panel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KR20190109815A (ko) 층간 및 벽간 소음 차단과 화재연기 배출을 위한 다층건물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다층건물
CN206308892U (zh) 环保隔墙板
US20030172600A1 (en) Sound insulating device for buildings
KR100518631B1 (ko) 건축물용 층간 소음 방지장치
JPH08144390A (ja) 透光性吸音パネル体構造
KR10170534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구조
JP4976821B2 (ja) 建築物の外内装パネルシステム及びその工法
JP2003293474A (ja) 室内の吸音構造及び建物
KR10213343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천장 및 벽체 패널과 이의 시공방법
CN106088685B (zh) 一种多功能演播室
JP3105957U (ja) 軽量防音ボックス
AU2020207846B2 (en) Wall structure and method
KR20130061340A (ko) 기밀성이 보강된 벽체
RU220132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шумоизоляционный блок
CN211341912U (zh) 隔热隔音通风别墅
CN210714374U (zh) 一种具有隔音功能的防火门
KR20020087324A (ko) 방진(防振), 방음 및 단열기능을 겸비한 건축재 및 그가내장된 바닥구조재
CN211774720U (zh) 一种新型声学吸音板
CN211421580U (zh) 一种防火钢结构建筑板
Marriage Residential
KR20100049779A (ko)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KR20100093715A (ko) 방음 및 단열성을 갖는 내장재
JP4664083B2 (ja) 軸組工法におけるファイヤーストップ構造
KR200337828Y1 (ko) 오염방지 기능을 가지는 흡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