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972Y1 - 화재감지기용 열 감지 캡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용 열 감지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972Y1
KR200162972Y1 KR2019940012499U KR19940012499U KR200162972Y1 KR 200162972 Y1 KR200162972 Y1 KR 200162972Y1 KR 2019940012499 U KR2019940012499 U KR 2019940012499U KR 19940012499 U KR19940012499 U KR 19940012499U KR 200162972 Y1 KR200162972 Y1 KR 200162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switching
diaphragm
switch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124U (ko
Inventor
우영석
Original Assignee
우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석 filed Critical 우영석
Priority to KR2019940012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972Y1/ko
Publication of KR950034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 하는 열 감지 캡의 신호를, 베이스를 통해 경보장치로 전달하여 경보를 발하기 위해 마련된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이어프램과 스위칭접점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스위칭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이 부착되고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을 구비하며 현가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장착되는 스위칭접점실과, 스위칭접점실을 수납 지지하는 미들 플레이트와, 이 미들 플레이트를 감싸며 밀폐 형성되는 차폐판을 포함하되, 직선상으로 편평한 가동 및 고정접점을 마련하고, 임의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재 혹은 경사부를 갖는 현가부재, 혹은 높이가 서로 다른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가동 및 고정접점을 지지함으로써,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제안한다.
[색인어]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

Description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
제1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열 감지 캡의 가동 및 고정접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폐판 2 : 다이어프램
10 : 미들 플레이트 30 : 스위칭접점
32 : 가동접점 33,41 : 고정접점
34,34' : 체결부재 35,39,42 : 현가부재
36 : 경사부재 37 : 커버부재
40 : 경사부 43,44 : 스페이서
47 : 연장부 48,49 : 콘택트 와이어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시 온도 상승에 따라 내부 공기가 팽창하므로서 경보장치를 스위칭 해주는 차동식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천장 또는 벽면에 부착시키는 화재 감지기는, 구조에 따라 차동식,정온식, 이온식 및 광전식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한 차동식 화재 감지기는 열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 하는 열감지 캡과, 상기한 열 감지 캡에서 감지한 온도 변화를 소정의 신호로 변환시켜 경보장치로 전달하는 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열 감지 캡은 공지의 다이어프램이 장착되는 차폐실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열 팽창에 의해 온-오프 되는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을 갖는 스위칭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베이스는 건물의 벽이나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 감지 캡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공지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1-5321호(1991. 7. 22)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화재 감지기가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화재 감지기는 제조가 쉽고, 조립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폐실에 요부를 형성하여 가동 및 고정접점을 구비한 별도의 스위칭접점실을 수납하고 상기 차폐실을 링형상의 하우징과 고정판 사이에 장착하며, 상기 스위칭접점실에 검사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상기한 방식의 화재 감지기는 베이스에 발광 다이오드와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있음은 물론,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배선 결속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수리 및 보수가 어려우며, 상기 베이스의 두께가 커져 제품의 슬림화를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4-1951호(1994. 2. 2)에는 미들 플레이트에 회로기판을 마련하여 이를 스위칭접점에 접속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회로기판에 연결된 현가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마련된 배선 결속 수단에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화재 감지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출원에서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접점실과 상기 접점실에 장착되는 가동 및 고정접점의 결합구조가 제안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상기접점실과 가동 및 고정접점의 구조는 전술한 실용신안공보 제 91-5321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 여기서 상기한 접점 특히, 가동접점은 박판의 금속 띠를 소정의 경사각으로 밴딩 형성하여 체결부재로서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밴딩 형성된 접점은 외부 충격이나 열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다이어프램과 가동 및 고정접점 사이의 간격 불균일을 초래하게 되어, 제품의 오 동작을 유발시키게 된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가동 및 고정접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밴딩부를 제거함으로써, 접점간의 간격과 다이어프램과의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제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개선하여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 하는 열 감지 캡의 신호를, 베이스를 통해 경보장치로 전달하여 경보를 발하기 위해 마련된 화재 감지기에 있어서, 다이어프램과 가동 및 고정접점을 구비하여 현가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위칭접점실과, 이 스위칭접점실을 수납 지지하는 미들 플레이트와, 이 미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밀폐된 공기실을 형성하는 차폐판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접점실의 내측에 임의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재를 마련하고, 이 경사부재에 일직선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가동접점을 체결부재를 개재하여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위칭접점실의 배면에 장착되어 베이스에 탈착 되는 현가 부재를, 상기 스위칭접점실의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연장 형성하여 임의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부를 형성하고, 그 선단에 일직선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가동접점을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스위칭접점실의 내측에 높이를 달리하는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그 선단에 체결부재를 개재하여 가동 및 고정접점을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고안의 비한정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 부호 1은 차폐판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차폐판(1)은 다이어프램(2)이 부착된 스위칭접점실(30)을 대략 중심부에 수납 지지하고 있는 미들 플레이트(10)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밀폐된 공기실을 갖는 열 감지 캡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스위칭접점실(30)의 플랜지(31)에는 상기 다이어프램(2)이 끼움 결합 되어지는 바, 이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또, 상기한 스위칭접점실(30)은 미들 플레이트(10)의 중공부에 삽입 안착되어지는 바, 이들은 서로 접착제로서 일체로 고정되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위칭접점실과 미들 플레이트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한 스위칭접점실(30)에는 다이어프램(2)과, 화재 시 이 다이어프램(2)의 열팽창에 의해 유동되는 가동접점(32)과, 이 가동접점(32)에 접촉되는 고정접점(33)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상지접점들은 저마다 체결부재(34,34')를 개재하여 그 배면에 장착되는 현가부재(35)와 함께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가동접점(32)은 직선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지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스위칭접점실(30)의 내측에는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부재(36)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가동접점(32)은 임의의 기울기로 설치되어지는 바, 그 상측에는 용이한 체결을 위하여 상기 경사부재(36)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커버부재(37)가 마련되어지며, 이들은 상기한 체결부재(34,34')를 개재하여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진다.
한편, 도면의 미설명 부호 38은 푸시로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고정접점(3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열 감지 캡은 스위칭접점실(30)의 배면에 장착되는 현가부재(35)에 의해 베이스(도시 생략)와 결합되어 지는 바, 이러한 화재 감지기용 베이스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94-1952호(1994. 2. 2)에 기술되어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화재 감지기의 동작 상태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즉, 화재 시 차폐판(1)에서 열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스위칭접점실(30)에 부착된 다이어프램(2)은 열 팽창하게 되고, 상기 스위칭접점실(30)의 가동 및 고정접점(32,33)은 온 상태로 스위칭 된다.
이어서 상기 스위칭 신호는 현가부재(35)를 통해 베이스로 전달되어지며, 이는 다시 상기 베이스를 거쳐 경보장치로 전달됨으로써, 경보음을 발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폐판(I)과 미들 플레이트(10) 및 스위칭접점실(30)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일체로 결합되어 열 감지 캡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스위칭접점실(30)의 배면에는 베이스(도시 생략)에 탈착 가능하게는 현가부재(39)가 설치되어지는 바, 이는 체결부재(34)를 개재하여 스위칭접점실(3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현가부재(39)의 일단은 스위칭접점실(30)을 관통하여 그 내측 공간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는 바, 그 선단은 임의의 기울기를 갖도록 절곡되어 경사부(40)를 형성하게 된다.
또, 상기한 경사부(40)에는 일직선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가동접점(32)이 부착되어지는 바, 그 타단은 다이어프램(2)에 접촉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접점(32)과 스위칭 되는 고정접점(41 1)은 상기 스위칭접점실(30)을 관통하여 그 내측으로 돌출되는 현가부재(42)와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바, 이는 상기 현가부재(42)의 선단에서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하나로서 상기 가동접점(32)은 전술한 고정접점(41)과 마찬가지로 현가부재(39)와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제3도에는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자 같이, 차폐판(1)과 미들 플레이트(10) 및 스위칭접점실(30)은 전술한 제1,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일체로 결합되어 열 탐지 캡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스위칭접점실(30)의 배면에는 베이스(도시 생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현가부재(35)가 설치되어지는 바, 이는 체결부재(34,34')를 개재하여 가동 및 고정접점(32,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칭접점실(3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스위칭접점실(30)의 내측에는 높이를 서로 달리하는 2개의 스페이서(43,44)가 설치되어지는 바, 그 각각의 선단에는 가동접점(32)과 고정접점(33)이 수평으로 설치되어진다.
한편, 제4도에는 전술한 제1, 제2 및 제3 실시 예에 적용되는 가동 및 고정접점의 구조가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동접점(32)은 상기 다이어프램(2)과의 접촉면에서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부재(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절연부재(45)는 대략 2개의 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는 가동접점의 선단에 마련된 구멍(46)을 관통하여, 그 배면에서 융착되어진다.
이때, 상기 절연부재(45)의 융착 부위에 의해 고정접점(33,41)과의 스위칭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접점(32)의 선단에 연장부(47)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절연부재(45)가 부착되는 배면에 콘택트 와이어(18)를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콘택트 와이어(48)는 절연부재(45)가 융착되는 사이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진다.
아울러, 상기한 고정접점(33,41')에는 상기 콘택트 와이어(48)에 대응하는 콘택트 와이어(49)가 부착되어지는 바, 이들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의 실시 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은, 대략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가동 및 고정접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는 종래의 밴딩 형성되는 접점 구조에 의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대략 직선상의 편평한 가동 및 고정접점을 마련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임의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재 혹은 경사부를 갖는 현가부재, 혹은 높이가 서로 다른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구조는 상시 균일한 기울기와 접점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이어프램과 가동 및 고정접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됨은 물론, 열에 의한 변형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가동접점의 선단에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와 고정접점의 대향면에 콘택트 와이어를 부착함으로써, 스위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접점실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인이 제안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88-513호(1988. 3.12)혹은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4-6570호(1994. 3.30)와 같이 스위칭 플레이트에 접점실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화재 감지기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다이어프램과(2)과, 이 다이어프램(2)이 부착되고 가동접점(32) 및 고정접점(31)을 구비하여 현가부재(35)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장착되는 스위칭접점실(30)과, 이 스위칭접점실(30)이 수납 지지되는 미들 플레이트(10)와, 이 미들 플레이트(10)를 감싸며 밀폐 형성되는 차폐판(1)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접점실(30)의 내측에 임의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재(36)를 마련하고, 이 경사부재(36)에 일직선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가동접점(32)을 장착하되, 상기 현가부재(35)와 함께 체결부재(34,34')를 개재하여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
  2. 제1항에 있어서, 가동접점(32)은 경사부재(36)와 동일 기울기를 갖는 커버부재(37)를 개재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용 열 감지 캡.
  3. 다이어프램(2)이 부착되고 가동 및 고정접점과 연결된 현가부재를 개재하여 베이스에 장착되는 스위칭접점실(30)과, 이 스위칭접점실(30)이 수납 지지되는 미들 플레이트(10)와, 이 미들 플레이트(10)를 감싸며 밀폐 형성되는 차폐판(1)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접점실(30)의 배면에 장착되는 현가부재(39)를 연장하여 상기 스위칭접점실(30)의 내측으로 관통 설치하고, 그 선단에 임의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40)를 형성하며, 이 경사부(40)에 일직선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 가동접점(32)을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용 열감지 캡.
KR2019940012499U 1994-05-31 1994-05-31 화재감지기용 열 감지 캡 KR200162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499U KR200162972Y1 (ko) 1994-05-31 1994-05-31 화재감지기용 열 감지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499U KR200162972Y1 (ko) 1994-05-31 1994-05-31 화재감지기용 열 감지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124U KR950034124U (ko) 1995-12-18
KR200162972Y1 true KR200162972Y1 (ko) 1999-12-15

Family

ID=1938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499U KR200162972Y1 (ko) 1994-05-31 1994-05-31 화재감지기용 열 감지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9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124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9573C (zh) 火警报警器
JP2001216578A (ja) 火災感知器
KR200162972Y1 (ko) 화재감지기용 열 감지 캡
EP0217100B1 (en) An ionization-type smoke detector
US4740703A (en) Ionization-type smoke detector
US5160916A (en) Ionization type smoke sensor
KR200162974Y1 (ko) 화재감지기
KR200162868Y1 (ko) 화재감지기
JP3114648U (ja) 感知器取付用ベース枠
JP4138762B2 (ja) 熱感知器
JP2754427B2 (ja) 輻射式火災感知器
KR102499149B1 (ko) 차동식 열감지기
KR200173407Y1 (ko) 화재 감지기
KR970000420Y1 (ko) 차동식 화재 감지기
JPH11167682A (ja) 熱感知器
KR200219919Y1 (ko) 정온식 화재감지기
KR100310754B1 (ko) 정온식 화재감지기
JP2003248878A (ja) 導光体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火災感知器
JPH08240552A (ja) 湿度センサ
KR200426560Y1 (ko) 방폭형 정온식 감지기
JP3193693B2 (ja) 傾斜スイッチ
JP3817100B2 (ja) 火災感知器
JP2565209Y2 (ja) 輻射式火災感知器
JP2008085274A (ja) 電子機器
KR200141236Y1 (ko) 온도 과승방지기의 단자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