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504Y1 -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504Y1
KR200162504Y1 KR2019960040691U KR19960040691U KR200162504Y1 KR 200162504 Y1 KR200162504 Y1 KR 200162504Y1 KR 2019960040691 U KR2019960040691 U KR 2019960040691U KR 19960040691 U KR19960040691 U KR 19960040691U KR 200162504 Y1 KR200162504 Y1 KR 200162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cony
railing
handrail
moving frame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729U (ko
Inventor
강대기
Original Assignee
강대기
선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기, 선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대기
Priority to KR2019960040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5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7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5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18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cantilevers or other provisions mounted in openings in the building, e.g. window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빌딩, 아파트, 오피스텔등 고층건물 건축 현장에서 공가 시공중 작업자가 발코니 난간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코니 난간 상면에서 나사봉을 죄어서 밀착 고정하기 위한 이동틀의 내면에 엠보싱 가공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난간 기둥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멍에서 발코니 난간 설치 작업시 용이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에 의해 작업환경 변경에 따른 방호장치의 이동틀(3) 위치조정 작업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수행가능토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방호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설치 상태 예시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방호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난간기둥 2 : 몸틀
3 : 이동틀 4 : 핸들
5 : 돌출부 6 : 구멍
7 : 나사봉 8 : 밀착부
9 : 난간 대고리 10 : 나비 너트
11 : 슬라이딩 공 14 : 발코니 난간
본 고안은 빌딩, 아파트, 오피스텔등 고층건물 건축 현장에서 공사 시공중 작업자가 발코니 난간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코니 난간 상면에서 나사봉을 죄어서 밀착 고정하기 위한 이동틀의 내면에 엠보싱 가공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용이하고 신속한 설치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건축물이 고층화 내지 대형화 되고 건축물 내부 시설 공사량이 증가하여 건물의 외벽이 완성되기 전에 사방이 완전히 노출된 각층 바닥에서 장기간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중 난간에 세심한 주의를 하지 않는 이상 작업에 몰두하다보면 추락의 위험성이 크고 추락시에는 고층이므로 치명적인 인명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종래까지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발코니 난간을 아예 무방비로 방치해두거나 낭비를 하더라도 페자재 불용자재 등으로 형식적으로 난간대를 설치하고 있으며, 설치해체가 번거롭고 인력이 많이 투입되어 추락위험을 예지하면서도 방치해두고 있는 사례가 허다하였으나 최근들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호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제3도에서 보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난간대고리(9)가 끼워지고 나비너트(10)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그 하부에는 다수개의 구멍(6)이 형성된 난간기둥(1)과 상기 난간기둥(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몸틀(2)과 전방에는 하단에 밀착부(8)가 결합된 나사봉(7)이 핸들(4)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토록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구멍(12)이 형성되어 상기 난간기둥(1)의 구멍(6)과 상기 구멍(12)을 일치한 상태로 고정 볼트(13)를 끼워 고정함에 의해 난간기둥(1)의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어지는 이동틀(3)로 구성되어 지는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지는 종래의 방호장치는 발코니 난간의 상하면에서 이동틀(3)의 밀착부(8)와 몸통(2)이 나사봉(7)과 결합된 핸들(4)를 돌려줌에 따라 완전 밀찰하게 되므로 비교적 안전한 설치 작업이 가능하다.
그런데 발코니 난간의 두께가 변경되면 난간기둥(1) 상에서 이동틀(3)의 고정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술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볼트(13)를 먼저 분리하고 이동틀(3)을 새로운 위치로 상하이동 시킨후 난간기둥(1)의 구멍(6)과 이동틀(3)의 구멍(1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13)를 다시 삽입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종래의 장치에서는 작업 환경 변경에 따른 방호장치의 이동틀(3)의 위치 조정 작업이 매우 복잡하며, 작업시 한손으로는 볼트(13)를 분리하거나 체결하여야 하고 나머지 한손으로는 이동틀(3)이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쥐고 있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난간기둥상에서 이동틀의 고정방식이 볼트에 의한 고정방식이 아니라 이동틀 내벽에 형성된 돌출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난간기둥의 구멍에 발코니 난간 설치 작업시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 그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며, 그 해결 방안으로는 발코니 난간 상면에서 나사봉을 죄어서 밀착 고정하기 위한 이동틀의 내면에 엠보싱 가공에 의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난간 기둥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멍에서 발코니 난간 설치 작업시 용이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첨부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방호장치의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상부에는 난간대 고리(9)가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멍(6)이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몸틀(2)이 형성되어 있는 난간기둥(1)과 중앙에 형성된 슬라이딩공(11)이 상기 난간기둥(1)에 끼워지며 전방에는 하단에 밀착부(8)가 결합된 나사봉(7)이 핸들(4)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토록 나사결합 되어 있는 이동틀(3)로 구성되는 발코니 난간 추락 방지용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틀(3)의 배면에는 상기 구멍(6)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돌출부(5)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공(11)의 직경값은 난간기둥(1)의 외측 직경값에 상기 돌출부(5)의 돌출높이 값을 합한 값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5)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되어 질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제2도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코니 난간(14)에 본 고안에 의한 방호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선 먼저 이동틀(3)을 난간기둥(1)면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동틀(3) 내벽에 형성된 돌출부(5)가 난간기둥(1)의 구멍(6)의 적합한 위치에 오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핸들(4)을 돌려서 핸들(4) 하부에 연결된 밀착부(8)와 몸틀(2) 사이에서 발코니 난간(14)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틀(3)의 슬라이딩공(11)의 직경에서 돌출부(5)의 돌출된 높이를 감산한 값이 난간기둥(1)의 외측 직경값 보다 다소 크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이동틀(3)의 난간기둥(1) 면상에서의 상하 이동은 용이하게 이루어 지게 되지만 발코니 난간(14) 상부면에서 핸들(4)을 돌려서 밀착부(8)를 압착시킬 경우에는 상기 이동틀(3)이 수평상태에서 약간 경사진 상태로 되어 힘이 가해지므로 이때 이동틀(3) 내벽에 형성된 돌출부(5)는 난간기둥(1)의 구멍(6)에 삽입되어 지게 되며 핸들(4)에 큰힘을 가해 고정상태를 강화할수록 상기 돌출부(5)는 구멍(6)에 더욱 깊이 삽입되어서 상기 이동틀(3)은 난간기둥(1)의 일정 위치에서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발코니 난간(14) 상면에서 나사봉(7)을 죄어서 밀착 고정하기 위한 이동틀(3)의 내면에 엠보싱 가공에 의한 돌출부(5)가 형성되도록하여 난간기둥(1)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멍(6)에서 발코니 난간 설치 작업시 용이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에 의해 작업환경 변경에 따른 방호장치의 이동틀(3)의 위치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작업을 한손으로 만으로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상부에는 난간대 고리(9)가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멍(6)이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몸틀(2)이 형성되어 있는 난간기둥(1)과 중앙에 형성된 슬라이딩공(11)이 상기 난간기둥(1)에 끼워지면 전방에는 하단에 밀착부(8)가 결합된 나사봉(7)이 핸들(4)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토록 나사결합 되어 있는 이동틀(3)로 구성되는 발코니 난간 추락 방지용 방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틀(3)의 배면에는 상기 구멍(6)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돌출부(5)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공(11)의 직경값은 난간기둥(1)의 외측 직경값에 상기 돌출부(5)의 돌출 높이 값을 합한 값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19960040691U 1996-11-19 1996-11-19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0162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691U KR200162504Y1 (ko) 1996-11-19 1996-11-19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691U KR200162504Y1 (ko) 1996-11-19 1996-11-19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29U KR19980027729U (ko) 1998-08-05
KR200162504Y1 true KR200162504Y1 (ko) 1999-12-15

Family

ID=1947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691U KR200162504Y1 (ko) 1996-11-19 1996-11-19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5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44B1 (ko) * 2007-10-23 2007-12-28 (주)원건축사사무소 수직망 겸용 건축현장용 추락방지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44B1 (ko) * 2007-10-23 2007-12-28 (주)원건축사사무소 수직망 겸용 건축현장용 추락방지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29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5396C (fi) Kaelke foer skyddsanordning vid uppstigning pao en stege.
KR200162504Y1 (ko) 발코니 난간 추락방지용 방호장치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JPH0135854Y2 (ko)
KR101128035B1 (ko) 스틸난간대용 동자하부캡 구조
JPH0734018U (ja) 防護柵支柱用キャップ取り付け構造
KR200169809Y1 (ko) 어린이 추락방지용 안전봉
KR200339308Y1 (ko) 높이와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구조물
JPS6025268Y2 (ja) 安全ベルト取付装置
CN216893602U (zh) 一种房建施工装配式防护栏
JPS5814192Y2 (ja) 足場用ブラケツト
KR940008114Y1 (ko) 난간용 지주의 지주캡 고정장치
KR960002499Y1 (ko) 추락방지용 안정장치
KR20060076481A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KR940008493Y1 (ko) 건축용 가설 난간지주
KR200489735Y1 (ko) 난간 고정장치
KR950008889Y1 (ko) 건축용 가설 난간지주
KR200189895Y1 (ko)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KR920007985Y1 (ko) 길이조절 및 개폐 가능한 난간
KR200144249Y1 (ko) 난간 지주의 보호커버 고정구조
KR960005771Y1 (ko)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
JPH0541994Y2 (ko)
EP0783062A1 (de) Verbindungseinrichtung zur Montage eines getragenen Gebäudeteils an ein tragendes Gebäudeteil
JP2558212B2 (ja) ステーアンカーを内装した物品固定用支柱
JP3045769U (ja) マンホール内の踊り場用手摺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