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771Y1 -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771Y1
KR960005771Y1 KR2019930014663U KR930014663U KR960005771Y1 KR 960005771 Y1 KR960005771 Y1 KR 960005771Y1 KR 2019930014663 U KR2019930014663 U KR 2019930014663U KR 930014663 U KR930014663 U KR 930014663U KR 960005771 Y1 KR960005771 Y1 KR 960005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astening
ball tip
socke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938U (ko
Inventor
정사용
Original Assignee
정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사용 filed Critical 정사용
Priority to KR2019930014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771Y1/ko
Publication of KR950003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계단용 난간을 보인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연결부재를 다른 실시예로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계단 20 : 지주
30 : 연결간 100 : 지주용캡
110 : 포켓부재 101 : 체결공
102 : 작동홈 200 : 연결부재
201 : 볼팁 202 : 소켓
본 고안은 계단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난간에 있어서, 계단으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이의 지주에 계단을 따라 설치되는 연결간을 상호 결합하는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주용캡에 연결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연결간의 결합을 손쉽게 하면서도 연결간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실내,외의 계단에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계단을 따라 오르내리는 사람의 안전을 도모토록 함과 동시에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하는 난간이 계단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난간은 각 계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이의 지주를 상호 연결하며 손잡이 역활을 수행하는 연결간으로 구성되어 계단과 함께 고정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었다.
이와같은 난간은 지금까지 여러종류가 알려져 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스테인레스의 재질로 제조되면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안전에 따른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지주와 연결간들을 상호 용접하여 연결 설치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난간의 지주와 연결간은 대부분 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지는 스테인레스의 재질로 구비되어 있기때문에 용접작업이 용이치못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난간의 설치작업이 계단이 있는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더욱 가중되는 것이었고, 또한 난간의 지주들에 연결되는 연결간은 계단을 따라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하여야 하므로서 이의 경사각을 정확히 유지하기가 어려울뿐아니라 연결간의 경사각이 조금만 어긋나더라도 전체적으로 불균형을 이루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나마 보완하고자 지주의 상단부에 별도의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이의 연결부재에 연결간의 측단부를 억지끼움식으로 체결하여서 된 조립식도 알려져 있으나, 이 또한 작업성의 향상은 어느정도 기대할 수는 있을지라도 연결부재가 고정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난간의 고정력이 약해 각 지주의 연결부위가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는등의 문제점을 야기시켰던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난간의 지주와 연결간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난간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되는데,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해 설치되는 계단의 난간을 보인 구성도로서 도면중 부호 10은 계단을 표시하고 있으며, 이의 계단(10)의 측면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이의 난간은 계단(10)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계단(10)의 최하단과 최상단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20)와, 상기 지주(20)의 상단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간(30)과, 그리고 상기 계단(10)의 사이에 계단(10)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단이 연결간(30)과 용접고정되는 다수개의 중간지주(40)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주(20)의 상단에는 지주(20)를 감싸아 보호토록 하는 지주용캡이 설치되어 있는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지주(20)와 연결간(30)을 결합하는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의 따른 지주용캡을 나타낸 것이며, 또한 부호 200은 지주(20)에 연결간(30)을 체결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지주용캡(100)은 지주(20)의 상단에 억지끼움되어 설치되면서 일측면에는 연결부재(20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대략 반구형의 포켓부재(110)가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의 포켓부재(110)는 연결부재(200)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토록 되는 작동공간을 제공하게 될 것이고, 그 전면에는 연결부재(200)가 삽입되는 체결공(101)이 구성되어 있고, 이의 체결공(101)의 일측에는 연결부재(200)의 회전각도를 최대한 허용토록 하기위한 작동홈(10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주용캡(100)의 포켓부재(110)에 삽입체결되는 연결부재(200)는 일측면에 전술한 포켓부재(110)내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토록 되는 구형의 볼팁(201)이 구비되어 있고, 이의 볼팁(201)에는 연결간(30)의 일측단이 삽입체결되는 소켓(202)이 구비되어 있는것이다.
한편 도면의 제 4 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로서, 이의 연결부재(200A)는 양분되어 일측에 보울트(203)를 갖는 볼팁(201a)과, 이와 대향되는 너트(204)를 갖는 소켓(202a)를 구비하여 이들을 나사결합 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면의 제 3 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도면에서도 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지주용캡(100)은 통상에서와 같이 지주(20)의 상단부에 체결 하는것이고, 이의 지주용캡(100)에는 본 고안의 연결부재(200)를 이용하여 연결간(30)을 체결하게 되는데, 상기 지주용캡(100)에 구비되는 포켓부재(110)에 연결부재(200)의 볼팁(201)이 삽입되도록 하여 연결부재(200)를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포켓부재(110)에는 연결부재(200)의 볼팁(201)만이 삽입체결되어 이의 볼팁(201)을 중심으로 연결부재(200)가 회전가능토록 되는것이며, 또한 상기 연결부재(200)의 소켓(202)에는 연결간(30)의 일측단이 억지끼움식으로 삽일체결되어 지는것이다.
그러므로 연결간(30)은 연결부재(200)에 의해 지주(20)에 견고히 체결되어 짐과 동시에 연결부재(200)의 볼팁(201)을 지지점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이 가능토록 되므로서 계단(10)의 각도에 따라 연결간(30)의 각도를 손쉽게 맞추어 설치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간(30)은 계단(10)의 일정한 경사각도에 따라서는 지주(20)로부터 상당한 경사각도를 유지하여야만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포켓부재(110)의 체결공(101)에 구비되는 작동후(102)으로 연결부재(200)의 잘록한 부분이 삽입되므로서 그 경사각을 보상하게 되는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포켓부재(110)는 연결단(30)의 연결위치에 따라, 예를들어 계단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지주에 연결간을 체결할 경우에는 포켓부재(110)의 작동홈(102) 위치를 하부로 위치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의 호환성을 가지도록 함은 물론일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계단용 난간의 지주에 연결간을 체결함에 있어서, 별도의 포켓부재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손쉽게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 경사각을 초기에 정확히 맞추지 않더라도 포켓부재를 지주에 고정한 상태에서 경사각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가 있음에 따라 연결간의 연결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어 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것이다.
또한 연결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볼팁이 지주에 용접고정되는 포켓부재내에 체결되므로서 그 체결력이 향상되어지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것이다.

Claims (3)

  1. 계단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에 계단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결간을 연결하여서 되는 계단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20)와 연결간(30)을 체결하는 수단을 지주(20)의 상단에 체결되는 지주용캡(100)의 일측면에 고정구비되고 그 전면으로 체결공(101)과 이의 체결공(101)의 일측에 작동공(102)을 갖춘 대략 반구형의 포켓부재(110)와; 상기 포켓부재(110)의 체결공(101)과 작동공(102)을 통해 이의 내부에 체결되어 회전가능토록 되는 볼팁(201)과 볼팁(201)의 타측에 구비되어 연결간(30)의 끝단부가 삽입체결되는 소켓(202)을 갖춘 연결부재(2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난간용 지주의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를 지주(20)의 포켓부재(110)에 삽입체결되어 회전가능토록 되는 볼팁(201)과 연결간(30)을 체결하는 소켓(202)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포함하는 계단 난간용 지주의 체결장치.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A)를 양분하여 볼팁(201a)의 일측에는 보울트(203)를 구비하고 이와 대향되는 소켓(202a)에는 너트(204)를 구비하여 이들을 나사조립식으로 결합하여서 되는 것을 포함하는 계단 난간용 지주의 체결장치.
KR2019930014663U 1993-07-31 1993-07-31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 KR960005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663U KR960005771Y1 (ko) 1993-07-31 1993-07-31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663U KR960005771Y1 (ko) 1993-07-31 1993-07-31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38U KR950003938U (ko) 1995-02-17
KR960005771Y1 true KR960005771Y1 (ko) 1996-07-15

Family

ID=1936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663U KR960005771Y1 (ko) 1993-07-31 1993-07-31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7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938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418B1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NO152418B (no) Flersjiktsfilm omfattende et underlagssjikt av en alfa-olefin-homo- eller -kopolymer og et varmforseglbart sjikt
US5456451A (en) Safety railing post and brackets therefor
KR101020501B1 (ko) 난간지주의 안전유리 설치각도 조절장치
KR960005771Y1 (ko) 계단 난간용 지주의 결합장치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KR200443024Y1 (ko) 계단용 난간 지주
KR200211926Y1 (ko) 계단난간의 설치부재
KR200236192Y1 (ko) 경사부 난간 설치구조
KR200281771Y1 (ko) 난간봉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계단 난간
KR200299629Y1 (ko) 난간 조립 유니트
KR200382475Y1 (ko) 계단난간 임시 고정구조
JPH09235872A (ja) 仮設用足場板
KR101099637B1 (ko) 핸드레일 서포트어셈블리
RU2133808C1 (ru) Винтовая лестница
KR100585344B1 (ko) 공동주택 및 일반건축물의 계단 난간 설치구조
KR200346844Y1 (ko) 난간 지주 결합구
KR100680277B1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US6044599A (en) Spiral staircase
KR200428516Y1 (ko) 건설현장용 안전계단
KR20031439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지주 결합구
KR102648252B1 (ko) 안전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
JP2004060391A (ja) 仮設階段用踊り場
KR101994679B1 (ko) 난간용 연결 장치
AU2005311214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