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252B1 - 안전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252B1
KR102648252B1 KR1020220026602A KR20220026602A KR102648252B1 KR 102648252 B1 KR102648252 B1 KR 102648252B1 KR 1020220026602 A KR1020220026602 A KR 1020220026602A KR 20220026602 A KR20220026602 A KR 20220026602A KR 102648252 B1 KR102648252 B1 KR 102648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bolt
fixing device
safety
b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0187A (ko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샘텍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샘텍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샘텍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22002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252B1/ko
Publication of KR2023013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고리가 체결되는 안전바를 구조물에 안전하게 장착할 수 있는 안전바 고정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간단한 구성을 통해 안전바 체결의 용이성 및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Fixing apparatus of safety bars and the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바 고정장치 및 안전바 고정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보다 자세히는 구조물(건축물)의 고위험 구역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안전고리를 체결할 수 있는 안전바를 구조물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안전바 고정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도 10과 같이, 건축 현장, 산업 현장 등에서는 작업자의 추락 사고로 인한 인명 사고가 종종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안전고리가 있는 조끼형의 안전대를 상체에 착용한 후, 상기 안전고리를 구조물에 고정된 안전바에 체결한 후 작업을 한다. 본 발명은 안전바를 구조물(본 발명에서 "구조물"은 "건축물"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됨)에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안전바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긴 봉 형상의 안전바를 건축물의 지붕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기술에서는 안전바를 설치함에 있어서 별도의 안전바가 아닌 건축물용 외부 비계를 안전바로 이용하거나, 안전바를 별도의 안전바 고정장치 없이 다른 구조물에 못, 용접, 나사 체결 등으로 고정하였기에 안전바가 구조물에 견고히 고정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안전바 및 안전고리에 관한 종래 특허 기술을 살펴보면, 한국특허공개 10-2021-0075457, 10-2021-0158664 등의 종래 관련 기술은 안전고리 자체에 대한 다양한 기술을 공개하고 있으나, 이러한 안전바를 구조물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안전바 고정 기술에 대해서는 공개된 바가 없다.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21-0075457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21-0158664
본 발명은 구조물에 안전바를 신속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안전바 고정장치 및 상기 안전바 고정장치를 표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물 중 지하철, 기차 플랫폼 등에 설치되는 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비와 햇빛을 막아주는 지붕만 덮여 있는 캐노피형 구조물에 적합한 안전바 고정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안전바가 몸체 중간에 관통 고정되도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되어 몸체를 이루는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로부터 체결되어 안전바를 고정하는 안전바 고정볼트;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까지 체결되는 몸체고정볼트; 및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몸체고정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상부몸체는: 상부몸체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으로서, 안전바가 끼움 결합되는 안전바 삽입공; 상부몸체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안전바 삽입공까지 연통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제1볼트홀; 및 상부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2볼트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너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하부몸체 내부에 제공하는 너트홀; 및 상기 너트홀 상부에 하부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몸체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3볼트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고정볼트는 토글볼트이며, 토글볼트의 볼트몸체 중간에 방수용패킹을 더 갖는 토글볼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전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시스템은 구조물; 상기 구조물 위에 설치된 상기에서 설명된 어느 하나의 안전바 고정장치; 및 상기 안전바 고정장치의 안전바 삽입공에 삽입 설치되는 안전바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바 고정장치의 몸체결합볼트가 상기 구조물의 하부로부터 너트,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와 순서대로 체결되며, 상기 안전바 고정볼트가 안전바 삽입공에 삽입된 안전바를 고정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안전바 고정시스템은 상기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굴곡을 갖는 강성 재질의 지지브라켓이 구조물 위에 덧대어진 상태에서 안전바 고정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전바 고정시스템은 상기 구조물 아래에 지지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몸체고정볼트가 지지대, 구조물, 지지브라켓, 너트,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의 순서로 체결되는, 안전바 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조물, 특히, 지붕에 안전바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안전바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방식의 안전바 고정 기술에 비해 안전바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후의 안전바가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정치에 의해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성이 보장된다.
특히, 본 발명은 안전바 고정장치의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수가 가능한 토글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토글볼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안전바 고정장치와 구조물 사이에 방수를 위한 오링, 패드 등을 추가하는 경우 안전바 고정장치의 설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안전바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상부몸체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로서의 상부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로서의 하부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안전바 고정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점선은 안전바).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안전바 고정장치의 설치예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몸체고정볼트의 일 예로서 토글볼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토글볼트가 적용된 안전바 고정장치의 설치예이다.
도 10은 전형적인 안전바 및 안전고리의 체결상태를 설명하는 종래 도면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등의 장형의 봉 형상의 안전바를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안전바 고정장치 및 상기 안전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 구조물은 주택, 빌딩, 다리 등 다양한 형태를 의미하며, 특히, 지하철 또는 기차역의 플랫폼에 설치된 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지붕이 기둥에 의해 설치되어 비나 햇빛을 피할 수 있는 캐노피형 구조물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전바 고정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는 안전바 고정볼트(10), 상부몸체(20), 하부몸체(30), 몸체고정볼트(40) 및 너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는 상부몸체(20) 및 하부몸체(30)의 2개의 분리된 몸체로 구성되며, 몸체고정볼트(40)에 의해 일체로 체결된다.
안전바가 몸체를 관통하여 삽입 고정되도록 안전바의 외경 및 형상에 대응되는 통공인 안전바 삽입공(22)을 갖는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20)와 대응되는 몸체인 하부몸체(30)를 포함한다. 하부몸체(30)는 상부몸체(20)와 제조 편의를 위해 직경 및 재질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부몸체(20)와 하부몸체(30)의 내부 구조는 추후 도 2a ~ 2c 및 3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몸체(20)의 안전바삽입공(22)에 장착된 안전바가 회전하거나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몸체(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볼트홀(21, 도면 2b 참조)에 안전바 고정볼트(10)가 나사결합하면서 하방으로 진행하여 안전바의 외측면을 접촉하면, 안전바 고정볼트(10)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안전바(200)를 가압함으로써 안전바(200)가 회전 및 좌우 이동을 하지 못하게 고정한다.
하부몸체(30)는 하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몸체(30)의 하방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으로 너트(50)가 위치하는데, 너트(50)는 후술하는 몸체고정볼트(40)와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 구조물에 해당하는 지붕, 대들보 등에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를 설치하는 역할과 더불어, 상부몸체(20) 및 하부몸체(30)를 일체로 체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몸체고정볼트(40)이다.
너트(50)는 전술한 몸체고정볼트(40)와 한 쌍으로 체결되는 것으로서, 너트 대신에 와셔를 사용해도 되며, 본 발명에서 너트(50)는 와셔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하에서는 도 2a ~ 2c를 참고하면서 상부몸체(2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몸체(20)
도 2a 및 2b는 각각 상부몸체(20)의 측면도 및 단면도로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육면체 형상 등이어도 무방하다. 상부몸체(20)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볼트홀(21), 하부에는 제2볼트홀(23)이 있으며, 상부몸체(20)의 길이 방향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상부몸체(20)의 몸체를 관통하는 안전바 삽입공(22)을 갖는다.
제1볼트홀(21)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전술한 안전바 고정볼트(10)와 체결된다. 제1볼트홀(21)은 안전바 삽입공(22)에 삽입되는 안전바(2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볼트홀(21)이 안전바 삽입공(22)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안전바 삽입공(22)은 삽입되는 안전바(200)의 직경 및 모양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데, 통상 안전바(200)가 장형의 파이프이므로, 안전바 삽입공(22)의 통공 형상은 파이프 형상의 안전바(200)의 외측경과 대응되는 내측경을 갖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안전바(200)는 안전바 삽입공(22)에 타이트하게 삽입된다.
제2볼트홀(23)은 전술한 몸체고정볼트(40)가 체결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다. 몸체고정볼트(40)는 하부의 하부몸체(30)를 통과하여 상부몸체(20)의 제2볼트홀(23)까지 체결됨으로써, 상부몸체(20)와 하부몸체(30)는 상하 일체로 고정할 뿐만 아니라, 몸체고정볼트(40)가 제2볼트홀(23)을 지나 안전바(200)의 외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안전바 고정볼트(10)와 더불어 안전바(200)의 회전 및 측면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c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몸체(20)의 단면도로서, 제2볼트홀(23)이 안전바 삽입공(22)과 관통되어 있지 않고, 상부가 막힌 상단캡(24)을 갖는 실시예이다. 몸체고정볼트(40)는 하부몸체(30)를 통과하여 상부몸체(20)의 제2볼트홀(23)에 체결되되, 상단캡(24)에 막혀 안전바 삽입공(22)에 삽입된 안전바(200)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하부몸체(30)
도 3은 하부몸체(30)의 단면도로서, 하부몸체(30)는 전술한 상부몸체(20)와 분리된 구성이나, 몸체고정볼트(40)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하부몸체(30)는 원통형이 바람직하며, 하부몸체(30)의 하방으로는 개방된 공간인 너트홀(31)을 가지며, 상기 너트홀(31)과 상호 연통되며, 하부몸체(30)의 상부를 관통형성되며,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제3볼트홀(32)을 갖는다.
너트홀(31)에는 전술한 너트(50)와 몸체고정볼트(40)가 체결되어 하부몸체(30)를 지붕, 지지대 등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너트홀(31)의 직경은 너트(50)와 같거나 커야 너트(50)가 너트홀(31) 내에서 하부몸체(30) 하부에서 몸체고정볼트(40)와 체결된다. 또한, 너트(50) 대신에 와셔를 사용해도 되며, 본 발명에서 너트는 몸체고정볼트(40)와 체결되는 내부에 암 나사산을 갖는 구성을 의미한다
몸체고정볼트(40)는 너트홀(31)에서 너트(50)와 체결된 후, 제3볼트홀(32)와 체결되며, 다시 상부몸체(20)의 제2볼트홀(23)까지 체결된다. 따라서, 상부몸체(20)의 제2볼트홀(23)과 하부몸체(30)의 제3볼트홀(32)은, 몸체고정볼트(40)의 나사산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동일한 내부 직경 및 나사산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하나의 몸체고정볼트(40)에 이해 체결되도록 제2볼트홀(23)과 제3볼트홀(32)는 동일 축상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안전바 고정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지붕, 지지브라켓, 지지대, 서까래 등에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를 체결하기 전의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만을 도시화한 것으로서, 안전바(200)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점선으로 안전바(200)를 표시하였다.
하부몸체(3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개방된 너트홀(31)에서 너트(50)와 몸체고정볼트(40)가 체결되어 있으며, 몸체고정볼트(40)가 하부몸체(30)의 상부에 관통된 제3볼트홀(32) 및 상부몸체(20)의 제2볼트홀(23)까지 체결되어 있다.
안전바(200)가 안전바 삽입공(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전바(200)의 좌우 위치가 정해졌다면, 안전바 고정볼트(10)를 하방으로 체결 진행하여 안전바(200)의 외측면에 안전바 고정볼트(10)가 맞닿을 때까지 안전바 고정볼트(10)를 하방 전진한다.
하부몸체(30)의 하단과 몸체고정볼트(40)의 볼트헤드 사이의 공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조물, 지지대, 지지브라켓 등이 위치하게 된다.
안전바 고정장치의 구조물(예를 들어, 지붕)에 대한 설치예
이하에서 구조물의 예로서 지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a) 지붕 단독 설치예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를 지붕(300)에 직접 설치한 예로서, 지붕(300)이 튼튼한 재질로 이루어졌다면, 지붕(300)에 본 발명의 안정바 고정장치(100)를 바로 설치할 수 있으나, 후술하는 지지브라켓(400)과 서까래 등과 같은 지지대(500)를 함께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지붕(300)의 하부로부터 지붕(300)을 관통하여 몸체고정볼트(40)가 통과하여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가 설치되며, 지붕(30)의 일정 거리마다 안전바 고정장치(100)가 다수 개 설치되며, 파이프 형상의 긴 안전바(200)는 2개 이상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를 통해 일정 거리마다 지지체결됨으로써, 봉 형상의 긴 안전바(200)가 지붕(300) 위에 견고히 고정된다.
(b) 지지브라켓 + 지붕 설치예
도 6은 지붕 위에 지지브라켓(400)을 지붕(300) 위에 추가한 경우의 설치 예이다. 지붕(300)의 강도가 약한 경우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를 설치하면 지붕(300) 강도 약화로 인해 지붕(300)이 깨지거나 갈라질 수 있으므로, 지붕(300)의 일부분에 걸쳐 지붕의 굴곡에 대응되는 지지브라켓(400)을 지붕 위에 덧댄 후,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를 그 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400)은 지붕(300)의 하부에 덧댄 후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지붕(300)의 상하부에 모두 덧댄 후에 안전바 고정장치(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지지브라켓(400)은 강도 보강용이므로 금속 소재가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c) 지지브라켓 + 지붕 + 지지대 설치예
도 7은 하부로부터 지지대(500), 지붕(300) 및 지지브라켓(400)을 관통하여 몸체고정볼트(40)가 관통 체결되면서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가 설치된 실시예이다. 통상 지붕(300)을 설치할 때 일종의 서까래 역할을 하는 지지대(500)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지지대(500)가 설치된 부위 상부에 본 발명의 안전바 고정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하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몸체고정볼트(40)가 지지대(500), 지붕(300) 및 지지브라켓(400)을 지나, 하부몸체(30) 및 상부몸체(20)를 체결고정하며, 안전바 고정장치(100)가 설치된 후, 안전바 삽입공(22)에 안전바(200)를 삽입한 후, 안전바 고정볼트((10)로 안전바(200)를 고정한다.
방수 기능을 갖는 안전바 고정장치 실시예
안전바 고정장치(100)가 지붕(300)을 통과하여 몸체고정볼트(40)에 의해 설치되기 때문에 지붕(300)에 몸체고정볼트(40)의 통과로 인하여 지붕과 몸체고정볼트(40)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빗물이 샐 수 있어, 안전바 고정장치(100)에 방수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 설명한 실시예의 안전바 고정장치(100)에서도 하부몸체(30)와 지붕(300) 사이, 하부몸체(30)와 지지브라켓(400) 사이 또는 지지브라켓(400)과 지붕(300) 사이에 오링, 고무패킹 등의 공지된 방수 부재를 추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수 부재를 추가하는 것은 공지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토글볼트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링, 고무패킹을 사용하지 않고 방수 기능을 갖기 위하여, 몸체고정볼트(40)의 일 예로서 방수용패킹을 갖는 토글볼트(6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방수용패킹(64)을 갖는 토글볼트(60)의 일 실시예로서, 토글볼트(60)는 방수기능을 갖는다는 점 이외에 전술한 몸체고정볼트(40)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서 토글볼트(60)는 몸체고정볼트(40)의 다양한 종류 중 하나로서, 몸체고정볼트(40)가 토글볼트(60)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으로 사용된 점을 명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몸체고정볼트(40)의 일 예로서 토글볼트(6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몸체(61)와 일단에 형성된 회전축(63) 및 회전축(6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윙부(62)를 포함한다, 토글볼트(60)는 종래 다양한 형상으로 알려진 볼트이므로 토글볼트(6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토글볼트(60)의 몸체 중간에 방수용패킹(6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수용패킹(64)은 도 8과 같이 상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반형이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형일 수 있으나, 방수용패킹(64)은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도 9는 토글볼트(60)를 몸체고정볼트(40)로 사용한 경우의 설치예로서, 지지브라켓(400), 지지대(500)를 모두 구비한 구조물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지지대(500)와 지지브라켓(400)이 없는 경우에도 토글볼트(60)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대(500), 지붕(300) 및 지지브라켓(400)이 적층된 구조물에서, 도 8b와 같이 토글볼트(60)를 일직선화한 상태에서, 먼저 토글볼트(60)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윙부(62)가 지붕(300)-> 지지대(500)의 순서로 통과하도록 하여 윙부(62)가 지지대(500)의 바닥을 통과하면 윙부(62)를 도 8의 (a)와 같이 볼트몸체(61)와 수직이 되도록 펼친 후, 펼쳐진 윙부(62)가 지지대(50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토글볼트(60)의 볼트몸체(61)가 지지브라켓(400), 하부몸체(30), 상부몸체(20) 순으로 .,체결된다. 토글볼트(60)의 방수용패킹(64)은 지지브라켓(400)의 하부에 위치하되, 특히, 방수용패킹(64)의 상부는 지지브라켓(400)과 지붕(300) 사이에 있고, 나머지 방수용패킹(64)의 하부는 지붕(300)에 걸쳐져 있을 수 있다. 물론 방수용패킹(64)이 하부몸체(30)와 고정브라켓(400)의 사이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방수용패킹(64)의 최종 위치는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다.
10 : 안전바 고정볼트 20 : 상부몸체
21 : 제1볼트홀 22 : 안전바 삽입공
23 : 제2볼트홀 24 : 상단캡
30 : 하부몸체 31 : 너트홀
32 : 제3볼트홀 40 : 몸체고정볼트
50 : 너트 60 : 토글볼트
61 ; 볼트몸체 62 : 윙부
63 : 회전축 64 : 방수용패킹
200 : 안전바 300 : 지붕
400 : 지지브라켓 500 : 지지대

Claims (7)

  1. 안전바가 측면에 관통 삽입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되는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로부터 체결되어 안전바 삽입공에 삽입된 안전바를 고정하는 안전바 고정볼트;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까지 체결되는 몸체고정볼트; 및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몸체고정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몸체는:
    상부몸체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으로서, 안전바가 끼움 결합되는 안전바 삽입공;
    상부몸체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안전바 삽입공까지 연통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바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제1볼트홀; 및
    상부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2볼트홀을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너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하부몸체 내부에 제공하는 너트홀; 및
    상기 너트홀 상부에 하부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몸체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3볼트홀을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몸체고정볼트는 토글볼트이며, 토글볼트의 볼트몸체 중간에 방수용패킹을 더 갖는, 안전바 고정장치.
  5. 구조물;
    상기 구조물 위에 설치된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안전바 고정장치; 및
    상기 안전바 고정장치의 안전바 삽입공에 삽입 설치되는 안전바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바 고정장치의 몸체결합볼트가 상기 구조물의 하부로부터 관통 나사결합하여 하부몸체, 너트 및 상부몸체와 순서대로 체결하며,
    상기 안전바 고정볼트가 안전바 삽입공에 삽입된 안전바를 고정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안전바 고정시스템은 상기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굴곡을 갖는 강성 재질의 지지브라켓이 구조물 위에 덧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안전바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안전바 고정시스템은 상기 구조물 아래에 지지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몸체고정볼트가 지지대의 하부로부터, 구조물, 지지브라켓, 하부몸체, 너트 및 상부몸체의 순서로 체결되는, 안전바 고정 시스템.
KR1020220026602A 2022-03-02 2022-03-02 안전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 KR102648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602A KR102648252B1 (ko) 2022-03-02 2022-03-02 안전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602A KR102648252B1 (ko) 2022-03-02 2022-03-02 안전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187A KR20230130187A (ko) 2023-09-12
KR102648252B1 true KR102648252B1 (ko) 2024-03-18

Family

ID=8801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602A KR102648252B1 (ko) 2022-03-02 2022-03-02 안전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2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12Y1 (ko) 2001-10-19 2002-01-23 김형길 파이프 홀더
KR100710835B1 (ko) 2005-11-23 2007-04-23 주식회사 경도공업 파이프 고정용 클램핑 장치
JP4126125B2 (ja) 1998-11-30 2008-07-30 丸茂電機株式会社 クランプハンガ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55B1 (ko) 2019-12-13 2022-03-23 임홍규 스마트 안전고리
KR20210158664A (ko) 2020-06-24 2021-12-31 한국전력공사 고소 작업용 안전고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6125B2 (ja) 1998-11-30 2008-07-30 丸茂電機株式会社 クランプハンガー
KR200261412Y1 (ko) 2001-10-19 2002-01-23 김형길 파이프 홀더
KR100710835B1 (ko) 2005-11-23 2007-04-23 주식회사 경도공업 파이프 고정용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187A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3724A (ko) 앵커 플랫폼 조립체
ES2924093T3 (es) Sistema de fijación para montar en techos y uso de dicho sistema de fijación
KR102648252B1 (ko) 안전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바 고정시스템
KR101375896B1 (ko)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누수방지를 위한 체결구
JP4653578B2 (ja) 建築部材取付用金物、建築部材取付構造及び建築部材取付方法
JPS6237880Y2 (ko)
JPS6256306B2 (ko)
JP5354785B2 (ja) 簡易建物
JP4215125B2 (ja) 支柱固定構造
KR102603933B1 (ko) 방수 구조를 가지는 막구조용 시스템 패스너
JP7360771B2 (ja) 支柱構造
EP1062400B1 (de) Stabtragwerk
JP4629253B2 (ja) 支柱設置構造
JP2010048040A (ja) 手摺支柱の取付構造
JPH0334998Y2 (ko)
JP3328398B2 (ja) 屋根上工事用転落防止装置
KR200172587Y1 (ko) 건축용 안전망의 지지구조체
AU2008328532B2 (en) Roof anchor method and apparatus
JP6268400B1 (ja) 屋上利用ルーフ施工システム,ルーフ垂木根太,ルーフ垂木根太全カバータイプ,ルーフ垂木根太セパレートタイプ,ルーフ垂木根太ハーフ&ハーフタイプ,屋上利用型システムルーフ,ルーフトップ接続カバー,h型接続固定バー,屋根押えバー。
KR200180007Y1 (ko) 수직파이프 결속용 클램프
KR100748935B1 (ko) 천막 고정캡
ES2278547B2 (es) Sistema de montaje de una estructura metalica para cubiertas de viviendas.
JP2015094143A (ja) 建物の止水構造
JPH0714481Y2 (ja) 家屋の構造
KR20060076481A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