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487Y1 - 유아용 자동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자동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487Y1
KR200162487Y1 KR2019970008455U KR19970008455U KR200162487Y1 KR 200162487 Y1 KR200162487 Y1 KR 200162487Y1 KR 2019970008455 U KR2019970008455 U KR 2019970008455U KR 19970008455 U KR19970008455 U KR 19970008455U KR 200162487 Y1 KR200162487 Y1 KR 200162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wing
motor
suppor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884U (ko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김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형 filed Critical 김도형
Priority to KR2019970008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48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4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7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resiliently suspended or supported, e.g.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6Driving mechanisms, such as ropes, gear, belt, motor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자동 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구의 사이에 위치되는 회동구를 원형의 회동구로 형성하여 이의 외측면에 받침턱을 일정 길이로 돌설하여 이의 내측면으로 스프링을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여 가동구의 지지돌기에 스프링의 양측 단부를 위치시켜 양측의 스프링의 선단이 지지돌기에 완전 밀착된 상태를 항시 유지하게 하여 그네를 전후로 정확하게 동작시키게 하고, 그네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지지돌기가 일측의 스프링은 가압하고, 타측의 스프링은 가압을 해제 하므로 스프링이 탄력에 의하여 지지돌기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 하면서 모터에 걸리는 과부하를 상쇄시킬 수 있게 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자동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본 고안은 유아용 자동 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에 연동되는 크랭크축에 형성된 볼이 가동구의 안내홈에서 왕복되면서 크랭크의 회전범위 내에서 가동구가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그네가 순간적으로 그네에 많은 하중이 걸리거나 또는 그네가 특정부위에 걸려서 움직이지 못하게 될 경우에도 모터는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나 그네가 움직이지 못함으로 인하여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모터의 손상이 야기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한 유아용 자동 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아용 자동 그네의 모터 보호 장치는, 그네에 연결되는 고정축(108)에 안내홈(101)과 걸림편(104)이 형성된 가동구(102)를 삽입하여 가동구(102)의 하단을 고정축(108)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100) 걸려지도록 하고, 상기 가동구(102)의 상부로 노출되어진 고정축(108)에는, 방사상으로 회동돌기(103)가 형성되고 스프링(110)이 감착되어진 고정돌기(107)가 형성되는 회동구(105)와, 상기 회동구(105)의 축홈(112)에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축돌기(111)가 형성되고 일측 선단으로는 가동구(102)에 형성된 걸림편(104)과 동일하게 걸림편(104a)이 형성된 고정구(106)를 고정구(106)의 내공간에 회동구(105)의 회동동기(103)가 내입토록 되면서 고정축(108)에 순차적으로 삽입토록 하여 가동구의 걸림편(104)과 고정구의 걸림편(104a)이 스프링(110)의 절곡된 선단의 사이에 위치토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터가 구동되면 크랭크축(109)의 선단에 끼워진 볼이 가동구의 안내홈(101)에 끼워진 상태이어서 크랭크의 회전범위내에서 볼이 회전되게 됨으로 가동구(102)가 좌우로 움직이게 되고 볼은 가동구(102)의 안내홈(10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순간적으로 그네에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될 경우에 크랭크축(109)은 계속하여 회전하나 그네의 후레임(200)과 연결된 고정축(108)은 정지되어 있으므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면 안내홈(101)에 삽입된 크랭크축(109)은 계속하여 회전하고자 하는 힘에 의하여 회전할 경우에도 고정축(108)이 고정되어진 상태에서도 가동구(102)의 걸림편(104)이 스프링(110)의 선단(110a)을 가압하게 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또다른 스프링의 절곡된 선단을 가압하게 되면서 감착된 스프링(110)의 양측 선단을 걸림편(104,104a)이 선택적으로 가압되면서 가동구(102)만 좌우로 회전하므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안은 회동구(105)의 외측에 감착된 스프링(110)의 양측 선단이 가동구(102)와 고정구(106)에 돌설된 걸림편(104)의 양측에 완전 밀착된 상태에서 스프링(110)을 가압하면서 고정구(106)를 회동시켜 그네를 전후로 왕복시킬 수 있으므로 스프링(110)의 강도가 너무 약한 경우에는 가동구(102)만 회전 되므로 고정구(106)를 회동시킬 수 없어 결국 그네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스프링(110)의 강도를 너무 강하게 하는 경우에는 걸림편(104)의 양단이 스프링(110)에 완전 밀착되므로 그네를 손쉽게 움직일 수 있으나, 그네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프링(110)의 강도에 의하여 가공구(102)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없으므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며, 또한 스프링(110)의 제조시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여 원형으로 감는 작업이 상당히 어렵고, 제조후에도 스프링(110)이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탄성 작용이 강하게 작용하여 스프링(110)의 양측 선단부가 내측으로 몰입되게 되므로 걸림편(104)의 양단에 강하게 밀착되므로 그네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회동구(105)가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가동구와 고정구의 사이에 위치되는 회동구의 외측면에 지지편을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설하여 이의 내측면에 스프링을 마주보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이 가동구의 지지돌기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그네의 좌우 이동시에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좌우 이동이 용이하게 하면서 그네에 순간적인 많은 하중이 걸릴 결우에도, 모터에 걸리는 과부하를 상쇄 시킬 수 있게 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제작의 용이함과 작동의 정확성을 향상토록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제4도는 모터에 크랭크축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외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종래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7도는 종래고안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내홈 2 : 지지돌기
3 : 내공간 4 : 지지편
5 : 끼임홈 6 : 회동돌기
7 : 스프링 8 : 회동구
9 : 회동축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그네에 연결되는 고정축(108)에 안내홈(101)과 걸림편(104)이 형성된 가동구(102)를 삽입하여 가동구(102)의 하단을 고정축(108)의 하단에 형성된 스토퍼(100) 걸려지도록 하고, 상기 가동구(102)의 상부로 노출되어진 고정축(108)에는, 방사상으로 회동돌기(103)가 형성되고 스프링(110)이 감착되어진 고정돌기(107)가 형성되는 회동구(105)와, 상기 회동구(105)의 축홈(112)에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축돌기(111)가 형성되고 일측 선단으로는 가동구(102)에 형성된 걸림편(104)과 동일하게 걸림편(104a)이 형성된 고정구(106)를 고정구(106)의 내공간에 회동구(105)의 회동돌기(103)가 내입토록 되면서 고정축(108)에 순차적으로 삽입토록 하여 가동구의 걸림편(104)과 고정구의 걸림편(104a)이 스프링(110)의 절곡된 선단의 사이에 위치토록 되어 있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가동구(12)와 고정구(11)의 사이에 위치되는 회동구(8)의 외측면에 지지편(4)을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설하여 이의 내측면에서 스프링(7)을 서로 마주보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7)이 가동구(12)의 지지돌기(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가동구(12)가 좌우로 이동을 시작하면 일측의 스프링(7)은 가압되고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하여 가동구(12)를 밀어내게 됨으로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는 반복되는 그네의 좌우 이동시에 스프링(7,7a)의 탄력에 의하여 좌우 이동이 용이하게 하면서 그네에 순간적인 많은 하중이 걸릴 경우에도, 모터에 걸리는 과부하를 상쇄 시킬 수 있게 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모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가동구가 고정축에서 공회전하면서 상쇄 하므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폐단이 전혀 없어 그네를 보다 안전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유아용 자동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에 있어서, 가동구(12)와 고정구(11)의 사이에 위치되는 회동구(8)의 외측면에 지지편(4)을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설하여 이의 내측면에서 스프링(7)을 서로 마주보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7)이 가동구(12)의 지지돌기(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동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KR2019970008455U 1997-04-22 1997-04-22 유아용 자동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KR200162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455U KR200162487Y1 (ko) 1997-04-22 1997-04-22 유아용 자동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455U KR200162487Y1 (ko) 1997-04-22 1997-04-22 유아용 자동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884U KR19980063884U (ko) 1998-11-25
KR200162487Y1 true KR200162487Y1 (ko) 1999-12-15

Family

ID=1949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455U KR200162487Y1 (ko) 1997-04-22 1997-04-22 유아용 자동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4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884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5873Y2 (ja) 可動部材の往復可動装置
US5487284A (en) Washing machine having punch-washing function
KR200162487Y1 (ko) 유아용 자동그네의 모터 과부하 보호장치
KR20090010156U (ko) 로터리 딥 스위치
JPH0332239U (ko)
CN219962774U (zh) 一种翻盖组件及清洁机器人
JPS63113249A (ja) 空気調和機の風向変更装置
JPS5848210Y2 (ja) ウインドワイパ−のスタンド装置
JP2942348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S5932154B2 (ja) カッタ−の往復駆動装置
CN219878034U (zh) 一种减少开盖后摆动的马桶圈
JPS6124030B2 (ko)
KR100403117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JPH0245520Y2 (ko)
JPH0236032Y2 (ko)
JPH0730259Y2 (ja) 電子部品位置決め機
JPS6342731Y2 (ko)
JPH0424500Y2 (ko)
JP2767167B2 (ja) スイッチ装置
JPH0633625Y2 (ja) スイツチ
KR960008297Y1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 제어징치
KR930008710Y1 (ko) 캠코더의 뷰파인더 위치조절장치
JPH0240427Y2 (ko)
JPS5937177Y2 (ja) ミシン
JPH0718875Y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巻取軸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