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149Y1 -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 - Google Patents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149Y1
KR200162149Y1 KR2019960047437U KR19960047437U KR200162149Y1 KR 200162149 Y1 KR200162149 Y1 KR 200162149Y1 KR 2019960047437 U KR2019960047437 U KR 2019960047437U KR 19960047437 U KR19960047437 U KR 19960047437U KR 200162149 Y1 KR200162149 Y1 KR 200162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shoe
sleeve
transmission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491U (ko
Inventor
최영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7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14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44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4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1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32Lubricant guiding means on or inside shift rods or shift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16H2063/324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characterised by slide shoes, or similar means to transfer shift force to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속기의 변속 레버에 의해 싱크로나이저 슬리이브를 조작하는 시프트 포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프트 포크 끝단에 끼워지는 포크용 슈의 양측면에 오일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윤활유가 능동적으로 유입 및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슬리이브와의 접촉시 자체 탄성력이 증대되어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한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Shoe)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변속기의 슬리이브(50) 조작시 소음 저감 및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일면이 개구된 중공의 장방형체로 형성되어 시프트 포오크(40)의 끝단에 외삽된 포오크 슈에 있어서, 상기 포오크 슈(60)는 상기 슬리이브(50)와 접촉되는 양측면에 윤활유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오일 가이드 홈(62)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 가이드 홈(62)의 끝단에는 윤활유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배출 방지턱(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
본 고안은 변속기의 변속 레버에 의해 싱크로나이저 슬리이브를 조작하는 시프트 포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프트 포크 끝단에 끼워지는 포크용 슈의 양측면에 오일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윤활유가 능동적으로 유입 및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슬리이브와의 접촉시 자체 탄성력이 증대되어 변속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한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Sho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는 주행상태에 따라 적절히 자동차의 구동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엔진이 역회전할 수 없으므로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기어장치도 갖추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한 변속기 조작 장치가 구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직접 변속기를 조작하는 변속 레버(1)와, 상기 변속 레버(1)의 작동을 전달하는 컨트롤 축(2)과, 상기 컨트롤 축(2)의 작동을 변속 기어에 전달하는 포오크 레일(3)과, 상기 포오크 레일(3)에 연결되어 싱크로나이저 슬리이브(5)를 작동하는 시프트 포오크(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시프트 포오크(4)는 상기 포오크 레일(3)에 고정되어 슬리이브(5)의 외주면 둘레를 반호형으로 움켜쥐듯이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이브(5)는 변속기의 일종인 도그 클러치식을 개량하여 변속 기어가 맞물리기 더욱 쉽게 만든 싱크로 메시식 변속기의 구성 요소이다. 이와 같은 싱크로 메시식은 운전자가 상기 변속 레버(1)를 조작하면 시프트 레일(3)을 통해 시프트 포오크(4)가 작동되고, 상기 시프트 포오크(4)에 의해 슬리이브(5)가 전후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주축과 스플라인으로 결합된 허브기어(6)가 상기 슬리이브(4)와 결합된다.
상기 슬리이브(5)가 상기 시프트 포오크(4)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싱크로나이저 키(7) 및 싱크로나이저 링(8)을 이동시키고, 상기 싱크로나이저 링(8)이 주축기어(9)에 마련된 싱크로나이저 콘(9a)에 접촉되어 클러치 작용을 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주축과 변속되는 기어를 같은 속도로 만드는 동기 작용을 한 뒤, 구동 기어측과 주축측을 연결하여 변속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시프트 포오크(4)가 변속 레버(1)의 조작으로 전후 이동하면서 슬리이브(5)의 요홈부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시프트 포오크(4)의 접촉으로 인한 일정한 소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변속 조작감이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소음 저감 및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시프트 포오크(4) 끝단에 포크용 슈를 끼워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여기서, 종래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중공의 장방형체로 형성되고, 이 개구된 부분(10a)이 시프트 포오크(4)의 끝단에 씌워지듯이 외삽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포오크용 슈(10)는 슬리이브와 접촉될 때 접촉감이 향상되도록 일반적으로 금속성보다는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성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포크용 슈(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서 변속 레버(1)의 조작으로 시프트 포오크(4)가 슬리이브(5)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될 때 슬리이브(5)의 요홈부(5a)에 보다 완충되게 접촉되면서 시프트 포오크(4)의 조작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는 대부분 그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기 내부에서 비산되는 오일을 자체의 표면에 충분히 도포하지 못하여 슬리이브(5)와의 잦은 접촉으로 수명이 짧아지거나 변속 조작감이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슬리이브와 접촉되는 포크용 슈의 양측면에 오일 가이드 홀을 형성하여 오일이 충분히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변속시 자체의 탄성력을 증대시켜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변속기의 변속 조작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일부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포크용 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시프트 포오크 50 : 슬리이브
50a : 요홈부 60 : 포크용 슈
62 : 오일 가이드 홈 64 : 배출 방지턱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는, 변속기의 슬리이브 조작시 소음 저감 및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일면이 개구된 중공의 장방형체로 형성되어 시프트 포오크의 끝단에 외삽된 포오크 슈에 있어서, 상기 포오크 슈는 상기 슬리이브와 접촉되는 양측면에 윤활유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오일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 가이드 홈의 끝단에는 윤활유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배출 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에 의해 조작되는 시프트 포오크(40)의 끝단에 씌워지도록 일면이 개구된 중공의 장방형체로 형성되고, 슬리이브(50)와 접촉되는 양측면에 윤활유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오일 가이드 홈(62)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 가이드 홈(62)의 끝단에는 윤활유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배출 방지턱(6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오크 슈(60)는 그 양측면에 슬리이브(50)와 접촉 작용이 용이하도록 상기 오일 가이드 홈(62)이 다수 형성되어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포오크용 슈(60)는 슬리이브(50)와 접촉될 때 접촉감이 향상되도록 일반적으로 금속성보다는 내열성을 가진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성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포크용 슈(60)는 시프트 포오크(40)의 양끝단에 외삽되어 슬리이브(50)의 요홈부(50a)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변속기 내부의 오일이 비산되면 상기 시프트 포오크(40)나 슬리이브(50)의 요홈부 등을 통해 양측면의 오일 가이드 홈(62)으로 오일이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포크용 슈(60)의 양측면으로 유입된 오일은 측면 끝단의 배출 방지턱(64)에 의해 상기 오일 가이드 홈(62) 내에 남게 되고, 변속시 시프트 포오크(40)의 이동으로 슬리이브(50)와 접촉시 윤활막이 형성되어 보다 부드럽게 접촉되게 된다.
즉, 상기 포크용 슈(60)는 변속 레버의 조작으로 시프트 포오크(40)가 슬리이브(5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될 때 슬리이브(50)의 요홈부에 오일 가이드 홈(62)에 내재된 오일에 의해 완충되게 접촉되면서 시프트 포오크(50)의 조작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에 의한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는 포크용 슈(60)의 양측면에 오일 가이드 홈(6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이브(50)와의 접촉면에 오일이 충분히 도포되어 변속시 자체의 탄성력을 증대시키고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변속기의 슬리이브 조작시 소음 저감 및 조작감이 향상되도록 일면이 개구된 중공의 장방형체로 형성되어 시프트 포오크의 끝단에 외삽된 포오크 슈에 있어서,
    상기 포오크 슈는 상기 슬리이브와 접촉되는 양측면에 윤활유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오일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 가이드 홈의 끝단에는 윤활유의 배출이 방지되도록 배출 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오크 슈는 그 양측면에 슬리이브와 접촉 작용이 용이하도록 상기 오일 가이드 홈이 다수 형성되어 균일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
KR2019960047437U 1996-12-10 1996-12-10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 KR200162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437U KR200162149Y1 (ko) 1996-12-10 1996-12-10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437U KR200162149Y1 (ko) 1996-12-10 1996-12-10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491U KR19980034491U (ko) 1998-09-15
KR200162149Y1 true KR200162149Y1 (ko) 2000-03-02

Family

ID=1947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437U KR200162149Y1 (ko) 1996-12-10 1996-12-10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1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491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198A (ko) 변속기 및 트랜스퍼 장치의 부변속기
KR200162149Y1 (ko)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용 슈
US784525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KR100522874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
KR100215674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치합 장치의 싱크로나이저 허브
KR100279989B1 (ko) 수동 변속기의 3/4단측 윤활 구조
KR100427875B1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19980034448U (ko) 수동 변속기용 시프트 포크 결합부 윤활 구조
KR100302477B1 (ko) 자동차용수동변속기의시프트레일
KR960007065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리버스아이들기어 이탈방지구조
KR20050042690A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
KR100439990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치합장치
KR200285107Y1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KR20040031200A (ko) 수동변속기용 동기장치
KR100273583B1 (ko) 자동차용 무단변속기의 오일쳄버구조
KR100384316B1 (ko) 차량의 수동변속기 동기장치
KR19990015547U (ko) 수동 변속기용 플라스틱 시프트 포크
KR101601064B1 (ko) 유성 캐리어용 슬리브 유닛
KR19980022154U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리버스 콘
KR19980034894U (ko) 차량의 시프트 레일 장착 구조
KR930007704A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 나이저 허브
KR19990015586U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포크
KR19980029814A (ko) 수동변속기의 도그치
KR19980049704A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체인지 로드 장착구조
KR19980029574A (ko) 자동차 수동변속기용 이너링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