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302Y1 -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 - Google Patents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302Y1
KR200161302Y1 KR2019970027671U KR19970027671U KR200161302Y1 KR 200161302 Y1 KR200161302 Y1 KR 200161302Y1 KR 2019970027671 U KR2019970027671 U KR 2019970027671U KR 19970027671 U KR19970027671 U KR 19970027671U KR 200161302 Y1 KR200161302 Y1 KR 200161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locking
container
lid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510U (ko
Inventor
박준명
Original Assignee
박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명 filed Critical 박준명
Priority to KR2019970027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30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5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뚜껑(11)의 저면에 부착된 패킹(13)이 걸림턱(15a)을 갖는 저장통(15)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뚜껑(11)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편(12)의 걸림공(12a)이 저장통(15)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5b)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진공용기(10)에 있어서, 평판(17b)의 중앙부에 상기 뚜겅(11)과 이격되게 원형관(17a)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15)의 걸림턱(15a)에 평판(17b)의 단부가 지지되어 걸림턱(15a)의 상방에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보강부재(17)는 플라스틱 재질의 진공용기(10)에 내부에 진공을 걸어 내부압력을 낮추더라도 보강부재(17)에 형성된 평판(17b)의 측면에 저장통(15)의 상단이 접촉되어 저장통(15)이 내부로 수축되지 않게하여 김치 등의 내용물의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김치 등의 내용물을 장기보존함에 따라 진공용기(1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에 의한 내부압력에 의해 진공용기(10)가 팽창시에 보강부재(17)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가스압을 막아 누름판의 역할을 함으로서 진공용기(10)가 외부로 팽창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Description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
본 고안은 김치 등의 숙성식품을 보관하는 플라스택 재질의 진공용기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진공용기가 내부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를 비롯한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의 장류와 짱아찌류 및 젓갈류 등과 같은 발효에 의해 제조되는 식품의 경우에는 식품의 유통과정에서 호기성 미생물의 분해작용으로 인한 식품의 과숙과 산화를 방지하여 산도를 유지하기위해 진공상태로 포장을 한 후 식품을 유통시켰다.
이와 같은 진공용기는 스테인레스나 유리 등의 밀폐성이 높고 변형율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여, 산도유지를 위해 진공용기 내부에 진공을 걸어 대기압보다 진공용기 내의 압력을 낮게 하여도 진공용기가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 하였다.
그러나,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이 편리한 플라스틱 재질의 진공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진공용기 내부에 진공을 걸어 압력을 낮추면 압력에 의해 진공용기의 저장통과 뚜껑이 내부로 찌그러져서 진공용기 내부에 저장된 김치 등의 내용물의 조직을 파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김치 등의 내용물이 진공용기 내부에서 숙성됨에 따라 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용기내부의 압력이 올라가게 된다. 이때, 스테인레스나 유리 등의 재질로된 용기와 달리 플라스틱 재질로 된 용기의 경우 가스압에 의해 용기가 팽창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보강부재를 저장통의 걸림턱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진공압에 의해 진공용기가 내부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김치등의 숙성과정에서 생긴 가스압에 의해 진공용기가 외부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로, 도 2a는 보강부재가 하단에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2b는 보강부재가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진공용기 11 : 뚜껑
12 : 걸림편 12a : 걸림공
13 : 패킹 15 : 저장통
15a : 걸림턱 15b : 걸림돌기
17 : 보강부재 17a : 원형관
17b : 평판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뚜껑(11)의 저면에 부착된 패킹(13)이 걸림턱(15a)을 갖는 저장통(15)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뚜껑(11)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편(12)의 걸림공(12a)이 저장통(15)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5b)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진공용기(10)에 있어서, 평판(17b)의 중앙부에 상기 뚜겅(11)과 이격되게 원형관(17a)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15)의 걸림턱(15a)에 평판(17b)의 단부가 지지되어 걸림턱(15a)의 상방에서 유동될 수 있게 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용기(10)는 뚜껑(11)과 저장통(15) 및 보강부재(17)로 구성된 것이다.
뚜껑(11)은 직사각형상으로 패킹(13)이 저면의 둘레에 부착되고, 외측에 다수의 걸림공(12a)을 갖는 걸림편(12)이 형성된 것이다.
저장통(15)은 내부에 김치 등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빈공간을 갖고, 내측 둘레에는 걸림턱(15a)이 구비되며, 걸림턱(15a)의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단부 외측에는 상기 걸림편(12)의 걸림공(12a)이 끼워지는 걸림돌기(15a)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11)의 패킹(13)이 상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보강부재(17)는 모서리가 저장통(15)의 걸림턱(15a)에 지지되어 걸림턱(15a)과 뚜겅(11)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평판(17b)과, 상기 뚜껑(11)의 저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평판(17b)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관(17a)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진공이라 함은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보강부재(17)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용기(10)에 김치 등의 내용물을 담기 위해서는, 저장통(15)의 외측에 다수개 형성된 걸림돌기(15b)에 걸림공(12a)이 끼워진 걸림편(12)을 걸림돌기(15b)로부터 각각 분리 시킨다. 그러면 뚜겅(11)이 저장통(15)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저장통(15)에서 보강부재(17)를 꺼낸다. 그런후에, 저장통(15)에 김치 등의 내용물을 담는다.
이와같이, 저장통(15)에 김치 등의 내용물을 담은 후에는 보강부재(17)를 저장통(15)에 삽입한다. 이때, 보강부재(17)에 형성된 평판(17b)의 모서리가 걸림턱(15a)에 걸려 내용물이 저장통(15)의 하단으로 내려가지 않고 지지된다. 그런후에, 뚜겅(11)을 덮고 뚜겅(11)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편(12)을 회동시켜 걸림공(12a)이 걸림돌기(15b)에 걸려 뚜껑(11)이 저장통(15)에 고정되게 한다. 이때, 뚜겅(11)의 저면에 부착된 패킹(13)이 저장통(15)의 상단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용기(10)에 진공을 걸어 내부압력을 낮게 하면, 플라스틱재질의 진공용기(10)의 저장통(15)이 내부로 수축하게 된다. 이때, 저장통(15)이 내부로 수축 할려고 하면, 저장통(15)의 상단이 평판(17b)의 측면과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수축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저장통(15)이 변형되어 김치 등의 내용물의 조직을 파괴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한편, 김치 등의 내용물이 진공용기(10)에 장기간 보존 되면 호기성 세균에 의한 분해작용으로 김치 등의 내용물이 숙성되면서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이, 진공용기(10)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면 가스압에 의해 진공용기(10)가 외부로 팽창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용기(10)내의 걸림턱(15a)에 지지되는 보강부재(17)가 가스압에 의해 걸림턱(15a)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보강부재(17)가 상방으로 이동하다가 보강부재(17)에 형성된 원형관(17a)의 상면이 뚜겅(11)의 저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가스압이 보강부재(17)의 평판(17b)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더라도 뚜겅(11)에 원형관(17a)이 지지되는 보강부재(17)가 가스압을 지탱함으로서 진공용기(10)가 외부로 심하게 팽창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라스틱 재질의 진공용기(10)에 내부에 진공을 걸어 내부압력을 낮추더라도 보강부재(17)에 형성된 평판(17b)의 측면에 저장통(15)의 상단이 접촉되어 저장통(15)이 내부로 수축되지 않게하여 김치 등의 내용물의 조직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김치 등의 내용물을 장기보존함에 따라 진공용기(10)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에 의한 내부압력에 의해 진공용기(10)가 팽창시에 보강부재(17)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가스압을 막아 누름판의 역할을 하여 진공용기(10)가 외부로 팽창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Claims (1)

  1. 뚜껑(11)의 저면에 부착된 패킹(13)이 걸림턱(15a)을 갖는 저장통(15)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뚜껑(11)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편(12)의 걸림공(12a)이 저장통(15)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5b)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진공용기(10)에 있어서,
    평판(17b)의 중앙부에 상기 뚜겅(11)과 이격되게 원형관(17a)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통(15)의 걸림턱(15a)에 평판(17b)이 지지되어 걸림턱(15a)의 상방에서 유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
KR2019970027671U 1997-10-06 1997-10-06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 KR200161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671U KR200161302Y1 (ko) 1997-10-06 1997-10-06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671U KR200161302Y1 (ko) 1997-10-06 1997-10-06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510U KR19990014510U (ko) 1999-05-06
KR200161302Y1 true KR200161302Y1 (ko) 1999-12-01

Family

ID=1951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671U KR200161302Y1 (ko) 1997-10-06 1997-10-06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3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69B1 (ko) 2007-03-26 2009-02-06 권혁주 권총형 가스분사기
KR101391445B1 (ko) * 2011-07-28 2014-05-07 지종민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제빵용 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69B1 (ko) 2007-03-26 2009-02-06 권혁주 권총형 가스분사기
KR101391445B1 (ko) * 2011-07-28 2014-05-07 지종민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제빵용 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510U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6673B2 (ja) 腐敗しやすい製品を密閉するための真空生成装置および使用方法
EP1154931B1 (en)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US5564480A (en) Vacuum canister
US4513015A (en) Method of sealing a container and removing air headspace
US4892230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KR0116509Y1 (ko) 음료수의 맛을 보존하는 공기압축식 뚜껑
JP2008050059A (ja) 急速冷凍用容器及びシール
KR200161302Y1 (ko) 진공용기에 설치되는 보강부재
EP1148804B1 (en) Lid for recipients
KR200438848Y1 (ko) 발효가스 배출용 패킹
WO198400074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cuum containers
KR0164651B1 (ko) 김치 진공포장용기 뚜껑
EP1866214B1 (en) Improved food packaging container
EP1531132B1 (en) Membrane for closing containers and product preservation device comprising said membrane
KR100191929B1 (ko) 발효식품의 포장용기
WO2002068277A3 (en) Reusable vacuum lid
KR100405964B1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숨쉬는 발효식품 용기
KR200387521Y1 (ko) 밀폐용기
GB2298639A (en) Valved food storage container; hand evacuating pump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102383267B1 (ko) 장 수납통 뚜껑 조립구조
KR20200000131U (ko) 식품숙성용기의 가스배출 마개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200385831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WO2002053002A1 (en) Gas exhaust device for food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