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0218Y1 -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218Y1
KR200160218Y1 KR2019970033571U KR19970033571U KR200160218Y1 KR 200160218 Y1 KR200160218 Y1 KR 200160218Y1 KR 2019970033571 U KR2019970033571 U KR 2019970033571U KR 19970033571 U KR19970033571 U KR 19970033571U KR 200160218 Y1 KR200160218 Y1 KR 200160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leaner
contact portion
control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160U (ko
Inventor
송정곤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70033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21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0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1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덕트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좌우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륜과, 상기 좌우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기에 의해 본체의 이동이 조종되어 청소를 수행하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최외주부를 둘러싸도록 부착되어 본체의 배치 상태를 감지하도록 압압력에 의해 접점되는 전기 접점부가 구비된 밴드형상의 다층자재로 이루어진 위치감지수단과, 상기 위치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본체위치를 판정하여 본체위치에 대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본체의 회전각을 제어하도록 상기 구동륜의 타측에 장착된 보조륜을 구동시키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보조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서, 청소기가 피청소부위의 측벽과 부딪힐 경우, 청소기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이미 이동한 피청소면을 중복이동하지 않도록 구동륜을 자동제어함으로서, 청소시간을 단축시켜 청소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소비전력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본 고안은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소기가 피청소부위의 측벽과 부딪힐 경우, 청소기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이미 이동한 피청소면을 중복이동하지 않도록 구동륜을 자동제어함으로써, 청소시간을 단축시켜 청소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청소기를 이동시켜 가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청소부위를 자체 프로그램 및 원격제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가 지속적으로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51)가 형성된 흡입덕트(53)와, 상기 흡입덕트(53)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수집시키는 집진팩(45)이 설비된 집진실(62)과, 상기 집진실(62)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43)가 배설된 구동실(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원격제어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좌우륜 구동모터(132, 134)에 의해 회전되어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100)에 축결합된 좌우륜(42, 44)과, 상기 좌우륜(42, 44)과 더불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며, 상기 좌우륜(42, 44)과 이격되게 본체(1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구름 롤러형 보조륜(49)이 설비되어 있다.
또한, 부호(10)는 원격조정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100)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조이스틱으로서,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간접점(11)과, 각 방향(전방, 후방 및 좌우측 방향)에 대한 접점(12, 13, 14, 15)과, 동작키(16)와, 인코더(17) 및 송신부(1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정간접점(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이스틱의 손잡이가 조작되면, 그에 따라 이동되어 각 방향에 대한 접점(12, 13, 14, 15)과 접촉하게 되고, 각 방향에 대한 접점(12, 13, 14, 15)중에 조정간접점(11)과 접한 접점으로부터 접점신호가 인코더(16)로 제공되며, 동작키(1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키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인코더(17)는, 상기 동작키(16)으로부터의 동작키신호와 각 접점(12, 13, 14, 15)로부터의 접점신호를 인코딩하여 송신부(18)로 제공하고, 송신부(18)는 인코더(17)를 통해 인코딩된 신호를 반송파에 실어 본체(100) 측으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115)와, 제어부(120)와, 좌우륜 구동모터(132, 134)와, 보조륜 구동모터(139) 및 흡입모터구동부(136)으로서 구성되는 바, 상기 디코더(115)는, 원격조정기(10)로부터 송출되는 원격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하고, 제어부(120)는 디코더(115)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청소 수행동작 및 상기 본체(100)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 좌우륜 구동모터(132, 134)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의 구동 제어신호에 의해 본체(100)의 좌우륜(42, 44)을 구동하며, 상기 흡입모터구동부(136)는 제어부(120)로부터의 구동 제어신호에 의해 흡입모터(43)를 구동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는, 청소시 청소기가 피청소부위의 측벽과 부딥혀서 청소기의 배설위치가 변위되어 다음의 청소부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로 원격제어기를 조작하여 변위된 위치에서 다음의 청소부위를 청소하기 위한 정렬된 위치로 바로잡은 후 청소기를 작동시켜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랐다.
이로 인해, 장시간의 청소 시간이 소요되어 청소 효율이 저하됨과 동시에 소비전력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청소시, 청소기가 피청소부위의 측벽과 부딪힐 경우, 청소기의 위치를 자동적으로감지하여 이미 이동한 피청소면을 중복이동하지 않도록 구동륜을 자동제어함으로써, 청소를 요구하는 부위로 청소기를 자동적으로 정렬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함에 따라 청소시간을 단축시켜 청소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에 의하면,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덕트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좌우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륜과, 상기 좌우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기에 의해 본체의 이동이 조종되어 청소를 수행하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최외주부를 둘러싸도록 부착되어 본체의 배치 상태를 감지하도록 압압력에 의해 접점되는 전기 접점부가 구비된 밴드형상의 다층자재로 이루어진 위치감지수단과, 상기 위치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본체위치를 판정하여 본체위치에 대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본체의 회전각을 제어하도록 상기 구동륜의 타측에 장착된 보조륜을 구동시키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보조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위치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청소기의 변위 위치를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렬시킴으로써, 별도의 원격 조작을 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종래의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4도는 종래의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의 원격조정기를 도시한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의 위치감지수단의 조립상태를 부분절개하여 도시한 상태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조정기 16 : 동작키
100 : 본체 120 : 제어부
132, 134 : 좌우륜 구동모터 136 : 흡입모터구동부
139 : 보조륜 구동모터 200 : 위치감지수단
210 : 감지판 211 : 압압돌기부
220 : 가동접점판 221 : 가동접점부
230 : 절연판 231 : 개구부
240 : 고정접점판 241 : 고정접점부
300 : 파형정형화수단 400 : 인코더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은 본 고안에 따른 원격제어 청소기의 캐스터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상태 사시도이며, 도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부호 (100)은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로서, 원격제어로 자동 이동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덕트(53)와, 상기 흡입덕트(53)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수집시키는 집진팩(45)이 설비된 집진실(62)과, 상기 집진실(62)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수단이 배설된 구동실(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본체(100)의 하부 일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어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름이동하는 좌우륜(42, 44)이 축결합되며, 타측에는 본체(100)의 회전방향을 조정하도록 보조륜 구동모터(139)에 의해 회전각이 제어되는 보조륜(49)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10)는 원격조정기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100)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조이스틱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간접점(11)과, 각 방향(전방, 후방 및 좌우측 방향)에 대한 접점(12, 13, 14, 15)과, 동작키(16)와, 인코더(17) 및 송신부(1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정간접점(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이스틱의 손잡이가 조작되면, 그에 따라 이동되어 각 방향에 대한 접점(12, 13, 14, 15)과 접촉하게 되고, 각 방향에 대한 접점(12, 13, 14, 15)중에 조정간접점(11)과 접한 접점으로부터 접점신호가 인코더(16)로 제공되며, 동작키(1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키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인코더(17)는, 상기 동작키(16)으로부터의 동작키신호와 각접점(12, 13, 14, 15)로부터의 접점신호를 인코딩하여 송신부(18)로 제공하고, 송신부(18)는 인코더(17)를 통해 인코딩된 신호를 반송파에 실어 본체(100) 측으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115)와, 제어부(120)와, 좌우륜 구동모터(132, 134), 보조륜 구동모터(139) 및 흡입모터구동부(136)를 구비하되, 상기 디코더(115)는, 원격조정기(10)로부터 송출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하고, 제어부(120)는 디코더(115)로부터 제공되는 원격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청소 수행동작 및 상기 본체(100)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 좌우륜 구동모터(132, 134)는 상기 제어부(120)로부터의 구동 제어신호에 의해 본체(100)의 좌우륜(42, 44)을 구동하며, 상기 흡입모터구동부(136)는 제어부(120)로부터의 구동 제어신호에 의해 흡입모터(43)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최외주부에는 실내의 측벽에 부딪힐 경우 그 충돌력에 의해 압압되어 전기 접점이 이루어져 충돌부위의 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인코더 및 제어부에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전기 접점부(221, 241)가 구비된 위치감지수단(200)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위치감지수단(200)은 밴드형상의 다층자재로 이루어져있다.
더욱이, 상기 위치감지수단(200)은 상기 본체(100)가 실내의 측벽에 부딪힐 경우 그 충돌력에 의해 압압되는 일련의 다수의 압압돌기부(211)가 순차 형성된 감지판(210)과, 상기 감지판(210)의 압압돌기부(211)의 압압력에 의해 눌려지는 가동접점부(221)가 적층 형성된 가동접점판(220)과, 상기 가동접점판(220)의 눌려진 가동접점부(221)와 교차 접촉되어 접점을 형성시키도록 다수의 고정접점부(241)가 적층형성된 고정접점판(240)과, 상기 가동접점판(220)의 가동접점부(221)와 상기 고정접점판(240)의 고정접점부(241)를 절연가능하게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압압돌기부(211)에 의해 눌려질 경우 그 부위의 가동접점부(221)와 고정접점부(241)만이 접촉되도록 다수의 개구부(231)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점판(220)과 사이 고정접점판(240) 사이에 배치된 절연판(230)을 포함하는 다층자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감지수단(200)은 양면 접착용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최외주부를 둘러싸게끔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위치감지수단(200)에는 실내 벽면과의 충돌에 의해 변위된 위치를 감지하도록 신호파형을 정형화시키기 위한 파형정형화수단(3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파형정형화수단(300)에는 위치 판정된 접점부의 접점신호가 제공되어 인코딩되도록 인코더(4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코더(400)에는 인코더(400)로부터 제공되는 접점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청소 수행동작 및 상기 본체(100)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좌우륜 구동모터(132, 134) 및 보조륜 구동모터(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는 상기 위치감지수단(200)에 의해 감지된 본체위치를 판정하여 본체위치에 대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120)에 의해 본체(100)의 회전각을 제어하도록 보조륜(49)를 구동시키는 보조륜 구동모터(139)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청소기 본체(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모터(43)가 구동되어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실내의 바닥면상에 산재된 먼지 및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게 된다.
또, 흡입구(51)로 혼입된 먼지와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는 흡입덕트(53)를 통해 집진실(62)내의 집진팩(45)으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일정부위의 청소가 종료되면 청소기의 이용자는 도시되지 않은 원격 조정기의 조작레버(40)를 조작하여 청소기를 다음의 청소부위로 이동시킨다.
또, 다음의 청소부위를 청소할 경우,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좌우륜(42, 44)과 롤러(22)에 의해 본체(100)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일정부위의 청소가 종료될 경우, 사용자가 뒤늦게 원격조정기(10)를 조작하여 청소기가 벽면에 부딪힐 경우, 청소기의 배치상태가 변위되어 다음의 청소부위로 정렬조정하기 위해서 다시 원격조정기(10)를 조작하지 않고도 자체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위치감지수단(200)으로 부터의 접점신호를 토대로 제어부에서 위치를 판정하여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좌우륜 구동모터(132, 134) 및 보조륜 구동모터(139)가 구동되므로, 다음의 청소부위를 청소하기 위한 정렬된 위치로 자동조작되게 된다.
이때, 청소기가 벽면에 부딪힐 경우, 그 충돌력에 의해 위치감지수단(200)의 압압부가 압압되면서 고정접점부(241)에 가동접점부(221)가 접촉되어 파형정형화수단(300)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 상기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파형정형화수단(300)에서는 감지신호를 정형화시켜 인코더(400) 및 제어부(120)에서 용이하게 신호를 판별할 수 있도록 정형화된 신호를 인코더(400)로 송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코더(400)에서는 감지된 정형화 신호를 인코딩하여 제어부(120)로 송출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20)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청소 수행 동작을 신속하게 실행하여 본체(100)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좌우륜 구동모터(132, 134)의 회전비를 조정함과 더불어 보조륜 구동모터(139)를 구동시켜 본체(100)를 방향전환시켜 다음의 청소부위로 자동 정렬시키게 된다.
따라서, 자체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에 의해 충돌시 변위된 청소기의 위치를 다음의 청소부위로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정렬시킴으로써, 원격제어에 의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본체가 용이하게 방향전환되어 청소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수행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에 의하면, 청소기가 피청소부위의 측벽과 부딪힐 경우, 청소기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이미 이동한 피청소면을 중복이동하지 않도록 구동륜을 자동제어함으로써, 청소를 요구하는 부위로 청소기를 자동적으로 정렬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함에 따라 청소시간을 단축시켜 청소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덕트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좌우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륜과, 상기 좌우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기에 의해 본체의 이동이 조종되어 청소를 수행하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최외주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본체의 배치 상태를 감지하도록 압압력에 의해 접점되는 전기 접점부가 구비된 밴드형상의 다층자재로 이루어진 위치감지수단과, 상기 위치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본체위치를 판정하여 본체위치에 대한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본체의 회전각을 제어하도록 상기 구동륜의 타측에 장착된 보조륜을 구동시키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보조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수단은 상기 본체가 실내의 측벽에 부딪힐 경우 그 충돌력에 의해 압압되는 일련의 다수의 압압돌기부가 순차 형성된 감지판과, 상기 감지판의 압압돌기부의 압압력에 의해 눌려지는 가동접점부가 적층 형성된 가동접점판과, 상기 가동접점판의 눌려진 가동접점부와 교차 접촉되어 접점을 형성시키도록 다수의 고정접점부가 적층형성된 고정접점판과, 상기 가동접점판의 가동접점부와, 상기 고정접점판의 고정접점부를 절연가능하게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압압돌기부에 의해 눌려질 경우 그 부위의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만이 접촉되도록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점판과 상기 고정접점판 사이에 배치된 절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수단은 양면 접착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의 최외주부를 둘러싸게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KR2019970033571U 1997-11-24 1997-11-24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KR200160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571U KR200160218Y1 (ko) 1997-11-24 1997-11-24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571U KR200160218Y1 (ko) 1997-11-24 1997-11-24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160U KR19990020160U (ko) 1999-06-15
KR200160218Y1 true KR200160218Y1 (ko) 1999-11-01

Family

ID=1951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571U KR200160218Y1 (ko) 1997-11-24 1997-11-24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2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160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676B1 (ko) 로보트 청소기
US7603744B2 (en) Robotic appliance with on-board joystick sensor and associated methods of operation
US7937800B2 (en) Robotic vacuum cleaner
WO2013108479A1 (ja) 自走式電子機器
CA2935640C (en) Traveling device
JPH09276189A (ja) 遠隔制御自動移動真空清掃機
US20060195224A1 (en)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JPH05224745A (ja) 移動作業ロボット
JP6927661B2 (ja) 電気掃除機
US20060238374A1 (en) Autonomous cleaner
KR200160218Y1 (ko) 전방향 이동형 청소기
KR20100053095A (ko) 진공 청소기
JP6302695B2 (ja) 自走式電子機器
JP2003079552A (ja) 掃除装置
JP3019520B2 (ja) 自走式掃除機
KR200386218Y1 (ko) 기존의 진공 청소기의 진공 흡입기능을 이용한 청소로봇
KR20000002317A (ko) 로봇청소기용 주행로봇
JP2001190461A (ja) 電気掃除機
JPH0734791B2 (ja) 自走式掃除機
JP2857947B2 (ja) 電気掃除機
KR100232105B1 (ko) 자동청소기
KR100201276B1 (ko) 원격제어 진공청소기
JP2006223429A5 (ko)
KR100201275B1 (ko) 원격제어 진공청소기
CN105877605A (zh) 卧式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