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971Y1 -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 Google Patents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971Y1
KR200159971Y1 KR2019970037485U KR19970037485U KR200159971Y1 KR 200159971 Y1 KR200159971 Y1 KR 200159971Y1 KR 2019970037485 U KR2019970037485 U KR 2019970037485U KR 19970037485 U KR19970037485 U KR 19970037485U KR 200159971 Y1 KR200159971 Y1 KR 200159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reflector
control signal
signa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995U (ko
Inventor
박남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7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9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9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리모콘 수신부의 크기가 과대하고,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저감도의 적외선 신호나 각도가 맞지 않은 저감도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경우, 그 신호를 확실하게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텔레비전의 프론트 패널에 리모콘 신호를 안내하는 안내관(140)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관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제 1반사경(120)과 상기 제 1반사경으로부터 일정각도 반사되는 리모콘 신호를 집결하여 반사하는 제 2반사경(130)을 설치하여, 제 2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부(110)가 수신하게 됨으로서, 상기 리모콘 수신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저감도의 리모콘 신호를 민감하게 수신할 수 있게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본 고안은 텔레비전에서 리모콘의 신호를 수신받는 리모콘 수신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텔레비전의 프론트 패널에 리모콘 신호를 안내하는 안내관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관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제 1반사경과 상기 제 1반사경으로부터 일정각도 반사되는 리모콘 신호를 집결하여 반사하는 제 2반사경을 설치하여, 제 2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부가 수신하게 됨으로서, 상기 리모콘 수신부의 크기를 줄일수 있고, 또한, 저감도의 리모콘 신호를 민감하게 수신할 수 있는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Using a reflection mirror concentrating structure of remote control signa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의 음량이나 채널조정 등 여러 기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텔레비전에 본체에 다수의 기능버튼을 설치하고, 그를 조작함으로서 텔레비전의 기능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시청자가 하나의 기능을 조절할 때마다 텔레비전에 설치된 버튼을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편리성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대에는 각 기능을 멀리서도 원격조정할 수 있는 리모콘이 탄생하였다.
이와 같은 리모콘은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동작에 따라 키메트릭스가 작동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버튼을 누르면 상기 키메트릭스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리모콘 마이컴은 상기 키메트릭스 중 어떤 기능의 키가 작동되었는지를 식별하여, 리모콘 마이컴에 접속되어 있는 크리스탈발진기에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크리스탈발진기는 발진하여 신호발신부에 일정의 신호(펄스신호)를 발신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신호발신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는 사용자의 버튼선택(각 기능마다)에 따라 그 펄스의 길이가 다른 상태로 출력된다. 부가하여, 이러한 리모콘에 있어서는 리모콘의 적외선 송출 각도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적외선 송출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각도가 적은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면 적외선을 멀리까지도 보낼 수 있는 반면에 각도가 큰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면 가까운 거리로만 적외선을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모콘에서 발신되는 적외선 신호는 텔레비전의 전면에 부설된 수신부에서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컴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수신부에서 인가받은 전기적신호와 상기 마이컴 내부에 설정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신호와 비교하여 어떤 기능의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희망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모콘 수신부(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 다수의 장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를 스크류(16)가 관통하여 텔레비전의 프론트 패널(10)의 내부로 형성된 상하보스(12)(13)에 고정되며, 리모콘(20)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부(14)에 대향되는 위치의 프론트 패널(10)에는 수광구(17)가 형성되고, 상기 수광구(17)에는 거울로 된 창(19)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리모콘 수신부는 상기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리모콘 신호를 확실하게 수신하기 위해서는 그 크기가 커져야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원거리의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저감도의 적외선 신호나 각도가 맞지 않은 저감도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경우, 그 신호를 확실하게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텔레비전의 프론트 패널에 리모콘 신호를 안내하는 안내관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관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제 1반사경과 상기 제 1반사경으로부터 일정각도 반사되는 리모콘 신호를 집결하여 반사하는 제 2반사경을 설치하여, 제 2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부가 수신하게 됨으로서, 상기 리모콘 수신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저감도의 리모콘 신호를 민감하게 수신할 수 있는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모콘 수신부의 장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론트 패널 102 : 수광구
110 : 리모콘 수신부 120 : 제 1반사경
130 : 제 2반사경 140 : 안내관
142 : 집광구 144 : 개구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리모콘 신호 집속장치는,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와, 상기 리모콘 수신부가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에 있어서, 일정부위에는 리모콘 신호가 관통할 수 있는 수광구가 형성된 프론트 패널; 상기 수광구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방에 리모콘 신호를 안내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개구부보다 작은 집광구가 형성된 안내관; 상기 안내관 내부의 집광구 주위로 설치되는 동시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1반사경; 상기 안내관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1반사경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집결하여 반사시키는 제 2반사경; 상기 안내관의 외부에 상기 집광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 2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받는 리모콘 수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제 1반사경에서 일정각도로 반사되어 상기 제 2반사경에 전달되고, 상기 제 2반사경에서 다시 일정의 각도로 반사되어 상기 집광구를 경유하여 상기 리모콘 수신부에 수신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텔레비전의 프론트 패널(100) 하부에 수광구(102)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광구(102)에는 리모콘 신호를 안내하는 안내관(140)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관(140)은 전방에 리모콘 신호를 안내할 수 있도록 개구부(144)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개구부(144)보다 작은 집광구(14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관(140)의 내부에는 상기 집광구(142) 주위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1반사경(12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관(14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 1반사경(120)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제 2반사경(130)이 설치된다.
상기 제 2반사경(130)은 상기 안내관(140)의 중앙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지지봉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안내관(140)의 외부에는 상기 집광구(142)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리모콘 수신부(110)가 설치되어 상기 제 2반사경(130)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받는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청자의 희망에 따라 리모콘의 상부에 설치된 기능키를 조작하면, 키메트릭스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리모콘 마이컴은 상기 키메트릭스 중 어떤 기능의 키가 작동되었는지를 식별하여, 리모콘 마이컴에 접속되어 있는 크리스탈발진기에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크리스탈발진기는 발진하여 신호발신부에 일정의 신호(펄스신호)를 발신하게 되고, 통상의 발광다이오드가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는 프론트 패널(100) 하부에 설치된 안내관(140)의 개구부(144)를 통과하게 되고, 계속 직진하여 제 1반사경(120)에서 반사되게 된다.
상기 제 1반사경(120)에서 일정각도로 반사된 적외선 신호는 상기 제 2반사경(130)에서 2차로 반사되어, 상기 안내관(140)의 집광구(142)를 통하여 리모콘 수신부(110)에 수신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리모콘 수신부(110)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마이컴에 인가하게 되고, 마이컴은 상기 리모콘 수신부(110)에서 인가받은 전기적 신호와 상기 마이컴 내부에 설정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신호와 비교하여 어떤 기능의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희망기능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반사경 및 제 2반사경(120)(130)의 곡률반경과 제 1 및 제 2반사경(120)(130)사이의 거리등에 의하여 상기 집광구(142)로 보내지는 리모콘 신호의 밀도를 변화시킬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리모콘 수신부(110)의 크기는 상기 제 1 반사경 및 제 2반사경(120)(130)의 곡률반경과 상기 제 1 및 제 2반사경(120)(130)사이의 거리 등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는, 텔레비전의 프론트 패널에 리모콘 신호를 안내하는 안내관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관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제 1반사경과 상기 제 1반사경으로부터 일정각도 반사되는 리모콘 신호를 집결하여 반사하는 제 2반사경을 설치하여, 제 2반사경으로부터 반사되는 리모콘 신호를 리모콘 수신부가 수신하게 됨으로서, 상기 리모콘 수신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저감도의 리모콘 신호를 민감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110)와, 상기 리모콘 수신부(110)가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100)에 있어서,
    일정부위에는 리모콘 신호가 관통할 수 있는 수광구(102)가 형성된 프론트 패널(100);
    상기 수광구(102)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방에 리모콘 신호를 안내하는 개구부(144)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개구부(144)보다 작은 집광구(142)가 형성된 안내관(140);
    상기 안내관(140) 내부의 집광구(142) 주위로 설치되는 동시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1반사경(120);
    상기 안내관(14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1반사경(120)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반사경(120)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집결하여 반사시키는 제 2반사경(130); 그리고,
    상기 안내관(140)의 외부에 상기 집광구(142)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 2반사경(130)으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받는 리모콘 수신부(110)를 구비하여,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제 1반사경(120)에서 일정각도로 반사되어 상기 제 2반사경(130)에 전달되고, 상기 제 2반사경(130)에서 다시 일정의 각도로 반사되어 상기 집광구(142)를 경유하여 상기 리모콘 수신부(110)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KR2019970037485U 1997-12-16 1997-12-16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KR200159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485U KR200159971Y1 (ko) 1997-12-16 1997-12-16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485U KR200159971Y1 (ko) 1997-12-16 1997-12-16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995U KR19990024995U (ko) 1999-07-05
KR200159971Y1 true KR200159971Y1 (ko) 1999-11-01

Family

ID=1951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485U KR200159971Y1 (ko) 1997-12-16 1997-12-16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9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995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0676B2 (en) Sensing system for recognition of direction of moving body
KR940011333B1 (ko) 원격조작장치 및 원격조작방법
KR200159971Y1 (ko)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KR19990024997U (ko) 반사관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KR940009813B1 (ko) 무선식 토수구센서
EP0461349A1 (en) Human body sensing mechanism for an automatic faucet apparatus
CN211066326U (zh) 水雾检测传感控制器及其应用的开关装置和卫浴镜
KR19990024999U (ko)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JP3250779B2 (ja) テレビ近傍聴視防止器
JPH10303722A (ja) 光センシングタッチパネル装置
KR19990028145U (ko) 집광 장치
KR200225989Y1 (ko)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
CN214199080U (zh) 用于空调器的遥控器以及空调器
KR19980036033A (ko) 광버튼 채용 스위치
KR200157324Y1 (ko) 수신율이 확대된 적외선 수신센서
KR19990032575A (ko) 음성신호를 이용한 텔레비전의 기능조절방법
JPH07212318A (ja) 車両用送受信器
KR970011440B1 (ko) 리모콘의 수신장치 구조
KR19980049147U (ko) 리모콘 수신부의 적외선 수신확대장치
KR0120708Y1 (ko) 리모콘의 오동작 표시장치
KR100205816B1 (ko) 키패드 입력수단을 갖는 리모콘 송/수신 시스템과 패드입력 처리방법
CN110537858A (zh) 水雾检测传感控制器及其应用的开关装置和卫浴镜
KR20050010197A (ko) 시청거리에 따른 텔레비전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제어방법
KR200157917Y1 (ko) 전자제품 리모콘의 수신센서용 반사경장치
JPS5825543Y2 (ja) 反射形光電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