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989Y1 -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989Y1
KR200225989Y1 KR2020000013021U KR20000013021U KR200225989Y1 KR 200225989 Y1 KR200225989 Y1 KR 200225989Y1 KR 2020000013021 U KR2020000013021 U KR 2020000013021U KR 20000013021 U KR20000013021 U KR 20000013021U KR 200225989 Y1 KR200225989 Y1 KR 200225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ave
remote control
transparent cover
rear en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삼
정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이씨
Priority to KR2020000013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9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989Y1/ko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또는 좌우측에 일정 크기의 요부가 형성되는 모니터케이스(10)에 긴밀하게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전파를 포함하여 빛을 투사하는 리모콘 발신신호가 거리 및 각도에 관계없이 빛이 굴절하거나 반사되어 투과될 수 있도록 후단면 중앙에 후단측으로 길게 연결되는 굴절통로관(21)이 일체 연결되는 투명커버(20)와, 상기 투명커버(20)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수신되는 전파를 입력하는 전파감지센서(30)와, 상기 전차감지센서를 둘러쌓으며 내부에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감지되는 전파신호를 제어신호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자제품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파제어기(4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부터 리모콘에서 투사되는 빛이 미약하거나 다른 곳으로 투사되더라도 굴절통로관에 반사 도는 굴절되어 모아지게 되므로 전파감지센서의 감지율을 높여 전자제품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reinfocing structure receiver of remote controller}
본 고안은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커버 후단면에 굴절통로관을 연결하여 리모콘에서 투사되는 빛이 모아져 전파감지센서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리모콘에서 투사되는 빛이 다른 곳으로 투사되더라도 굴절통로관에 반사 또는 굴절되어 모아지게 되므로 전파감지센서의 감지율을 높여 전자제품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은 원격으로 통제하고자 하는 전자제품(텔레비젼 브이티알, 에어콘 선풍기등)에 리모콘 수신기능이 첨가된 장치를 마련하여 작동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리모콘 수신장치는 전원을 끄거나 켜는 것 이외에 예약시간 녹화기능, 시간설정녹화 및 동작 또는 부동작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리모콘은 기능을 확대하여 방범기능, 취침기능, 인체 감지기능을 첨부하여 전자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장치 및 기구들을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리모콘은 사용자의 기능선택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매트릭스와, 상기 키매트릭스에서 선택된 키입력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제어부와, 상기 리모콘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빛을 발광하면서 특정주파수를 실어 투사하는 주파수송신부와, 상기 주파수송신부에서 발신하는 특정주파수를 수신하여 내부의 시스템 콘트롤러에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기가 연결된 전자제품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전자제품등에 설치된 종래의 리모콘수신장치를 첨부도면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도 1은 종래의 리모콘 수신장치의 단면구성도이다.
종래의 리모콘 수신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케이스(1) 하단부 일정부위에 장착되어 내부로 빛이나 전파가 투과될 수 있도록 외부에서부터 결합되어 고정 연결되는 투명커버(2)와, 상기 투명커버(2)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수신되는 전파를 입력하는 전파감지센서(3)와, 상기 전파감지센서(3)를 둘러쌓으며 내부에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감지되는 전파신호를 제어신호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자제품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파제어기(4)가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종래 리모콘 수신장치는 사용자가 리모콘의 다수의 키가 조합된 키매티릭스의 키를 누르게 되면 리모콘에서 특정 주파수 전파가 빛과 동시에 발신하여 모니터케이스(1) 하단부에 설치된 투명커버(2)를 통과하여 전파감지센서(3)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전파감지센서(3)는 감지한 전파를 출력단에 연결된 전파제어기(4)에 일정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전파제어기(4)는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의 측정코드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변환이 이루어지거나 시간예약 및 시간설정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리모콘 수신장치는 리모콘에서 수신되는 전파를 모니터케이스의 투명커버가 모아 전파감지센서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투명커버의 수신각도가 모니터케이스에 형성된 요홈부 높이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리모콘의 수신전파는 투명커버의 좁은 높이에 한정되어 수신되므로 수신각도가 작아 리모콘 조작에 의한 동작이 원할하지 못하는 문제점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투명커버 후단면에 굴절통로관을 연결하여 리모콘에서 투사되는 빛이 모아져 전파감지센서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리모콘에서 투사되는 빛이 미약하거나 다른 곳으로 투사되더라도 굴절통로관에 반사 또는 굴절되어 모아지게 되므로 전파감지센서의 감지율을 높여 전자제품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모콘 수신장치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수신장치의 단면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모니터케이스 2,20;투명커버
3,30;전파감지센서 4,40;전파제어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수신장치의 단면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리모콘의 발신신호 거리 및 각도에 관계없이 굴절시켜 강제 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 수신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부에 일정 크기의 요부가 형성되는 모니터케이스(10)에 긴밀하게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전파를 포함하여 빛을 투사하는 리모콘 발신신호가 거리 및 각도에 관계없이 빛이 굴절하거나 반사되어 투과될 수 있도록 후단면 중앙에 후단측으로 길게 연결되는 굴절통로관(21)이 일체 연결되는 투명커버(20)와, 상기 투명커버(20)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수신되는 전파를 입력하는 전파감지센서(30)와, 상기 전파감지센서(30)를 둘러쌓으며 내부에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감지되는 전파신호를 제어신호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자제품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파제어기(40)가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리모콘의 발신신호 거리 및 각도에 관계없이 굴절시켜 강제 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콘 수신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원거리에서 리모콘의 키를 조절하여 원하는 채널을 변화시키거나 동작시간설정 및 예약등을 선택하게 되면 모니터케이스(10) 하단부에 장착되어 고정된 투명커버(20)는 리모콘에서 주파수가 포함된 빛을 굴절시켜 후단측에 설치된 전파감지센서(30)에 전달하여 전파감지센서(30)가 감지한 신호를 전파제어기(40)가 입력하여 판단한 후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변환, 동작시간설정 또는 예약등을 전자제품의 내부 회로기판을 통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투명커버(20)는 리모콘으로부터 투사되는 빛을 모아 후단측의 전파감지센서(30)를 통해 전파제어기(4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투명커버(20)는 리모콘에서 투사되는 빛의 특성상 매질이 다른 곳으로 투과될 경우 투명커버(20) 후단면에 일체 연결된 굴절통로관(21)에서 빛이 굴절 또는 반사되어 전파감지센서(30)측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굴절통로관(21)은 리모콘으로부터 투사되는 빛이 투명커버(20)의 전방부 모서리부분에 반사되어 전파감지센서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굴절통로관(20)의 유입부에 빛을 모아 전파감지센서(30)에 원할하게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투명커버 후단면에 굴절통로관을 연결하여 리모콘에서 투사되는 빛이 모아져 전파감지센서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리모콘에서 투사되는 빛이 미약하거나 다른 곳으로 투사되더라도 굴절통로관에 반사 또는 굴절되어 모아지게 되므로 전파감지센서의 감지율을 높여 전자제품 사용자로 하여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좌우측 또는 상하위치에 일정 크기의 요부가 형성되는 모니터케이스(10)에 긴밀하게 고정되어 외부로부터 전파를 포함하여 빛을 투사하는 리모콘의 빛을 굴절하거나 반사하여 투과시키는 투명커버(20)와, 상기 투명커버(20)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수신되는 전파를 입력하는 전파감지센서(30)와, 상기 전파감지센서(30)를 둘러쌓으며 내부에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감지되는 전파신호를 제어신호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전파제어기(40)가 연결된 전자제품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20)는 리모콘 발신신호가 거리 및 각도에 관계없이 빛이 굴절하거나 반사되어 투과될 수 있도록 후단면 중앙에 후단측에 굴절통로관(21)이 일체 연결되어 이루어진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
KR2020000013021U 2000-05-08 2000-05-08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 KR200225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021U KR200225989Y1 (ko) 2000-05-08 2000-05-08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021U KR200225989Y1 (ko) 2000-05-08 2000-05-08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989Y1 true KR200225989Y1 (ko) 2001-06-01

Family

ID=7305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021U KR200225989Y1 (ko) 2000-05-08 2000-05-08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9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6052B2 (en) One button multifunction key fob for controlling a security system
US8575537B2 (en) Compact multi-directio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US20100309118A1 (en) Multi-functional wireless control device
US20050024321A1 (en) Handheld remote instruction device for a computer-based visual presentation system
KR200225989Y1 (ko) 리모콘 수신장치의 보강구조
CN108768376A (zh) 家用电器的控制面板和家用电器
JP2003091783A (ja) 防犯用センサ装置
CN202217244U (zh) 触摸屏遥控器
CN113972903A (zh) 压力按钮
GB2391291A (en) Wireless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monitor
JPH11203043A (ja) 超音波ディジタイザ装置
CN214527470U (zh) 一种紧凑式红外感应与机械按键一体式按钮
CN217508740U (zh) 触控装置及家用电器
CN217508737U (zh) 触控装置及家用电器
US6593911B1 (en) Infrared cordless mouse with mouse pad/receiver
JPH1037553A (ja) トランスミッタ
KR200425521Y1 (ko) 유리자동문용 양방향감지 무선송신장치
CN220340402U (zh) 一种距离感应装置及卫浴产品
US20240060281A1 (en) Sensing faucet based on acceleration sensor
KR200159971Y1 (ko) 반사경을 이용한 리모콘 신호 집속구조
CN217138315U (zh) 电动牙刷柄和电动牙刷
JPH07212318A (ja) 車両用送受信器
CN213399513U (zh) 一种测距式可清洗键盘
KR19980036033A (ko) 광버튼 채용 스위치
KR100205816B1 (ko) 키패드 입력수단을 갖는 리모콘 송/수신 시스템과 패드입력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