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842Y1 -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842Y1
KR200159842Y1 KR2019970009852U KR19970009852U KR200159842Y1 KR 200159842 Y1 KR200159842 Y1 KR 200159842Y1 KR 2019970009852 U KR2019970009852 U KR 2019970009852U KR 19970009852 U KR19970009852 U KR 19970009852U KR 200159842 Y1 KR200159842 Y1 KR 200159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grinding
nail
cutter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622U (ko
Inventor
김형규
Original Assignee
김형규
대성금속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규, 대성금속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규
Priority to KR2019970009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842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relating to fee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대략 손톱 깎이 형태를 갖고 손톱의 굳은 살등을 소제, 정리하기 위하여 그 절단날부만 경사지게 형성하여 손톱 소제용 커터의 블레이드 선단 침봉 연마와 경사진 블레이드의 연마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손톱 소제용 커터의 연마장치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한다.
본 고안은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에 의해 일정 속도로 일주 회전하는 이송 체인(22)과, 이 체인(2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커터 지지수단(24)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 체인(22)을 따라 커터 몸체("가")를 순차 이송하여 주는 커터 몸체 이송부(2); 상기 이송 체인(2)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서 순차 공급되는 상기 커터 몸체(가)의 커터날 선단 침봉부("다")를 연마하는 제1연삭부(2); 상기 이송 체인(22)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서 순차 공급되는 상기 커터 몸체("가")의 커터날 정면부("나")를 절삭 연마하기 위한 제2연삭부(4); 상기 이송부의 이송 체인(22) 상면에서 상기 커터 몸체를 적당한 압력으로 압압하면서 회전하는 루프상 벨트(54)로 이루어진 압압부(4)를 포함하여서 되는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본 고안은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략 손톱 깍이 형태를 갖고 손톱의 굳은 살등을 소제, 정리하기 위하여 손톱 소제용 커터의 침봉부와 경사진 날부의 연마를 일련의 연속작동으로 자동 연마되게 한 손톱 소제용 커터의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손톱깎이는 2장의 강철편을 겹쳐서 일단부를 리베팅 또는 코오킹 접합하고, 타단부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대치시켜 자체 탄성력을 가지는 커터 몸체를 성형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를 손톱의 외형에 부합되는 곡면으로 성형된 커터를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손톱깎이의 일종으로 절단블레이드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선단 침봉부를 날카롭게 형성한 손톱 소제용 커터가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손톱 소제용 커터의 제조과정중 선단 침봉부와 경사 블레이드의 연마 가공공정은 종래 알려진 손톱깎이의 가공 및 연마장치로는 연마 가공이 불가능하였다. 그 이유는 경사진 블레이드를 가공 하기 위해서는 종래 알려진 제조장치에서 연삭밴드를 경사지게 하여 가공 해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근본적으로는 손톱 깎이의 블레이드는 약간 만곡진 가공 연마구조를 가지는 데 비하여 상기 알려진 손톱 소제용 커터의 블레이드는 경사진 직선면을 이루어야 하므로 이를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었다. 아울러 이와같은 경사진 블레이드의 선단 침봉부는 날카롭게 형성되므로 이 부분에 대한 연마 역시 하나의 일련 연마장치에서 이루어져야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톱 소제용 커터의 커터 선단 날부 연삭과 커터 선단의 침봉부를 자동으로 연삭 가공할 수 있게 한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 손톱 소제용 연마장치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이송부의 이송체인과 지지부재 및 커터몸체의 조립 및 장착상태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에 커터몸체가 장착되는 상태의 개략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개략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 손톱 소제용 연마장치의 커터몸체의 날부("다")가 연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압착벨트 텐션조절부의 발췌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 손톱 소제용 커터연마장치에 의해 커터몸체의 침봉부("다")가 연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10 : 받침대
12 : 연장부 2 : 이송부
20 : 구동모터 22 : 이송체인
24 : 지지편 26 : 주동스프로킷
28 : 종동스프로킷 202 : 벨트
204 : 주동풀리 206 : 종동풀리
222 : 제 1연결편 224 : 제 2연결편
242 : 간격조절봉 3 : 제 1연삭부
30 : 구동모터 32 : 연삭밴드
34 : 구동롤러 36 : 텐션롤러
38 : 공전롤러 4 : 제 2연삭부
40 : 구동모터 42 : 연마롤
5 : 제 1압착부 50 : 압착부재
51 : 조절판체 52 : 압착편
53 : 조절봉 54 : 압착벨트
55 : 가이드봉 57 : 제 1풀리
58 : 제 2풀리 59 : 가이드공
6 : 텐션조절부 60 : 고정판체
61 : 고정구 62 : 가이드공
63 : 조절봉 64 : 조절판체
65 : 레버 66 : 축
67 : 텐션롤러 7 : 제 2압착부
70 : 압착부재 71 : 조절판체
72 : 고정구 73 : 가이드공
74 : 조절봉 75 : 압착편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구동수단과, 이 구동수단에 의해 일정 속도로 일주 회전하는 엔드레스 체인과, 이 체인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커터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앤드 레스 체인을 따라 커터 몸체를 순차 이송하여 주는 커터 몸체 이송부, 상기 이송 체인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서 순차 공급되는 상기 커터 몸체의 커터날 선단 침봉부를 연마하는 제 1연삭부, 상기 이송 체인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서 순차 공급되는 상기 커터 몸체의 커터날 정면부를 절삭 연마히기 위한 제 2연삭부, 상기 공급부의 이송 체인 상면에서 상기 커터 몸체를 적당한 압력으로 압착하면서 회전하는 루프상 벨트로 이루어진 압착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상기 커터 몸체 이송부의 지지수단은, 상면에 확개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이송체인을 이루도록 평행하게 연결된 연결편과, 이 연결편의 확개부에 걸쳐 지지되면서 간격조절수단을 갖춘 고정편으로 이루어져 연속 연결되는 고정편의 사이 사이에 커터 몸체가 장착되게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연삭부는 루프상 연삭밴드를 각각 모터의 구동롤러와 공전롤러 및 텐션롤러로 이어지는 궤적에 따라 주회시켜서 무한 주행하게 하는 구조로 되고, 상기 제 2연삭부는 상기 이송체인에 의하여 공급되는 커터몸체의 선단 침봉부를 연삭할 수 있는 각도로 구동모터와 함께 설치된 연마롤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부는 기대의 일측에 지지된 압착부재에 매달린 압착편과, 두 개의 풀리와, 원호상의 장공을 따라 잠금, 해제 가능하면서 공회전 풀리를 갖춘 텐션 조절부재와, 상기 풀리 및 공회전 풀리를 따라 일주하는 루프상의 벨트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압착부재는 기대의 연장부에 나사맞춤으로 설치된 조절봉에 연결되면서 조절봉을 형성하여 상기 압착부재의 저면에서 이동 가능한 조절판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커터몸체를 전후방에서 조절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서 작업자는 이송체인의 커터 지지편마다 커터가 외주방향으로 놓이도록 커터 몸체를 끼워 주도록 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커터 지그에 끼워진 커터 몸체는 연마롤을 통과하면서 커터의 선단 침봉부가 모따기 형태로 연마 되고, 이어서 상기 커터 몸체의 경사진 블레이드가 연삭밴드와 접촉하면서 블레이드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 장치를 첨부 도면 제1도 내지 제7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관련된 장치는 기대(1)와, 커터 이송부(2)와, 제 1연삭부(3)와, 제 2연삭부(4)와, 제 1압착부(5)와, 텐션조절부(6)와, 제 2압착부(7)로 구성된다.
먼저 기대(1)는 사각 함체를 이루고 상기 압착부(5), (7), 텐션조절부(6)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대(1) 상면 일측에 받침대(10)로 받쳐지는 조립 연장부(12)를 형성한다. 이 연장부(10)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역 ㄴ자형 단면을 이루고 장공(부호생략)을 볼트(부호생략)로서 조절하여 잠그거나, 해제시켜 앞, 뒤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이 연장부(12)에 후술하는 제 1압착부(5)와, 제 2압착부(7) 및 벨트 텐션 조절부(6)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부(2)는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동모터(20)를 상기 함체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주동풀리(206)와 종동풀리(204)사이에 벨트(202)를 연결하여 동력원을 형성한다. 종동풀리(204)는 구동축(208)을 축선을 따라 연장 축선에는 주동 스프로킷(26)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종동 스프로킷(28)을 설치한 뒤 대응하는 복수의 제 1연결편(222)과 제 2연결편(224)으로 이루어진 이송체인(22)을 설치하여서 된다. 상기 제 2연결편(224)에는 확개부(226)를 형성하여 일정 형태의 지지편(24)를 상기 확개부(226)에 걸쳐 볼팅 고정한다.
이와같은 지지편(24)에는 간격조절봉(242)이 나사맞춤으로 출몰 자재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체인(22)의 전체를 따라 순차 이송되는 연속하는 지지편(24)들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게 되고 이 간격은 상기 간격조절봉(242)로서 커터몸체("가")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제 1연삭부(3)는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이송 체인(22)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서 순차 공급되는 상기 커터 몸체("가")의 커터날 선단 날부("다")를 연마하기 위하여 루프상 연삭밴드(32)를 각각 구동모터(30)의 구동롤러(34)와 공전롤러(38) 및 텐션롤러(36)로 이어지도록 설치하여서 된다.
상기 제 2연삭부(4)역시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이송체인(22)에 의하여 공급되는 커터몸체("가")의 침봉부("나")를 연삭할 수 있는 각도로 구동모터(40)와 함께 설치된 연마롤(4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 1연삭부(3) 및 제 2연삭부(4)는 상기 이송체인(22)에 삽입 고정된 커터몸체("가")의 위치에 맞게 그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실시된다(구체적인 높이조절수단은 알려진 구조이므로 생략한다).
상기 제 1압착부(5)는 제5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이송부(2)의 이송체인(22) 상면에서 상기 커터 몸체("가")를 적당한 압력으로 압착하면서 회전하기 위하여 소정의 궤적으로 일주하는 루프상 벨트(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압착부(5) 및 제 2압착부(6)는 이송체인(22)을 통하여 이송되는 커터몸체("가")를 복수의 벨트(57), (58)사이에 연결된 압착벨트(54)로 압착하기 위한 구조이다.
먼저 제 1압착부(5)는 압착벨트(54)를 안내하는 압착편(52)을 매어달리는 구조로 설치하여 압착벨트(54)를 압착한다. 이와같은 압착부(5)의 상기 압착부재(50)는 그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공(59)를 통하여 고정구(55)를 고정함으로써 조절판체(51)에 고정된다.
즉, 조절판체(51)는 조절봉(55)을 따라 가이드공(59)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조절판체(51)의 후방의 조절봉(53)으로 연장부(12)에서 앞, 뒤 간격이 조절된다.
제 2압착부(7)는 첨부 도면 제7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압착부재(70)는 대략 ㄱ자형 단면을 가지며 그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공(73)을 통하여 고정구(72)가 간격조절되게 조절 판체(71)에 고정된다. 이 압착부재(70)의 상단에는 압착편(75)가 매어달린 형태로 압착 벨트(54)를 눌러 압착력을 조절한다. 상기 조절판체(71)은 조절봉(74)으로 앞, 뒤 간격이 조절된다. 이 제 2압착부(7)는 제 2연마부(4)의 커터 침봉부("나") 연마작동시 커터유동을 방지한다.
텐션조절부(6)는 첨부 도면 제6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기대(1)의 연장부(12)에 고정구(61)과 가이드공(62)에 의하여 간격조절가능한 고정판체(60)를 설치한다. 이 고정판체(60)에는 축(66)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가능하게 원호상 장공(68)을 형성하고 레버(65)를 형성하며, 텐션롤러(67)을 가진 조절판체(64)가 설치된다. 장공(68)에는 조절봉(6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은 첨부 도면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송체인(22)을 회동 시키면 이송체인(22)의 상방에서 압착벨트(54)가 커터몸체("가")를 압착함과 동시에 회전이동된다.
이와같은 이동중 먼저 상기 제 2연삭부(4)의 연마롤(42)에 커터몸체("가")의 침봉부("나")가 모따기 연마된다. 계속하여 연속 이동중인 이송체인(22)이 모따기가 이루어진 커터몸체("가")를 상기 제 1연삭부(3)의 연삭밴드(32)에 접촉시키면서 연삭밴드(32)에 의하여 날부("다")가 연삭된다.
이와같이 날부("다")와 침봉부("나")를 각각 연마가공한 커터몸체("가")는 이송체인(22)의 마지막 회전 구간에서 지지편(24)의 간격이 자동적으로 벌어지면서 낙하되어 적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톱깎이를 제조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행해야 하는 커터 몸체의 양측부 모따기 형태 가공을 행함에 있어서, 작업자는 단지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이송체인의 지지수단에 커터 몸체를 끼워 주는 단순 작업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안전 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없는 간편하고 용이한 작업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또 커터 몸체는 상기 이송체인의 회전에 따라 커터 지지수단에 편승하여 순차 연삭부를 거치면서 선단 침봉부 모따기 형태의 가공과 커터 몸체의 경사날을 연삭 가공하게 되는 일련의 자동 공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므로 제조되는 손톱깎이는 균질한 품질의 것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손톱 소재용 커터 연마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20)와, 구동모터(20)에 의해 일정 속도로 일주 회전하는 이송 체인(22)과, 이송 체인(2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커터몸체("가") 지지편(24)로 이루어져 상기 커터 몸체("가")를 순차 이송하여 주는 커터 몸체 이송부(2), 상기 이송체인(22)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치되어 순차 공급되는 상기 커터 몸체("가")의 커터날 날부("다")와 침봉부("나")를 연마하는 제 1, 제 2연삭부(3), (4), 상기 이송부(2)의 이송 체인(22) 상면에서 상기 커터 몸체("가")를 적당한 압력으로 압착하면서 회전하는 루프상 벨트(54)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제 1, 제 2연삭부(3), (4)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커터 연마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설치되는 제 1, 제 2압착부(5), (7) 및 상기 기대(1)의 연장부(12)에 고정구(61)와 가이드공(62)에 의하여 간격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판체(60)와, 이 고정판체(60)의 축(66)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가능하게 원호상 장공(68)을 형성하고 레버(65)를 형성하며, 텐션롤러(67)를 가진 조절판체(64)와로 이루어진 텬센조절부(6)를 포함하는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몸체 이송부(2)의 지지편(24)은, 커터몸체를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형의 단면을 형성하며, 간격조절봉(242)에 의하여 연속연결되어 이송체인(22)위에 고정한 유연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소제용 연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삭부(3)는, 상기 이송체인(22)에 의하여 공급되는 커터몸체("가")의 날부("다")를 연삭할 수 있는 각도로 루프상 연삭밴드(32)에 설치되고, 이 연삭밴드(32)는 모터(30)의 구동롤러(34)와 공전롤러(38) 및 텐션롤러(36)로 이어지는 궤적에 따라 주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삭부(4)는, 상기 이송체인(22)에 의하여 공급되는 커터몸체("가")의 침봉부("나")를 연삭할 수 있는 각도로 구동모터(40)와 함께 설치된 연마롤(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압착부(5)는, 기대(1)의 연장부(12)에서 조절봉(53)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판체(51)와, 가이드공(59)를 통하여 고정구(55)로써 고정되면서 압착벨트(54)를 안내하는 압착편(52)을 매어달리게 구비한 대략 ㄱ자형 단면의 압착부재(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압착부(7)는, 대략 ㄱ자형 단면을 가지며 그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공(7)을 통하여 고정구(72)가 간격조절되게 조절판체(71)에 고정된 압착부재(70)와, 이 압착부재(70)의 상단에서 매어달려 제 2연마부(4)의 커터 침봉부("나") 연마작동시 커터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압착편(75)으로 이루어진 제 2압착부(7)를 포함하는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KR2019970009852U 1997-05-02 1997-05-02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KR200159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852U KR200159842Y1 (ko) 1997-05-02 1997-05-02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852U KR200159842Y1 (ko) 1997-05-02 1997-05-02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22U KR19980065622U (ko) 1998-12-05
KR200159842Y1 true KR200159842Y1 (ko) 1999-12-01

Family

ID=1950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852U KR200159842Y1 (ko) 1997-05-02 1997-05-02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8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805B1 (ko) * 2004-11-04 2006-09-18 최용식 손톱깍이의 날 연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22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07335B (zh) 一种全自动锯片切割机
EP1053827B1 (en) Belt sander with orbitally translated abrasive belt
KR200159842Y1 (ko) 손톱 소제용 커터 연마장치
CA2670245A1 (en) Alignment mechanism for food separator
US200502723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chining workpieces
EP0052627B1 (en) Abrasive grinding machine
JPH1099064A (ja) 鱗茎菜類の茎根切断処理装置
JP3706886B2 (ja) ブロック肉の薄切り装置
US3594959A (en) Belt grinder with cam-controlled tensioning means
JPH10295350A (ja) 鱗茎菜類の根切断処理装置
JP4231939B2 (ja) スライサーの材料供給装置
KR0140051Y1 (ko) 손톱깎기날 자동이단 연마기
KR100833917B1 (ko) 속도조절과 압력조절이 용이한 모터구동식 곡면가공 자동헤어라인기
JPH11138410A (ja) 丸棒状ワーク端縁のばり取り装置
JP2004222651A (ja) 鱗茎菜類の根切り装置
KR200211359Y1 (ko) 침연마장치
JP2832679B2 (ja) 長葱定寸切断機
CN215433803U (zh) 一种卷材切割装置
JPH11114796A (ja) 丸棒状ワーク端縁のばり取り装置
KR200317145Y1 (ko) 콤바인의 예취날 연삭장치
KR102293383B1 (ko) 롤러스케이트용 바퀴 가공장치
KR100844720B1 (ko) 오징어 탈피장치
JPH11254288A (ja) ワイヤソー
JPH077042Y2 (ja) 棒材のバリ除去装置
KR200228120Y1 (ko) 먹가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