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937Y1 -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937Y1
KR200158937Y1 KR2019970032553U KR19970032553U KR200158937Y1 KR 200158937 Y1 KR200158937 Y1 KR 200158937Y1 KR 2019970032553 U KR2019970032553 U KR 2019970032553U KR 19970032553 U KR19970032553 U KR 19970032553U KR 200158937 Y1 KR200158937 Y1 KR 200158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nut
bolt
bushing
sl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265U (ko
Inventor
이무영
채희조
Original Assignee
이무영
채희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영, 채희조 filed Critical 이무영
Priority to KR2019970032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93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04Skates fastened by means of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3/00Accessories for skates
    • A63C3/04Supporting frames or gliders for ska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저면 아래로 리드가 노출되게 머리를 매입시켜 주조(다이캐스팅)한 알루미늄제 앞, 뒤 고정판(2,3)의 보울트(4)와 브라켓트(5)의 수평부(51)에 주어진 슬리트(52) 내면간 공차를 슬리트(52)의 폭을 넓히는 방법으로 확장하고, 이 공차에 상당하는 두께를 갖고 내주면에 암나사(62)가 형성된 부싱(61)을 너트(6)의 상면에 일체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보울트(4)에 브라켓트(5)의 수평부(51)를 깍지끼움한 후 그 저면쪽에서 부싱(61)의 상단부터 보울트(4)에 체결함으로써 보울트(4)의 리드 대신에 주면이 매끈한 부싱(61)이 브라켓트(5)의 슬리트(52) 내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접촉케 함과 동시에 보울트(4)의 리드와 슬리트(52) 내면 사이의 공간으로 긴밀하게 기어들어가 박힘으로써 브라켓트(5)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하고 작은 토르크로 너트(6)를 죄어도 브라켓트(5)가 튼튼히 고정될 수 있게 하며, 너트(6)의 높이를 줄여서 빙판주행시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킨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이다.

Description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Bracket fixed device for support the blade of skate)
스케이트화의 저면에 보울트일체형 고정판을 올려대고 고정판의 가장자리를 리벳으로 고정한 다음 그 저면으로 노출된 수직형 보울트 ㄱ자형 브라켓트의 수평부를 깍지끼움하고 수평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보울트에 너트를 채워 고정하도록 된 스케이트에 있어서, 브라켓트의 수평부에는 보울트가 관통할 슬리트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리트의 폭은 상기 보울트 리드의 굵기와 엇비슷하지만 구멍끼움에서와 같은 공차가 존재한다. 이때의 공차는 고정판에 대하여 브라켓트와 날이 요동하는 주요 인자이므로 브라켓트를 부착할 때는 너트를 꽉 조이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너트를 아무리 꽉 조였을지라도 얼음을 지치는 과정에서 빙면에 발을 내디딜 때의 충격 때문에 너트가 이완될 가능성은 상존하고, 너트의 체결상태가 약간이라도 이완되면 스케이트화에서 브라켓트가 너덜거린다. 그 결과 날이 수직자세에서 일탈하여 이후의 스케이팅이 곤란해진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려면 브라켓트의 슬리트 내면과 보울트 리드간에 존재하는 공차를 되도록이면 작게 해야 한다. 슬리트의 내면이란 일자형 슬리트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을 말한다. 그런데 이 공차를 줄이면 보울트에 브라켓트의 슬리트를 깍지끼움할 때 보울트의 리드와 슬리트 내면과의 마찰이 일어나서 슬리트 내면이 깎이고 흠집이 나서 헐거워지는 수가 있다.
또, 스케이팅을 하다보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너트가 이완되거나 해서 자기의 체형, 스케이팅 습관에 맞춘 날의 각도가 틀어지는 수가 있는데, 이럴 때마다 스케이팅후 또는 스케이팅에 돌입하기 전에 날의 각도가 틀어지지나 않았는지 확인해 보고, 이때 만약 날의 각도가 어긋났으면 너트를 약간 풀고 브라켓트의 자세를 바로잡아 나시 너트를 조여야 한다. 이럴 때도 보울트의 리드가 브라켓트의 슬리트 내면을 갉아 먹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처럼 보울트의 리드와의 마찰로 인해 브라켓트의 슬리트 내면이 손상되면 슬리트의 폭이 넓어져 보울트 리드와의 사이에서 공차가 커지기 때문에 너트의 조임상태가 약간만 느슨해져도 날의 각도가 원치 않게 틀어지기 쉽고, 이것을 복원하려면 종전보다도 더욱 세게 너트를 조여야 한다. 그럴 때 자칫 스패너를 세게 틀다가는 보울트의 리드와 너트의 나사가 뭉그러지고 너트의 모난 부분이 깎여나가 더 이상 틀 수 없는 곤란한 지경에 빠지곤 한다. 스케이트 수리소가 없는 야외 빙판에서 얼음을 지치는 도중에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여간 큰 낭패가 아닐 수 없다.
한편, 상기 너트는 브라켓트의 고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소정의 높이를 가져야 하고, 보울트의 리드는 거기에 체결된 너트의 저면 아래로 약간은 노출될 정도의 기장을 가져야 하는데, 이들이 조립이 완료된 스케이트의 저면 모양새를 투박스럽게 할 뿐 아니라 빙판에서 주행할 때 공기저항을 키워 빙속을 떨어뜨리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런 점에서, 날이 매달린 브라켓트의 슬리트를 보호하고, 나아가 느슨해진 너트를 되조이는 횟수를 줄여서 오래도록 교체하지 않고 사용하려면 브라켓트의 슬리트를 고정판의 보울트에 깍지끼움할 때 되도록 이면 리드와 슬리트 내면과의 직접접촉을 피하고 그러면서도 보울트 리드와 슬리트 내면간의 공차를 최소화하여 긴밀하게 끼워들게 함으로써 너트를 약한 토르크로 조이더라도 브라켓트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나아가 빙속저하의 원인인 공기저항을 줄이는 방향으로 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저면 아래로 리드가 노출되게 머리를 매입시켜 주조(다이캐스팅)한 알루미늄제 앞, 뒤 고정판의 보울트와 브라켓트의 수평부에 주어진 슬리트 내면간 공차를 슬리트의 폭을 넓히는 방법으로 확장하고, 이 공차에 상당하는 두께를 갖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부싱을 너트의 상면에서 직각되게 일체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보울트에 브라켓트의 수평부를 깍지끼움한 후 그 저면쪽에서 부싱의 상단부터 보울트에 체결함으로써 보울트의 리드 대신에 주면이 매끈한 부싱이 브라켓트의 슬리트 내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접촉케함과 동시에 보울트의 리드와 슬리트 내면 사이로 긴밀하게 기어들어가 박히게 하여 작은 토르크로 너트를 죄어도 브라켓트가 튼튼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며, 너트의 높이를 줄여서 빙판주행시 공기저항의 감소효과를 가져오게 한 스케이트의 날지기용 브라켓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에 의해서 브라켓트가 부착된 스케이트의 측면도
제2도는 일부가 생략된 도 1의 a-a선 단면 확대도
제3도는 암나사가 주어진 부싱일체형 너트의 사시도
제4도는 고정판과 브라켓트 및 부싱일체형 너트의 분해도
제5도는 고정판에 부싱일체형 너트로 브라켓트를 고정한 상태의 단면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앞)고정판 3 : (뒷)고정판
4 : 보울트 5 : 브라켓트
52 : 슬리트 6 : 너트
61 : 부싱 62 : 암나사
제 1, 2 도에서, 스케이트화(1)의 저면에서 앞꿈치와 뒷꿈치에서 저마다 보울트(4)가 일체로 된 앞 고정판(2)과 뒷 고정판(3)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고정판(2,3)은 알루미늄제 다이캐스팅물이며, 보울트(4)는 머리가 고정판(2,3)의 적소에 매입되고 리드만이 판의 저면으로 수직되게 노출되어 있다. 고정판(2,3)의 저면으로는 각 보울트(4)에 깍지끼움된 브라켓트(5)와 브라켓트(5)의 수평부 밑에서 올려끼운 본 고안의 너트(6)가 보이고, 브라켓트(5)의 하단에는 날(7)이 물린 클립(8)이 보울트-너트(9)로 체결되어 있다.
제 3 도에서, 새로운 구조의 너트(6)는 상면에 부싱(6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부싱(61)의 내면에는 너트의 암나사공의 중심과 산형 및 피치가 동일한 암나사(62)가 주어졌으며, 너트(6)는 높이를 종래의 것보다는 낮게 형성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 부싱(61)의 높이, 즉 너트(6)의 상면에서 상단까지의 높이는 슬리트(52)가 주어진 브라켓트(5)의 수평부 두께 미만으로 하여 너트(6)를 최대한 죄어도 부싱(61)의 상단이 고정판(2,3)의 저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체결후에 브라켓트(5)가 너트(6)와 고정판(2,3)의 저면 사이에서 들뜨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므로 바람직스럽지 않다.
너트(6)의 두께가 줄어들면 아무래도 보울트(4)에 대한 체결력의 약화가 불가피하고 브라켓트(5)의 고정력 또한 전보다 저하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부싱(61)이 줄어든 너트(6)의 높이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길이를 갖고 있으므로 본디 너트의 체결력을 보완하고도 남음이 있다.
제 4 도에서, 스케이트화(1)의 저면에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부착된 고장판(2,3)의 각 보울트(4)는 그 리드에 브라켓트(5)의 수평부(51)에 주어진 슬리트(52)를 깍지끼움하고 저면쪽에서 너트(6)를 최대한 죄었을 때 리드의 선단이 너트(6)의 저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범위내로 설정한다. 이는 너트(6)의 높이를 낮추는 것과 함께 주행시의 공기저항을 줄이고 외양도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는데 긴요하다.
제 5 도와 같이, 각 고정판(2,3)의 보울트(4)에 브라켓트(5)의 수평부(51)에 난 슬리트(52)를 깍기끼움한다. 이러한 끼움의 시발은 슬리트(52)의 터진 쪽이다. 그런 다음에 수평부(51) 아래쪽에서 부싱(61)이 위를 보게 한 상태로 너트(6)를 맞추고 조이면 브라켓트(5)가 고정판(2,3), 종국적으로는 스케이트화(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슬리트(52)의 내면에는 종전의 보울트(4)의 거친 리드 대신에 외주면이 매끈한 부싱(61)이 닿으므로 부드럽게 미끄러져 들어가고 나사산에 슬리트 내면이 긁히거나 깎이는 등의 피해가 없고, 부싱(61)이 보울트(4)의 리드와 슬리트(52)내면간의 공차를 메꿔주므로 너트(6)를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도 슬리트(52)의 폭방향으로 브라켓트(5)가 요동칠 우려도 없다.
이처럼 암나사가 주어진 부싱(61)이 일체로 된 너트(6)로 브라켓트(5)를 고정했을 때 기존의 너트보다도 높이가 비록 낮아지긴 했어도 높이칫수가 줄어든 것 이상으로 부싱(61)이 길어 체결력이 전보다 높은데다 고정판(2,3)의 저면 가까이에 너트가 체결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부싱(61)때문에 고정판(2,3)에 대한 브라켓트(5)의 고정각도는 전에 없이 강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는 브라켓트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보울트의 리드 길이와 너트의 높이를 단축하고 이로 인해 줄어든 두 요소간의 체결폭을 너트에 일체화한 암나사부 부싱으로 갈음한 것으로서, 고정판 저면으로부터 슬리트를 통하여 아주 가까운 보울트의 리드에 너트에 체결이 가능하므로 종전보다도 더욱 튼튼하게 브라켓트를 부착할 수 있다.
또, 부싱은 보울트의 리드에 브라켓트의 슬리트를 깍지끼움할 때 상호 접촉을 막아서 나사산에 슬리트의 내면이 긁히거나 깎여나가서 헐거워지던 폐단이 사라지고, 이에 따라 헐거워진 슬리트 때문에 너트를 더욱 세게 보이는데서 비롯되던 너트의 손상, 보울트와 너트의 나사산 뭉그러짐같은 피해도 예방할 수 있다.
너트에 일체로 된 부싱은 또한 브라켓트의 슬리트 내면에 긴밀하게 직접 접촉하여 보울트 리드와의 공차를 빈틈없이 메꿔서 보울트의 리드상에서 브라켓트의 지지력을 높여 슬리트 폭방향으로의 요동가능성이 최소로 되고, 이에 따라 너트를 약간만 세게 조여도 브라켓트를 튼튼하게 부착할 수 있다. 게다가 높이가 낮은 너트와 길이가 짧아져서 체결후 너트 밑으로 노출되지 않게 한 보울트의 리드는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므로 기록향상에도 적잖은 도움을 준다.
본 고안은 스케이트화의 저면에 보울트일체형 고정판을 올려붙이고 그 보울트에다 날이 부착된 ㄱ자형 브래킷을 깍지끼움한 후 브라켓트의 수평부 아래쪽에서 너트를 채워 고정하는 형식의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브라켓트에 대한 고정상태의 강화, 보울트의 리드와의 접촉으로 인한 브라켓트의 보울트관통용 슬리트 내주면의 손상방지, 너트의 공기저항감소에 역점을 둔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저면 아래로 리드가 노출되게 머리를 매입시켜 주조(다이캐스팅)한 알루미늄제 고정판(2,3)의 보울트(4)에 브라켓트(5)를 그 수평부(51)의 슬리트(52)를 깍지끼움하고 수평부(51)의 슬리트(52) 밑으로 통과해 나온 보울트(4)의 선단에 너트를 체결하여 브라켓트(5)를 고정토록 한 스케이트에 있어서, 브라켓트(6)는 슬리트(52)의 폭을 종전보다도 넓게 하고, 그 외주면과 보울트(4)의 리드간 공차에 상당하는 만큼의 두께와 암나사(62)를 가진 부싱(61)을 너트(6)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너트(6)의 높이를 종전보다도 낮게 형성한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61)은 고정판(2,3)의 보울트(4)에 브라켓트(5)를 끼워 체결한 상태에서 너트(6)의 상면에서 상단까지의 높이를 브라켓트(5)의 두께 미만으로 한정한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KR2019970032553U 1997-11-18 1997-11-18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KR200158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553U KR200158937Y1 (ko) 1997-11-18 1997-11-18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553U KR200158937Y1 (ko) 1997-11-18 1997-11-18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65U KR19990019265U (ko) 1999-06-15
KR200158937Y1 true KR200158937Y1 (ko) 1999-10-15

Family

ID=1951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553U KR200158937Y1 (ko) 1997-11-18 1997-11-18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9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259B1 (ko) 2022-02-10 2022-09-07 주식회사 라인프로덕션 블레이드브라켓
KR102440253B1 (ko) 2022-02-10 2022-09-07 주식회사 라인프로덕션 스케이팅용 안전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78B1 (ko) * 2006-12-21 2010-05-03 최창숙 스케이트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259B1 (ko) 2022-02-10 2022-09-07 주식회사 라인프로덕션 블레이드브라켓
KR102440253B1 (ko) 2022-02-10 2022-09-07 주식회사 라인프로덕션 스케이팅용 안전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65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1552A (en) Adjustable snowboard binding apparatus and method
US5842329A (en) Adjustable lawn mower handle mount
KR200158937Y1 (ko)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AU612828B2 (en) Braking device for skates and skate boards
JPH0718770U (ja) スキービンディングを組付けるための装置
CA2197618C (en) Snowmobile
US4351536A (en) Ice skate attachment
KR0139546Y1 (ko) 체결구캡의 분리가 용이한 전자제품
EP1013317B1 (fr) Planche de glisse
US20010038183A1 (en) Adjus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a snowboard binding
US9783260B2 (en) Adjustable rear wheel hood brake/stop system for free style kick scooters
WO2006000722A1 (fr) Bloc projec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JP3628662B2 (ja) クラブヘッド
FR2548002A1 (fr) Ensemble cremaillere-console perfectionne destine au rangement avec fixation sur parois
US10709957B1 (en) Loosening-resistant blade mounting bracket for ice skates
US6443477B2 (en) Ski binding with a demountable brake
JP3739495B2 (ja) 笠木
KR200382487Y1 (ko) 배선용 인장 클램프
JPH0622368Y2 (ja) アイススケート靴用ブレードホルダ
JPH0323266Y2 (ko)
JP2007307350A (ja) スノーボードの振動吸収兼補強板と、このスノーボード
KR0126644Y1 (ko) 스케이트날용 고정판유닛
JP3036769U (ja) 分離式扇風機の台座構造
KR100415233B1 (ko) 차량의 카울그릴 조립용 클립스토퍼
CA3214836A1 (en) Rivet replacement for sk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