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259B1 - 블레이드브라켓 - Google Patents

블레이드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259B1
KR102440259B1 KR1020220017246A KR20220017246A KR102440259B1 KR 102440259 B1 KR102440259 B1 KR 102440259B1 KR 1020220017246 A KR1020220017246 A KR 1020220017246A KR 20220017246 A KR20220017246 A KR 20220017246A KR 102440259 B1 KR102440259 B1 KR 102440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air
bar
footres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인프로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인프로덕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인프로덕션
Priority to KR102022001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04Skates fastened by means of clamps
    • A63C1/16Special structure of the clamp fastening devices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하며, 주행시 공기저항의 감소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블레이드브라켓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레이드브라켓{blade brackets for skating}
본 발명은 블레이드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하며, 주행시 공기저항의 감소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블레이드브라켓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란 빙상운동 및 레저용으로 쓰이는 활주용구로써, 운동 내용에 따라 형태와 만드는 방법이 다르다. 스케이트에는 빙상용 스케이트 및 인라인 스케이트가 있다.
빙상용 스케이트 슈즈는 얼름 위를 달리기 위해 부츠 밑에 금속날을 세로로 붙인 신발이고, 인라인 스케이트는 부츠 밑에 바퀴가 일련으로 설치되는 신발이다.
빙상용 스케이트는 스케이트 부츠에 고정된 고정판에 스케이트 날을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스케이트 사용시, 스케이트 사용자는 자신이 신고 있는 스케이트 날이 스케이트 부츠의 어느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스케이트 날을 교체하거나 부츠를 교체해야 할 경우, 기존의 스케이트 날과 부츠의 결합위치를 쉽게 찾기가 힘들었다.
즉, 사용자는 교체 작업시, 결합위치를 대략적으로 맞춰 스케이트 날과 구두를 결합하여 신은 다음, 스케이팅을 해보면서 부츠에 결합된 스케이트 날이 원하는 위치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스케이트 날과 부츠를 분리한 후, 다시 결합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도 빙상용 스케이트와 유사하게 부츠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판에 롤러가 설치된 브라켓이 너트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에서 말한 빙상용 스케이트의 문제점이 인라인 스케이트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였다.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158937호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227532호
본 발명은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하며, 주행시 공기저항의 감소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하며, 주행시 공기저항의 감소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 브라켓은, 스케이트 신발의 발판에 부착되도록 일측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발판부착부재와, 발판에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발판부착부재 상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밀착홈과, 발판에 볼트를 이용하여 발판부착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해 발판부착부재 중앙에 형성되는 부착볼트홈과, 블레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발판부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홈과, 블레이드홈에 삽입되는 블레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홈 양측으로 형성되는 볼트고정홈과,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며, 하중이 블레이트 측으로 집중되도록 발판부착부재 하부에서 블레이드 홈 측으로 모여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하중분산지지대와, 스케이팅시 접촉되는 공기가 브라켓을 통과함으로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중분산지지대 상에 관통 형성되는 공기통과홈과, 마찰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하중분산지지대 상에 형성되는 저항감소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브라켓은,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며, 스케이팅 주행시 발의 피로감을 줄여주기 위해 하중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완충수단은, 발판면에 접착제 또는 볼트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이용하여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탈부착플레이트와, 발판면에 탈부착플레이트를 볼트로 고정시 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탈부착플레이트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부착홈과, 완충작용을 위한 제1완충스프링과 제2완충스프링이 내장되도록 탈부착플레이트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완충하우징과,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스프링완충하우징 내부에서 제1완충스프링과 제2완충스프링에 의해 상하운동되도록 발판부착부재 상면에서 스프링완충하우징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프링완충바와, 제1완충스프링과 제2완충스프링의 압축 및 팽창을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안착단과, 스프링완충바의 상하운동시 스프링완충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고, 제2완충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스프링완충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단과, 스프링완충바가 탈부착플레이트 측으로 압축되거나, 발판부착부재 측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스프링완충하우징과 바안착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1완충스프링과, 스프링완충바가 탈부착플레이트 측으로 압축되거나, 발판부착부재 측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바안착단과 이탈방지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완충스프링과, 스케이트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에어완충하우징 내부로 일부가 결합되어 상하운동되도록 탈부착플레이트 하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에어완충바와, 에어완충바가 삽입되어 상하운동시 에어가 유동될 수 있도록 발판부착부재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에어완충하우징과, 에어완충바의 상하운동시 상부공간의 공기를 배출시켜주거나, 하부공간의 공기를 배출시켜주기 위해 에어완충바 일측단에 에어완충하우징 내벽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재와, 완충부재가 에어완충하우징 내벽을 따라 상부측으로 이동시 상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주고, 하부공간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며, 하부측으로 이동시 하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주고, 상부공간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주도록 에어완충하우징 상부 둘레일측과 하부 둘레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공기홀과, 완충부재가 에어완충하우징 내벽에 접촉시 밀폐를 위해 완충부재 둘레로 형성되는 부재밀착링과, 에어완충바가 에어완충하우징에서 상하 운동시 에어완충하우징 내부를 밀폐시켜주기 위해 에어완충바가 슬라이드되는 에어완충하우징 홀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밀착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지지하며, 주행시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스케이팅이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블레이드브라켓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제품 사진이다.
도 4는 블레이드브라켓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하중완충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블레이드브라켓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슬라이드결합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블레이드브라켓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브라켓탈부착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블레이드브라켓(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제품 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브라켓(100)은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하며, 주행시 공기저항의 감소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브라켓(100)은 발판부착부재(110), 밀착홈(111), 부착볼트홈(112), 블레이드홈(113), 볼트고정홈(114), 하중분산지지대(115), 공기통과홈(116), 저항감소면(11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부착부재(110)는 스케이트 신발의 발판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발판부착부재(110)는 일측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홈(111)은 발판에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홈(111)은 발판부착부재(110) 상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볼트홈(112)은 발판에 볼트를 이용하여 발판부착부재(110)를 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착볼트홈(112)은 발판부착부재(110)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홈(113)은 블레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홈(113)은 발판부착부재(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고정홈(114)은 블레이드홈(113)에 삽입되는 블레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볼트고정홈(114)은 블레이드홈(113)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분산지지대(115)는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며, 하중이 블레이트 측으로 집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중분산지지대(115)는 발판부착부재(110) 하부에서 블레이드 홈 측으로 모여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통과홈(116)은 스케이팅시 접촉되는 공기가 브라켓을 통과함으로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통과홈(116)은 하중분산지지대(115) 상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감소면(117)은 마찰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저항감소면(117)은 하중분산지지대(115)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블레이드브라켓(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하중완충수단(2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중완충수단(200)은 블레이드브라켓(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하중완충수단(200)은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며, 스케이팅 주행시 발의 피로감을 줄여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중완충수단(200)은 탈부착플레이트(210), 부착홈(211), 스프링완충하우징(212), 스프링완충바(213), 바안착단(214), 이탈방지단(215), 제1완충스프링(216), 제2완충스프링(217), 에어완충바(218), 에어완충하우징(219), 완충부재(220), 공기홀(221), 부재밀착링(222), 하우징밀착링(2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부착플레이트(210)는 발판면에 접착제 또는 볼트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이용하여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홈(211)은 발판면에 탈부착플레이트(210)를 볼트로 고정시 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착홈(211)은 탈부착플레이트(210)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완충하우징(212)은 완충작용을 위한 제1완충스프링(216)과 제2완충스프링(217)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완충하우징(212)은 탈부착플레이트(210)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완충바(213)는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완충바(213)는 스프링완충하우징(212) 내부에서 제1완충스프링(216)과 제2완충스프링(217)에 의해 상하운동되도록 발판부착부재(110) 상면에서 스프링완충하우징(2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안착단(214)은 제1완충스프링(216)과 제2완충스프링(217)의 압축 및 팽창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안착단(214)은 스프링완충바(2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단(215)은 스프링완충바(213)의 상하운동시 스프링완충하우징(212)에서 이탈되지 않고, 제2완충스프링(217)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단(215)은 스프링완충하우징(2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완충스프링(216)은 스프링완충바(213)가 탈부착플레이트(210) 측으로 압축되거나, 발판부착부재(110) 측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완충스프링(216)은 스프링완충하우징(212)과 바안착단(21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완충스프링(217)은 스프링완충바(213)가 탈부착플레이트(210) 측으로 압축되거나, 발판부착부재(110) 측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완충스프링(217)은 바안착단(214)과 이탈방지단(215)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완충바(218)는 스케이트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에어완충하우징(219) 내부로 일부가 결합되어 상하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완충바(218)는 탈부착플레이트(210) 하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완충하우징(219)은 에어완충바(218)가 삽입되어 상하운동시 에어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에어완충하우징(219)은 발판부착부재(110)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220)는 에어완충바(218)의 상하운동시 상부공간의 공기를 배출시켜주거나, 하부공간의 공기를 배출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부재(220)는 에어완충바(218) 일측단에 에어완충하우징(219) 내벽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홀(221)은 완충부재(220)가 에어완충하우징(219) 내벽을 따라 상부측으로 이동시 상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주고, 하부공간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며, 하부측으로 이동시 하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주고, 상부공간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홀(221)은 에어완충하우징(219) 상부 둘레일측과 하부 둘레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밀착링(222)은 완충부재(220)가 에어완충하우징(219) 내벽에 접촉시 밀폐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밀착링(222)은 완충부재(220)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밀착링(223)은 에어완충바(218)가 에어완충하우징(219)에서 상하 운동시 에어완충하우징(219) 내부를 밀폐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밀착링(223)은 에어완충바(218)가 슬라이드되는 에어완충하우징(219) 홀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밀착링(222)과 하우징밀착링(223)은 실리콘 재질, 우레탄 재질의 연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블레이드브라켓(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슬라이드결합수단(3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결합수단(300)은 블레이드브라켓(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슬라이드결합수단(300)은 발판에 브라켓을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결합수단(300)은 슬라이드고정패드(310), 슬라이드홈(311), 슬라이드부재(312), 고정밀착단(313), 고정핀(314), 핀고정홈(315), 고정바힌지(316), 완충고정바(317), 완충기(318), 완충밀착바(319)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고정패드(310)는 발판부착부재(110) 하면에 접착제 또는 볼트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홈(311)은 발판부착부재(110)가 삽입되어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홈(311)은 슬라이드고정패드(310) 중앙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312)는 슬라이드홈(31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312)는 발판부착부재(110)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밀착단(313)은 슬라이드 삽입시 발판부착부재(110)가 밀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밀착단(313)은 슬라이드홈(311)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314)은 고정밀착단(313)에 밀착되는 발판부착부재(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고정홈(315)에 삽입되어 고정밀착단(313) 측으로 발판부착부재(110)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314)은 고정밀착단(3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고정홈(315)은 고정핀(314)이 삽입되어 발판부착부재(110)가 고정밀착단(313)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고정홈(315)은 발판부착부재(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바힌지(316)는 완충고정바(317)가 슬라이드홈(311) 내부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바힌지(316)는 슬라이드홈(31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고정바(317)는 완충기(318)를 지지하며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고정바(317)는 고정바힌지(316)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기(318)는 완충밀착바(319)가 삽입되어 완충작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기(318)는 완충고정바(317)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밀착바(319)는 발판부착부재(110)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완충기(318) 측으로 밀착하여 발판부착부재(110) 측으로 밀착 고정하여 완충기(318)의 밀착력에 의해 발판부착부재(1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밀착바(319)는 완충기(318) 일측으로 슬라이드 완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블레이드브라켓(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브라켓탈부착수단(4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탈부착수단(400)은 블레이드브라켓(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브라켓탈부착수단(400)은 발판에 원터치 방식으로 브라켓을 탈부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탈부착수단(400)은 발판플레이트(410), 탈부착홈(411), 볼고정홈(412), 탈부착하우징(413), 탈부착단(414), 작동부재(415), 고정볼(416), 당김스프링(417), 밀착스프링(418), 당김바(419), 바홈(420), 당김부재(42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플레이트(410)는 발판부착부재(110) 하면에 접착제 또는 볼트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부착홈(411)은 발판부착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탈부착홈(411)은 발판플레이트(410) 하면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고정홈(412)은 탈부착홈(411)에 삽입되는 발판부착부재(110)를 고정볼(416)로 고정시 고정볼(41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볼고정홈(412)은 발판부착부재(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부착하우징(413)은 당김스프링(417)과 밀착스프링(418)과 작동부재(415)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탈부착하우징(413)은 발판플레이트(4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부착단(414)은 작동부재(415)의 이탈을 방지하고, 당김스프링(417)의 압축과 팽창시 당김스프링(417)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탈부착단(414)은 탈부착하우징(4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재(415)는 고정볼(416)이 볼고정홈(412) 측으로 밀착과, 당김부재(421)의 당김에 따라 밀착스프링(418)의 압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부재(415)는 탈부착하우징(413) 내부로 당김바(419)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볼(416)은 볼고정홈(412)에 삽입되어 발판부착부재(110)가 탈부착홈(4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볼(416)은 당김바(419)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스프링(417)은 고정볼(416)이 볼고정홈(412)에서 이탈시 팽창되어 작동부재(415)를 밀착스프링(418)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당김스프링(417)은 탈부착단(414)과 작동부재(415)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스프링(418)은 고정볼(416)이 볼고정홈(412)에 밀착되어 발판부착부재(110)의 고정시 작동부재(415)를 당김스프링(417)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스프링(418)은 작동부재(415)와 탈부착하우징(413) 일측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바(419)는 고정볼(416)이 볼고정홈(412)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당김부재(421)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당김바(419)는 고정볼(416) 일측으로 탈부착하우징(413) 상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홈(420)은 당김바(419)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홈(420)은 발판플레이트(410) 일측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부재(421)는 당김바(419)를 착용자가 당기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당김부재(421)는 당김바(419)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블레이드 브라켓
110 : 발판부착부재 111 : 밀착홈
112 : 부착볼트홈 113 : 블레이드홈
114 : 볼트고정홈 115 : 하중분산지지대
116 : 공기통과홈 117 : 저항감소면
200 : 하중완충수단 210 :탈부착플레이트
211 : 부착홈 212 : 스프링완충하우징
213 : 스프링완충바 214 : 바안착단
215 : 이탈방지단 216 : 제1완충스프링
217 : 제2완충스프링 218 : 에어완충바
219 : 에어완충하우징 220 : 완충부재
221 : 공기홀 222 : 부재밀착링
223 : 하우징밀착링
300 : 슬라이드결합수단 310 : 슬라이드고정패드
311 : 슬라이드홈 312 : 슬라이드부재
313 : 고정밀착단 314 : 고정핀
315 : 핀고정홈 316 : 고정바힌지
317 : 완충고정바 318 : 완충기
319 : 완충밀착바
400 : 브라켓탈부착수단 410 : 발판플레이트
411 : 탈부착홈 412 : 볼고정홈
413 : 탈부착하우징 414 : 탈부착단
415 : 작동부재 416 : 고정볼
417 : 당김스프링 418 : 밀착스프링
419 : 당김바 420 : 바홈
421 : 당김부재

Claims (3)

  1. 스케이트 블레이드를 지지하도록 하며, 주행시 공기저항의 감소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블레이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브라켓은,
    스케이트 신발의 발판에 부착되도록 일측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발판부착부재와,
    발판에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발판부착부재 상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밀착홈과,
    발판에 볼트를 이용하여 발판부착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해 발판부착부재 중앙에 형성되는 부착볼트홈과,
    블레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발판부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홈과,
    블레이드홈에 삽입되는 블레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홈 양측으로 형성되는 볼트고정홈과,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며, 하중이 블레이트 측으로 집중되도록 발판부착부재 하부에서 블레이드 홈 측으로 모여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하중분산지지대와,
    스케이팅시 접촉되는 공기가 브라켓을 통과함으로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중분산지지대 상에 관통 형성되는 공기통과홈과,
    마찰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하중분산지지대 상에 형성되는 저항감소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블레이드브라켓은,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며, 스케이팅 주행시 발의 피로감을 줄여주기 위해 하중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완충수단은,
    발판면에 접착제 또는 볼트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이용하여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탈부착플레이트와,
    발판면에 탈부착플레이트를 볼트로 고정시 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탈부착플레이트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부착홈과,
    완충작용을 위한 제1완충스프링과 제2완충스프링이 내장되도록 탈부착플레이트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스프링완충하우징과,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스프링완충하우징 내부에서 제1완충스프링과 제2완충스프링에 의해 상하운동되도록 발판부착부재 상면에서 스프링완충하우징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프링완충바와,
    제1완충스프링과 제2완충스프링의 압축 및 팽창을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완충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바안착단과,
    스프링완충바의 상하운동시 스프링완충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고, 제2완충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스프링완충하우징 일측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단과,
    스프링완충바가 탈부착플레이트 측으로 압축되거나, 발판부착부재 측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스프링완충하우징과 바안착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1완충스프링과,
    스프링완충바가 탈부착플레이트 측으로 압축되거나, 발판부착부재 측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바안착단과 이탈방지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2완충스프링과,
    스케이트 착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에어완충하우징 내부로 일부가 결합되어 상하운동되도록 탈부착플레이트 하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에어완충바와,
    에어완충바가 삽입되어 상하운동시 에어가 유동될 수 있도록 발판부착부재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에어완충하우징과,
    에어완충바의 상하운동시 상부공간의 공기를 배출시켜주거나, 하부공간의 공기를 배출시켜주기 위해 에어완충바 일측단에 에어완충하우징 내벽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재와,
    완충부재가 에어완충하우징 내벽을 따라 상부측으로 이동시 상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주고, 하부공간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며, 하부측으로 이동시 하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주고, 상부공간 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주도록 에어완충하우징 상부 둘레일측과 하부 둘레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공기홀과,
    완충부재가 에어완충하우징 내벽에 접촉시 밀폐를 위해 완충부재 둘레로 형성되는 부재밀착링과,
    에어완충바가 에어완충하우징에서 상하 운동시 에어완충하우징 내부를 밀폐시켜주기 위해 에어완충바가 슬라이드되는 에어완충하우징 홀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밀착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레이드브라켓은,
    발판에 브라켓을 슬라이드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드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결합수단은,
    발판부착부재 하면에 접착제 또는 볼트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슬라이드고정패드와,
    발판부착부재가 삽입되어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고정패드 중앙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발판부착부재 상면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슬라이드 삽입시 발판부착부재가 밀리지 않도록 슬라이드홈 일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밀착단과,
    고정밀착단에 밀착되는 발판부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밀착단 측으로 발판부착부재가 고정되도록 고정밀착단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핀과,
    고정핀이 삽입되어 발판부착부재가 고정밀착단에 밀착되도록 발판부착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핀고정홈과,
    완충고정바가 슬라이드홈 내부 일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드홈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바힌지와,
    완충기를 지지하며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바힌지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고정바와,
    완충밀착바가 삽입되어 완충작용되도록 완충고정바 일측으로 형성되는 완충기와,
    발판부착부재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완충기 측으로 밀착하여 발판부착부재 측으로 밀착 고정하여 완충기의 밀착력에 의해 발판부착부재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완충기 일측으로 슬라이드 완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완충밀착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브라켓.
  2. 삭제
  3. 삭제
KR1020220017246A 2022-02-10 2022-02-10 블레이드브라켓 KR102440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246A KR102440259B1 (ko) 2022-02-10 2022-02-10 블레이드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246A KR102440259B1 (ko) 2022-02-10 2022-02-10 블레이드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259B1 true KR102440259B1 (ko) 2022-09-07

Family

ID=8327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246A KR102440259B1 (ko) 2022-02-10 2022-02-10 블레이드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2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937Y1 (ko) 1997-11-18 1999-10-15 이무영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KR200227532Y1 (ko) 2000-11-28 2001-06-15 문미숙 스케이팅용 안전 장갑
KR100446857B1 (ko) * 2002-01-18 2004-09-04 곽명회 스케이트 날의 고정장치 및 그 완충장치
JP2011005242A (ja) * 2009-05-26 2011-01-13 Michiyuki Isshiki スケート具
CN211462031U (zh) * 2019-11-11 2020-09-11 湖南华曙高科技有限责任公司 冰鞋及其冰刀支架
CN215461930U (zh) * 2021-06-16 2022-01-11 张晶 一种冰刀刀托结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937Y1 (ko) 1997-11-18 1999-10-15 이무영 스케이트의 날지지용 브라켓트 고정장치
KR200227532Y1 (ko) 2000-11-28 2001-06-15 문미숙 스케이팅용 안전 장갑
KR100446857B1 (ko) * 2002-01-18 2004-09-04 곽명회 스케이트 날의 고정장치 및 그 완충장치
JP2011005242A (ja) * 2009-05-26 2011-01-13 Michiyuki Isshiki スケート具
CN211462031U (zh) * 2019-11-11 2020-09-11 湖南华曙高科技有限责任公司 冰鞋及其冰刀支架
CN215461930U (zh) * 2021-06-16 2022-01-11 张晶 一种冰刀刀托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4431A (en) Shock absorbing shoe with adjustable insert
US945665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tubular members
EP3432751B1 (en) Inflatable shock-absorbing sole structure
US20050252038A1 (en) Outsole
US20040194347A1 (en) Footwear sole with a stiffness adjustment mechanism
US6829848B2 (en) Rotating pivot for shoe
US20150157091A1 (en) Shock absorbing and pressure releasing damper apparatus for shoe insole
US20100263227A1 (en) Impact-Attenuation Members With Lateral and Shear Force Stability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Members
US20130326915A1 (en) Impact-attenuation system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US6006450A (en) Wear resistant grind shoe apparatus
US8732984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CN105249593A (zh) 多功能户外鞋,特别是登山鞋、山地跑鞋、越野跑鞋或攀岩鞋及其制造方法
KR20090082292A (ko) 신발용 보강 케이지
US9370221B1 (en) Shock absorbing and pressure releasing damper apparatus for footwear
KR102440259B1 (ko) 블레이드브라켓
KR100704974B1 (ko)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US20070251127A1 (en) Snow shoes of the type whose webbing includes a stretched fabric in the interior of a frame
EP1994966A1 (en) Roller skate
CN109430998A (zh) 一种降温减震运动鞋
US20030213146A1 (en) Sole with buffer elements
KR200490640Y1 (ko) 확장형 신발
CN101972063A (zh) 一种鞋底
CN116584734A (zh) 一种具有调节脚围宽度功能的减震凉鞋
CN217218325U (zh) 一种轻型防滑安全鞋
CN114617335B (zh) 一种新型矫形鞋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