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786Y1 -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786Y1
KR200158786Y1 KR2019970019089U KR19970019089U KR200158786Y1 KR 200158786 Y1 KR200158786 Y1 KR 200158786Y1 KR 2019970019089 U KR2019970019089 U KR 2019970019089U KR 19970019089 U KR19970019089 U KR 19970019089U KR 200158786 Y1 KR200158786 Y1 KR 200158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fuel
valve
valve casing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721U (ko
Inventor
오상근
Original Assignee
오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근 filed Critical 오상근
Priority to KR2019970019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78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7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0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 F02M1/08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부에 일정한 연료를 공급시키는 노즐이 장착된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는 연료가 공급되는 제1 통로(51)와 이 제1 통로(51)에 대하여 수직한 제2 통로(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통로(53)를 형성하는 제2 연결부(54)가 엔진부(10)의 캬브레터(12)에 고정되는 밸브케이싱(50)과; 이 밸브케이싱(50)의 상기 제2 통로(53)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노즐구멍(72)이 천공되어 있는 노즐(70)과; 상기 밸브케이싱(50)의 상기 제1 통로(51)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52)에 연결구(60)를 개재하여 상기 제1 통로와 연통하고 있으며, 밸브케이싱(50)에 연결되는 연료공급관(32)과; 상기 밸브케이싱(50)의 상기 제2 통로(53)와 연장되어 있는 제3 통로(55)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통로(51)와 제2 통로(53)를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밸브헤드(82) 및 이 밸브헤드(82)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스템(84)으로 이루어진 밸브체(80)와; 상기 밸브케이싱(5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밸브스템(84)의 단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조절노브(90)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본 고안은 휴대용분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휴대용분무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엔진부에 일정한 연료를 공급시키는 노즐이 장착된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분무기는 비닐하우스에서 경작되는 채소, 과일 등의 분무소독, 양돈, 낙농,양계 등의 축사방역, 과수원, 벼농사 등의 분무소독을 위한 농축산용 뿐만 아니라 아파트, 공장, 빌딩, 주택 등의 분무을 위한 방역용으로 작업자가 직접 들거나, 메고 다니면서 방제 및 방역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그 사용범위가 다양한 기기이다. 휴대용분무기를 작동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여러 가지 종류들이 있으나, 현재에는 작업효율, 방제효과 등의 여러 측면에서 우수한 기계식의 분무기가 빠른 속도로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특히, 젯트엔진방식의 분무기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분무기는 연료가 공기와 함께 엔진부로 공급되고, 엔진부에서 연료가 폭발함에 따라 발생하는 폭발력에 의하여 약제탱크로부터 송출되는 약제가 분무됨으로써 분무기가 연막용이나 연무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휴대용분무기의 구조와 작동에 대하여 도 1과 도 2를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휴대용분무기는 캬브레터(12)와 연소실(14)로 이루어진 엔진부(10)와, 엔진부(10)의 시동시에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20)와, 연료를 담고 있는 연료탱크(30)와, 분무되는 약제를 담고 있는 약제탱크(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엔진부(10)와 컴프레셔(20)와 연료탱크(30)와 약제탱크(40)는 서로 파이프들 또는 호스들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연소실(14)에는 배전선(16)이 연결된 점화플러그(18)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분무기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최초에 동작버튼(11)을 누르면, 컴프레셔(20)가 작동하게 되고, 컴프레셔(20)에 의하여 발생된 공기는 분기되어 일부의 공기는 제1 공기공급관(22)을 통하여 캬브레터(12)로 공급되며 일부의 공기는 제2 공기공급관(24)을 통하여 연료탱크(30)로 공급된다. 연료탱크(30)로 공급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연료탱크(30)내의 연료는 송출되어 연료공급관(32)을 통하여 캬브레터(12)로 흡입된다. 캬브레터(12)로 흡입되는 연료는 제1 공기공급관(22)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혼합하여 연료가스를 이루어 연소실(14)에서 점화플러그(18)에 의하여 폭발된다. 이러한 폭발력에 의하여 캬브레터(1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멍(도시 안됨)으로부터 캬브레터(12)로 외부공기가 강하게 흡입되며, 흡입된 일부의 공기는 공기공급관(13)을 거쳐서 일부의 공기는 연료탱크용 공기공급관(33)으로 흐르고, 일부의 공기는 약제탱크용 공기공급관(43)으로 흐르게 된다. 약제탱크(40)로 흡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약제는 약제송출호스(44)로 배출되어 밸브(46)를 통하여 분사관(도시 안됨)으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연료탱크(30)로 흡입된 공기는 시동초기에 컴프레셔(20)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마찬가지로 연료탱크(30)내의 연료를 연료공급관(32)을 통하여 밀어 내보냄으로써 연료는 캬브레터(12)로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연료는 캬브레터(12)로 흡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실(14)에서 폭발하게 된다. 그 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의 흡입과 연료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휴대용 분무기는 정상작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로하여 연료를 캬브레터(12)로 공급하는 종래의 연료분사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종래의 연료분사장치는 연료를 캬브레터(12)로 분사하여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에는 연료공급관(32)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노즐구멍(1)이 형성된 연료노즐(3)과 일단에는 조절노브(5)가 마련된 조절부재(7)로 이루어져 있다. 연료노즐(3)은 나사결합에 의하여 캬브레터(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조절부재(7)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캬브레터의 타측에 조절노브(5)와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조절부재(7)의 선단에는 조절침봉(9)이 위치하는 바, 이 조절침봉(9)은 단부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노즐구멍(1)을 출입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 캬브레터(12)로 분사되는 연료의 양과 연료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도 3에서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절노브(5)를 회전시키면서 노즐구멍(1)과 조절침봉(9) 사이의 틈새에 의하여 노즐구멍(1)의 개방정도를 적절하게 맞추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분사장치에 따르면, 실제의 노즐구멍(1)은 상당히 큰 직경, 예컨데 대략 2mm 이상의 직경을 갖도록 천공되어 있어 사용자가 조절노브(5)를 회전시키면서 조절침봉(9)을 이동시켜 노즐구멍(1)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였다. 이에 따라, 노즐구멍(1)의 개방정도를 적합하게 조절하지 못하여 휴대용 분무기의 시동조차도 걸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특히, 현재 농촌에서 휴대용 분무기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대부분 노인들이기에 이러한 농촌현실을 감안한다면, 노즐구멍(1)의 개방정도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연료분사장치의 출현이 시급히 요망되는 것이었다.
노즐구멍(1)을 최적의 상태로 맞추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캬브레터(12)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이 적게 되면, 그에 따라 캬브레터(12)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게 되고,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게 되면, 절대적으로 연료탱크(30)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으므로 공기압력이 불충분하여 연료가 캬브레터(12)로 흡입되지 못하게 되어 결국 연소실(14)에서 폭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캬브레터(12)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이 많게 되면, 그에 따라 캬브레터(12)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게 되고,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게 되면, 절대적으로 연료탱크(30)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으므로 공기압력이 크게 되어 과도한 연료가 캬브레터(12)로 공급되어 연료와 흡입되는 공기의 양에 비해서 월등히 많게 되며 결국 점점 혼합기가 농후해져 일정한 한계점을 넘게 되면 더 이상 폭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동이 최적의 상태에서 원활하게 걸릴 수 있도록 노즐구멍의 크기를 미소하게 고정하고 노즐구멍으로의 연료흐름만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휴대용분무기의 일반적인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연료분사장치가 적용된 휴대용분무기의 부분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연료분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료분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캬브레터 32 : 연료공급관
50 : 밸브케이싱 51 : 제1 통로
52 : 제1 연결부 53 : 제2 통로
54 : 제2 연결부 55 : 제3 통로
56 : 제3 연결부 60 : 연결구
62 : 조임구 64 : 필터
70 : 노즐 72 : 노즐구멍
80 : 밸브체 82 : 밸브헤드
84 : 밸브스템 90 : 조절노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는 연료가 공급되는 제1 통로와 이 제1 통로에 대하여 연통할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제2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통로를 형성하는 제2 연결부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엔진부의 캬브레터에 고정되는 밸브케이싱과; 이 밸브케이싱의 상기 제2 통로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미소한 직경을 갖는 노즐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노즐과; 상기 밸브케이싱의 상기 제1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와 연결구를 개재하여 상기 제1 통로와 연통하고 있으며, 밸브케이싱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공급관과; 상기 밸브케이싱의 상기 제2 통로와 일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3 통로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통로와 제2 통로를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밸브헤드 및 이 밸브헤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부가 형성된 밸브스템으로 이루어진 밸브체와; 상기 밸브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밸브스템의 단부에 고정적으로 부설되고 회전이 가능한 조절노브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장치의 밸브케이싱(50)은 나사결합에 의하여 캬브레터(12)에 고정되어 있으며, 연료가 공급되는 측의 제1 통로(51)와 이 제1 통로(51)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고 연료가 분사되는 측의 제2 통로(53)와, 이 제2 통로(53)와 일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3 통로(55)를 갖는다. 제1 통로(51)를 형성시키는 제1 연결부(52)에는 연결구(60)를 개재하여 제1 통로(51)와 연통되도록 연료공급관(3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구(60)는 조임구(62)에 의하여 제1 연결부(52)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연결구(60)의 하단부에는 연료공급관(32)으로부터 밸브케이싱(50)으로 흐르는 연료를 필터링하는 필터(64)가 착탈가능하도록 부설되어 있다.
제1 통로(51)를 형성시키는 밸브케이싱(50)의 제2 연결부(54)의 단부에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는 노즐(70)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70)의 일단에는 캬브레터(12)와 연통하여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구멍(72)이 천공되어 있다. 제2 통로(53)와 연통되는 노즐(70)의 일측 개구는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구멍(72)은 연료가 노즐(70)로 진입하게 되면, 노즐구멍(72)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고정적으로 정해진 미소한 직경인, 예컨데 0.3mm ∼ 0.5mm 의 직경을 갖고 있다.
다음으로, 제3 연결부(56)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 통로(55)에는 제1 통로(51)와 제2 통로(53)를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밸브체(80)가 밸브케이싱(50)에 삽입되어 있다. 밸브체(80)는 밸브헤드(82)와 이 밸브헤드(82)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스템(84)으로 이루어지며, 밸브스템(84)의 단부에는 밸브케이싱(5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조절노브(90)가 위치하고 있다. 밸브스템(84)의 외면과 제3 통로(55)의 내면은 나사결합을 하며, 조절노브(90)의 회전에 따라 밸브스템(84)의 나사부가 제3 통로(55)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밸브헤드(82)를 제3 통로(55)상에서 이동시킨다. 그리고, 밸브스템(84)의 후측에는 연료가 제3 통로(55)를 따라 조절노브(90)로의 누출을 방지하는 스냅링들(86)이 끼워져 있다. 도면에 도시한 실선의 밸브체(80)는 밸브헤드(82)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연료가 노즐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통로(51)와 제2 통로(53)가 서로 연통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한 이점쇄선의 밸브체(80)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노브(90)를 회전시켜 밸브헤드(82)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밸브헤드(82)가 밸브시트(88)에 착석되어 제1 통로(51)와 제2 통로(53)의 연통을 차단하고 있다.
지금부터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의 작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고안의 작용은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본 고안의 주요한 특징에만 한정하여 설명하면, 조절노브(90)를 회전시켜 밸브헤드(82)가 밸브시트(88)로부터 이격되어 제1 통로(51)와 제2 통로(53)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틈새를 통하여 연료가 자동적으로 노즐(70)로 흐르게 되어 주의깊게 노즐구멍(72)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연료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하여 종래에는 필터(64)를 연료탱크(30)의 하측부 연료공급관(32)의 입구에 설치함으로써 필터(64)는 항상 연료에 잠겨 있어 필터링기능이 저하되고 필터의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르면 필터(64)가 밸브케이싱(50)과 연료공급관(32)이 인접한 위치에 배치에 있어 종래의 단점들이 해소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들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형상, 크기 및 배치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가 물론 가능할 것이며, 이는 별도의 설명이 없이도 이해가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에 따르면, 노즐구멍을 미소하게 정해진 직경만큼 천공하고 노즐구멍으로의 연료흐름만을 제어함으로써 연료공급통로와 연료분사통로와의 개방정도에 관계없이 연통시키기만 하면 일정한 양의 연료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시동에 장애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초보자 및 노인들은 물론 누구라도 용이하게 휴대용 분무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연료가 공급되는 제1 통로(51)와 이 제1 통로(51)에 대하여 연통할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제2 통로(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통로(53)를 형성하는 제2 연결부(54)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엔진부(10)의 캬브레터(12)에 고정되는 밸브케이싱(50)과;
    이 밸브케이싱(50)의 상기 제2 통로(53)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미소한 직경을 갖는 노즐구멍(72)이 천공되어 있는 노즐(70)과;
    상기 밸브케이싱(50)의 상기 제1 통로(51)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52)에 연결구(60)를 개재하여 상기 제1 통로(51)와 연통하고 있으며, 밸브케이싱(5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공급관(32)과;
    상기 밸브케이싱(50)의 상기 제2 통로(53)와 일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3 통로(55)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통로(51)와 제2 통로(53)를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밸브헤드(82) 및 이 밸브헤드(82)와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부가 형성된 밸브스템(84)으로 이루어진 밸브체(80)와;
    상기 밸브케이싱(5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밸브스템(84)의 단부에 고정적으로 부설되며 회전이 가능한 조절노브(90)로 구성되어 있는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60)에는 필터(64)가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멍의 직경은 0.3mm ∼ 0,5mm인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KR2019970019089U 1997-07-19 1997-07-19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KR200158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89U KR200158786Y1 (ko) 1997-07-19 1997-07-19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89U KR200158786Y1 (ko) 1997-07-19 1997-07-19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21U KR19990005721U (ko) 1999-02-18
KR200158786Y1 true KR200158786Y1 (ko) 1999-10-15

Family

ID=1950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089U KR200158786Y1 (ko) 1997-07-19 1997-07-19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7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387B1 (ko) * 2019-10-16 2021-11-10 임형석 연막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721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195058A (ja) 燃料噴射式内燃機関のエアアシスト装置
DE60034722D1 (de) Kraftstoffeinspritzanordnung
KR200158786Y1 (ko) 휴대용분무기의 연료분사장치
EP1682231A4 (en) MODULAR SPRAY GUN AND METHOD
US5934567A (en) Air assisted fuel injector
KR200425310Y1 (ko) 절수장치를 갖춘 샤워기
JP2722120B2 (ja) ガスエンジンのミキサ
KR0140371Y1 (ko) 초 미립자 분무기의 연료 분사 장치
KR100309797B1 (ko) 휴대용 분무기
JPH0530771Y2 (ko)
US6131824A (en) Air assisted fuel injector
KR200298660Y1 (ko) 휴대용 분무기
US5287696A (en) Pulse-jet atomizer mechanism for sprinkling chemicals
CA2115535A1 (en) Fuel Supply System for Use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4314016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860007026A (ko) 거품발생 방법 및 분사기
KR950005938Y1 (ko) 안개식 분무기등의 카브레타에어발생방지 체크밸브겸용노즐
KR200188669Y1 (ko) 휴대용 살충연무기
KR200156860Y1 (ko) 연막용 분무기의 기화기
KR970002393Y1 (ko) 젯트엔진식 분무기의 노즐구조
JPH01100368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H10325365A (ja) 膜式気化器
JPS6212433Y2 (ko)
JP2002096000A (ja) 混気ジェット散水具及び散水具用混気ジェット形成具
JPH07222942A (ja) 液体噴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