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669Y1 - 휴대용 살충연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살충연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669Y1
KR200188669Y1 KR2019970036656U KR19970036656U KR200188669Y1 KR 200188669 Y1 KR200188669 Y1 KR 200188669Y1 KR 2019970036656 U KR2019970036656 U KR 2019970036656U KR 19970036656 U KR19970036656 U KR 19970036656U KR 200188669 Y1 KR200188669 Y1 KR 200188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ipe
main body
insecticide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213U (ko
Inventor
권혁천
Original Assignee
권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천 filed Critical 권혁천
Priority to KR2019970036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669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66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burning insecticide, e.g. impregnated candles, burning co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88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using a burner or a flame as hea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1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with a ball-shaped valv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해로운 벌레들을 살충하기 위해 살충제를 연기형태로 만들어 분무하는 휴대용 살충연무기의 개량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연무기는 연료의 연소효율이 낮았고 살충제의 연무화가 잘되지 않으며 사용이 불편한등의 문제가 있었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의 살충연무기는 연료밸브장치(10)의 바로옆에 노즐(11) 및 공기구멍(12), (13), (16)을 형성하고 연소부(30)에는 연소망(31)을 구성하여 펌프작동부(40)는 본체(1a)의 내부에 구성하였음.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연료의 공기혼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연소효율이 높게 되며 살충제의 연무화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사용이 매우 펀리하게 됨.

Description

휴대용 살충연무기
본고안은 주로 야외에서 파리, 모기, 나방, 말벌등 해로운 벌레들을 살충하기 위해 액체로된 살충제를 액체 그대로 분사하거나 안개 또는 연기형태로 만들어 분사하는 휴대용 살충 연무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연료의 연소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살충제를 공급하는 펌프장치를 개량 함으로써 살충효과를 최대한 높일수 있게 끔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실내나 좁은공간 내에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주로 스프레이 형태의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우선 가격이 매우 고가인 단점이있을뿐아니라 안개형태로 분무되더라도 그것은 입자가 적은 액체형태로 분사되는것이므로 구석구석 약제가 침투하거나 넓은 공간을 골고루 살충하는 효과는 매우낮은 것이다.
따라서 야외등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 해충을 퇴치할때는 살충액을 가열하여 연기형태로 만들어 분무시키는 연무기를 이용하는데, 본고안에서는 크기가 작아 손으로 들고다니면서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된 휴대용 연무기를 개량한 것으로, 종래애 사용되어오던 휴대용 연무기의 구성과 문제점을 제5도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휴대용 살충연무기(60)는 노즐(61)과 공기구멍(62)이 연소부(63)의 바로 뒷쪽에 형성되어 있어서 산소와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한 공간과 시간이 부족하므로 최초점화가 쉽지 않으면서 완전연소가 잘되지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연료가 노즐(61)에서 분사된후 곧바로 연소되면서 불꽃의 역류를 막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연료간(64)이 열을받아 본체(60a)가 녹아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또 노즐(61) 주변에 스케일이 생겼을때 이를 청소하려면 많은부분을 분해 하여야 하므로 청소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도 있었고 그에따라 칭소를 게을리 하였을때는 불꽃이 약해지거나 산소와의 혼합이 더욱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또한 불꽃으로 가열코일(65)속을 흐르는 살충제를 연무화시키기 위한 연소부(63)가 사방으로 불꽃이 발생토록한 구성이기 때문에 불꽃이 가열코일(65)을 골고루 가열하지 못하는 수가 많고 바람이 불거나 본체를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어 줄때는 불꽃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가 많아서 불이 꺼지거나 낭비되는 열이 많으며, 그에따라 연료의 낭비가 심하면서 연무화가 덜된 액체상태의 살충제가 분사되는등 살충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살충제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장치(66)가 살충제용기(67)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레버(68)를 작용시키면 펌프(69)가 당겨올라 가면서 살충제를 퍼올리는 형태이므로 살충제용기(67)내부의 약재를 전부사용하지 못하고 다시 살충제를 충만시켜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도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고안은 휴대용 살충연막소독기의 연료공급 및 연소부분과 살충제 공급부등의 구성을 개량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내부 청소작업의 용이성과 연소 및 연무화 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하고 이에따른 살충소독 효과를 상승시킬수 있게함을 목적으로 안출한 것이다.
제1도는 본고안에 의한 연무기의 정면도.
제2도는 본고안의 연료밸브장치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연소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의 몸체와 펌프작용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제5도는 종래 연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살충연무기 1a : 본체
2 : 손잡이부 3 : 연료관
4 : 연료통 5 : 살충제통
6 : 작동레바 6' : 핀
7 : 작동간 7' : 핀
8 : 점화버튼 10 : 연료밸브장치
11 : 노즐 12, 13 : 공기통로
14 : 연결너트 15 : 통로
16 : 공기통로 17 : 밸브몸체
18 : 조절핸들 19 : 개폐부
20 : 연로통연결관 30 : 연소부
31 : 연소망 32 : 고정링
33 : 점화플러그 34 : 통로
35 : 가열망체 36 : 가열코일
37 : 분무노즐 38 : 연결용관
39 : 나사부 40 : 펌프작동부
41 : 펌프몸체 42, 42' : 밀폐용패킹
43 : 피스톤 44 : 캡
45 : 스프링 46 : 볼플런저
47 : 연결관 48 : 흡입관
49 : 안착요홈 50 : 볼
51 : 볼플런저
본고안의 살충연무기(1)는 본체(1a)의 후단에 연료통(4)이 설치되는 연료밸브장치(10)를 한 후 바로옆에 노즐(11) 및 공기구멍(12), (13), (16)을 형성하고 본체(1a)를 관통하는 연료관(3)의 선단, 즉 본체(1a)의 앞쪽에 연소부(30)를 형성하되 불꽃이 앞쪽으로 분사되게 구성하며, 본체(1a)의 손잡이부(2) 상단에 작동레바(6)가 돌출되게 하고 본체(1a)의 내부에는 작동레바(6)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작동부(40)를 설치한후 본체(1a)의 아래에 살충제통(5)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료밸브장치(10)의 구성을 먼저 자세히 살펴보면, 연료간(3)의 끝에 각 몇개씩의 공기통로(12), (13)를 형성하고 그다음에 연결너트(14)를 이용하여 밸브몸체(17)를 결합시키되, 연료관(3) 내부로 돌출되는 밸브몸체(17)의 선단에 노즐(11)을 설치하였으며, 연결너트(14)에도 공기통로(16)를 형성하여 연료관(3)의 공기통로(12)와 연통되도록 하였다.
또 밸브몸체(17)에는 조절핸들(18)을 나사결합시켜 선단의 개폐부(19)가 통로(15)를 개폐토록 하였고 벨브몸체(17)의 하단에는 공지의 연료통(4)를 결합할 수 있게된 연료통연결관(20)을 연결시킴으로써, 연로통(4)의 연료가 연료통연결관(20)을 통해 밸브(19)로 유입된 후 조절핸들(18)을 개방시켰을때 밸브몸체(17)의 통로(15)를 통과한 다음 노즐(11)에 의해 연료관(3)으로 분사되게 하였다.
연료간(3)은 본체(1a)를 직선으로 관통되게 설치한흐 본체(1a)의 선단쪽에 연소부(30)를 형성하는데, 연료관(3)의 끝단내부에 연소망(31)을 삽설한후 끝단 외부에는 고정링(32)을 삽입하되, 고정링(32)의 상부에는 점화플러그(33)를 설치하여최초의 점화가 가능토록 하면서 고정링(32)과 연료관(3) 사이에는 약간의 연료가 새어 나갈수 있는 통로(34)를 형성하여 점화시에 필요한 연료가 공급되게 끔 하였다.
고정링(32)의 외부에는 살충제가 통과하면서 열에의해 기화되게 하는 가열 코일(36)을 설치하는데, 고정링(32) 외면을 몇바퀴 감은후 그 이후로는 권회직경이 작게 감기도록 하고 가열코일(36) 전체를 가열망체(35)로 덮어주며, 맨끝에 분무노즐(37)을 설치하되 분무 노즐(37)에는 길이가 긴 연결용관(38)을 연결할수 있도록나사부(39)을 형성하있는데, 연결용관(38)은 특성이 강한 약제를 분무할때와 거리가 멀거나 구석진 곳등을 소독할때 또는 가축분뇨등에 발생하는 구더기를 퇴치하기 위해 약제를 액채상태로 분무할때 적합하다.
본체(1a)의 내부에 작동레바(6), 작동간(7) 및 펌프작동부(40)을 설치한후 펌프작동부(40)에 의해 압송되는 살충재가 상기한 가열코일(36)로 공급되게 하는데, 본체(1a)의 상부측 내부에 작동레바(6)를 핀(6')으로 결합시켜 지렛대 작용을 하게 끔 하면서 작동레바(6)의 끝단을 상부로 돌출시키고 작동레바(6)의 작용을 받아 다시 지렛대 작용을 하면서 펌프작동부(40)를 작용시키는 작용간(7)을 핀(7')으로 설치하며, 작동간(7)의 선단에 펌프작동부(40)를 구성하였다.
펌프작동부(40)는 펌프몸체(41)에 밀폐용패킹(42), (42')이 결합된 피스톤(43)을 삽설한후 캡(44)으로 고정시키고 캡(44)의 후단으로 돌출되는 피스톤(43)의 후단부에는 스프링(45)을 장착하여 원복기능을 하도록 하였으며, 펌프몸체(41)의 타측에는 볼플런저(46)를 설치한후 연결관(47)을 연결시켰다.
펌프몸체(41)의 아랫쪽에는 흡입관(48)을 연결하되 상단에는 안착요홈(49)을 형성한후 볼(50)을 삽입하여 펌프작동부(40)의 피스톤(43)이 후진작용시에만 살충제가 흡입되게 끔 구성하였으며, 본체(1a)의 아랫쪽에는 살충제통(5)을 나사결합시켜 상기 흡입관(48)이 살충제통(5)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바닥과 약간만 이격되게 끔 하였다.
펌프작동부(40)와 연결되는 연결관(47)의 끝에는 볼플런저(51)를 한개소더형성하였는데, 이는 살충제를 분출시 한번더 압축시켜 고압을 얻을때 필요한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연결관(47)을 곧바로 가열코일(36)과 연결시켜 사용한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52 는 어깨걸이 끈을 연결하기 위한 끈구멍, 53 은 본체(1a) 조립용나사구멍, 54 는 조립나사, 55 는 보호관체이다.
이하 본고안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살충재를 살충제통(5)에 채워넣은후 본체(1a)의 하단에 결합시키고 연료통연결관(20)에 액화부탄가스가 들어있는 공지의 연료통(4)을 결합시킨다음, 밸브몸체(17)의 조절핸들(18)을 조금 회전시켜 연료가 공급되게 한다.
즉, 연료통(4)의 연료가 연료통연결관(20)을 통해 밸브몸체(17)로 유입되고 다시 통로(15)와 노즐(11) 및 연료간(3)을 통해 유입되는데, 이때 노즐(11)을 통해 분사되면서 연료의 분사되는 압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구멍(16), (12), (13)을 통해 빨려들어가면서 연료와 혼합되어 완전히 연소되기 적합한 상태는 아니지만 어느정도 비율로 미리 혼함이된다.
연료가 공급되기 시작하면 분체(1a) 일측에 설치한 점화버튼(8)을 눌러 연료를 점화시켜주는데, 연소부(30)의 연소망(31) 옆에 형성된 통로(34)를 통해 일부의 연료가 흘러 나오므로 점화플러그(33)에서 불꽃이 발생하면 최초점화가 이루어지고 곧이어 연소망(31)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에 점화되어 불꽃이 앞쪽으로 뻗어나가게 된다.
점화를 원료한 상태에서 가열코일(36)이 달아오르도록 잠시 기다린후 작동레바(6)를 작동시켜 펌프작동부(40)를 작용시키는데, 작동레바(6)를 누르면 핀(6')을 중심으로 지렛대 작용을 하므로 작동간(7)을 젖히게 되고 작동간(7) 역시 핀(7')을 중심으로 젖혀지면서 펌프작동부(40)의 피스톤(43)을 밀어주게 된다.
최초에 피스톤(43)이 눌려질때는 펌프관체(41) 내부에 공기가 들어있으므로 공기가 볼플런저(46)를 밀고 연결관(47)을 통해 배출되지만 피스톤(43)이 후진할때는 볼플런저(46)는 닫기고 흡입관(48)의 볼(50)이 들려올라가면서 살충제통(5)의 살충재가 흡입관(48)을 타고 펌프관체(41)내로 유입되며, 다시 피스톤(43)이 전진하면 펌프관체(41) 내부의 살충제는 볼(50)이 흡입관(48)을 막게되어 흡입관(48)으로는 유입되지 않으면서 볼플런저(46)를 밀고나가 연결관(47)을 통해 가열코일(36)로 유입된다.
살충재는 가일코일(36)을 통과하면서 액체상태에서 기체상태로 바뀐채 분무노즐(37)을 통해 외부로 분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고안은 종래의 살충연무기에 비하여 여러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는데, 우선 본체(1a)의 뒷쪽 즉 연료통(4)이 결합되는 부분 바로위에노즐(11)과 공기구멍(12), (13), (16)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료가 연소부(30)에 다다르기전 어느정도 공기와 혼합된 상태가 되고 연소부(30)에서 다시 공기와 혼합되어 충분한 혼합기가 형성되므로 불완전연소되는 경우가 없게되며 그에따라 연소효율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또 내부에 스케일이 생겼을 때도 연결너트(14)만 풀어주면 연료밸브장치(10)가 분리되므로 손쉽게 내부청소가 가능하고, 연결너트(14)를 분리한 후 연료관(3)을 대신하여 토오치관을 결합하면 토오치램프로 사용할수도 있다.
또한 연소부(30)에서 연료가 연소될때 불꽃이 전방을 향하면서 가열코일(36)에 열을 가해주므로, 불꽃이 가열코일(36)의 일정부분만을 가열하게 되는 경우를 최대한 줄일수 있으면서 가열코일(36)을 골고루 효율적으로 가열할수 있게 되는 것이며, 연소부(30)에서는 연료가 연소망(31)을 통과한 다음에 연소되므로 불꽃이 달려들어가는 경우를 막을수 있는데, 이는 연소망(31)이 공기 차단역할을 하여 연소망(31)이 안쪽에서는 연료가 연소될수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불꽃이 전방을 행해 분사됨으로 인해 살충연막소독기(1)를 사용시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거나 바람이 불더라도 불꽃이 일측으로 쏠리는 경우를 최대한 예방할수 있으므로 연료를 절약하면서도 살충제가 충분히 기화된 상태로 분무시킬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살충제를 압송시키는 펌프작동부(40)에서는 작동레바(6)가 위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1a)의 손잡이부(2)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 편리하게 작동레바(6)를 작동시킬수있는 편리한 점이있고, 펌프작동부(40)가 본체(1a)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어서 외관상 깔끔할뿐아니라 흡입관(48)이 살충제통(5)의 바닥에 근접한 곳까지 닿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살충제통(5)내지 살충제를 한번에 거의 모두 소모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살충제가 가열코일(30)에 유입된후 고정링(32)의 외부에 감긴부분을 통과할때 연료관(3) 끝부분의 열이 전도된 고정링(32)을 식혀주는 기능을 하므로 연료관(3)의 열에의해 본체(1a)가 녹아드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휴대용 살충연막 소독기(1)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a)의 후단에 연료통(4)이 설치되는 연료밸브장치(10)를 구성하면서 밸브(19)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연료관(3) 끝단부에 공기통로(12), (13)을 형성하고 연료관(3)은 직선으로 본체(1a)를 관통하게 설치하여 본체(1a)의 앞쪽에 연소부(30)를 형성하되 연료간(3)의 끝단내부에 연소망(31)을 삽설하여 불꽃이 직선으로 분출되게 끔 하며, 작동레바(6)는 손잡이부(2)의 상부로 돌출되게 하고 작동레바(6)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작동부(40)를 본채(1a)의 내부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연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연료관(3)의 끝에 각 몇개씩의 공기통로(12), (13)를 형성하고 그다음에 연결너트(14)를 이용하여 밸브몸체(17)를 결합시키되 연료관(3)의 내부로 돌출되는 밸브몸체(17)의 선단에 노즐(11)을 결합하면서 연결너트(14)에도 공기통로(16)를 형성하여 연료관(3)의 공기통로(12)와 연통되게 하며, 상기 밸브몸체(17)에는 조절핸들(18)을 나사결합시켜 선단의 개폐부(19)가 통로(15)를 개폐토록 구성하면서 밸브몸체(17)의 하단에 공지의 연료통(4)을 결합할수 있게 된 연료통연결관(20)을 연결시켜 연료통(4)의 연료가 연료통연결관(20)을 통해 밸브몸체(17)로 유입되고 조절핸들(18)이 개방될때 통로(15) 및 노즐(11)을 거쳐 연료관(3)으로 유입되면서 공기통로(12), (13), (16)를 통해 공기가 혼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연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1a) 선단쪽의 연소부(30)에는 연료관(3)의 끝단에 연소망(31)을 삽설한 후 외부에는 고정링(32)을 삽입하되 고정링(32)에 점화플러그(33)를 삽설하고 연료관(3)과 고정링(32) 사이에 약간의 연료가 새어나갈수 있는 통로(34)를 형성하며, 가열코일(36)은 고정링(32) 외면을 몇바퀴 감은후 작은 직경으로서 연소망(31) 앞쪽으로 돌출되게 감기도록 하고 가열코일(36) 전체를 가열망체(35)로 덮어주며, 가열코일(36) 맨끝의 분무노즐(37)에는 나사부(39)를 형성하여 길이가 긴 연결용관(38)을 연결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연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펌프작동부(40)를 펌프몸체(41)에 밀폐용패킹(42), (42')이 결합된 피스톤(43)을 삽설한후 캡(44)으로 고정시키고 캡(44)의 후단으로 돌출되는 피스톤(43)의 후단부에는 스프링(45)을 장착하여 원복기능을 하도록 하며, 펌프몸체(41)의 타측에는 볼플런저(46)를 설치한 후, 연결관(47)을 가열코일(36)로 연결시키고, 펌프몸체(41)의 아랫쪽에는 흡입관(48)을 연결하되 상단에는 안착요홈(49)을 형성한 후 볼(50)을 삽입하여 피스톤 후진시에만 살충제가 흡입되게 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연무기.
KR2019970036656U 1997-12-09 1997-12-09 휴대용 살충연무기 KR200188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656U KR200188669Y1 (ko) 1997-12-09 1997-12-09 휴대용 살충연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656U KR200188669Y1 (ko) 1997-12-09 1997-12-09 휴대용 살충연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13U KR19990024213U (ko) 1999-07-05
KR200188669Y1 true KR200188669Y1 (ko) 2000-07-15

Family

ID=1951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656U KR200188669Y1 (ko) 1997-12-09 1997-12-09 휴대용 살충연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6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81B1 (ko) * 2006-02-14 2006-06-02 (주)크린파워 열교환기
CN105432589A (zh) * 2015-12-13 2016-03-30 重庆金合蚊香制品有限公司 能持续有效的电热蚊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13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932B1 (ko) 휴대용 연무연막 살충기
KR200449329Y1 (ko) 연막 및 연무겸용 휴대형소독기
KR200188669Y1 (ko) 휴대용 살충연무기
KR20060125153A (ko) 소독약제 분사장치
CN104115808B (zh) 一种烟雾机点火系统
KR100309797B1 (ko) 휴대용 분무기
KR200283605Y1 (ko) 휴대용 연무 연막 살충기
KR100266346B1 (ko) 연막 분무 살충기
KR200298660Y1 (ko) 휴대용 분무기
KR102525916B1 (ko) 방역장치
KR200242858Y1 (ko)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KR102325387B1 (ko) 연막소독기
KR100360338B1 (ko)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KR200179865Y1 (ko) 휴대용 살충기
KR200423511Y1 (ko) 가스성화봉
CN218626961U (zh) 背负式电控小型植保机械的柴油燃烧室
KR19990039316U (ko) 휴대용 연무 연막 벌레 살충기
KR200201050Y1 (ko) 해충 방제용 살충기
KR200381275Y1 (ko) 해충 퇴치용 무음 연막 소독기
KR19990039317U (ko) 휴대용 연무 연막 벌레 살충기
KR20000026258A (ko) 연막 소독기
KR200221461Y1 (ko) 연무 소독기
KR19990024238A (ko) 전기가열식 분무장치
KR100255290B1 (ko) 휴대용 살충기의 기화부 구조
KR200272651Y1 (ko) 연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