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916B1 - 방역장치 - Google Patents

방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916B1
KR102525916B1 KR1020210007986A KR20210007986A KR102525916B1 KR 102525916 B1 KR102525916 B1 KR 102525916B1 KR 1020210007986 A KR1020210007986 A KR 1020210007986A KR 20210007986 A KR20210007986 A KR 20210007986A KR 102525916 B1 KR102525916 B1 KR 102525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valve
pipe
chemical
combus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377A (ko
Inventor
배현식
Original Assignee
배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현식 filed Critical 배현식
Priority to KR102021000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91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2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by flame or combus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관내에서 가열된 공기의 일부를 기화기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서 겨울철 기화기의 결빙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약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약제밸브에 전기적 신호로 작동하는 전자밸브를 설치하여. 리미트스위치의 전기신호에 따라 약제밸브의 유로를 즉각적으로 폐쇄시켜 불필요한 약재의 유출을 방지함은 물론 유출된 약제에 포함된 휘발성분으로 인한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연소관의 입구에 연막이 상향으로 분무되도록 유도하는 연막 상향 분무유도관을 설치하여 높은 위치의 농작물 등의 방역시 장치를 기울일 필요없이 연막을 효과적으로 분무시킬 수 있도록 한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역장치{Preventative Equipment}
본 발명은 방역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화기의 결빙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전원이 차단되고 나면 연소관으로 공급되는 약제의 공급을 즉각적으로 차단하여 약제의 유출로 인한 자원낭비 및 화재발생을 방지토록 한 방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요즈음 예전에는 자취를 감추었던 각종 전염병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림 재선충 과수원 대단위 농작물 및 가로수등에 농약 살포, 쓰레기 매립장 소독, 구제역 및 콜레라 예방을 위한 축사 내외부 방역, 소독등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역작업에 사용되는 장비가 방역장치이다.
이러한 방역작업에 사용되는 방역장치로는 약제의 분사방식에 따라 연막, 연무장치와 분무장치로 나뉘어진다.
상기 연막, 연무장치(이하에서는 방역장치라 칭함)는 약제와 경유를 혼합시켜 방역자치를 통해 기화시키거나 혹은 약제와 물,확산제를 방역장치가 포그(FOG) 형태 즉, 물안개형태로 뿜어주는 장치로서 통상 과수원 산림 각종 농작물등의 병해충 구제(연무기능시)나 축사 및 해충 서식지 소독용(연막 기능시)에 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분무장치는 약재를 포그형태보다 큰 입자로 직접 분사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분무장치는 구제역이나 규모가 큰 가축사육장의 소독시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종래 방역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약제탱크, 엔진, 펌프 및 분무관으로 크게 구성하여, 사용시 기화기가 가동되면 연소실에서 연속적인 폭발 작용으로 만들어진 고압의 공기압이 약제탱크의 약액을 펌핑하여 약제노즐로 공급되면 연소실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가 약액을 기화시키면서 연막 또는 연무 형태로 분사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방역장치는 이동의 편리함을 위해 통상적으로 차량이나 오토바이 혹은 대차 등에 탑재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오토바이 탑재용 방역장치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고 등록번호 제 20-0357803 호(명칭 : 다기능 방역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엔진의 동력으로 제 1약제탱크 내의 약제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제 1연결호스로 연결되며 제 1스위치부의 동작에 따라 약제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어밸브의 작동에 따라 유입된 약제를 분무하는 분무노즐로 이루어진 분무장치와, 상기 분무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 2, 3스위치부의 작동에 따라 제 2약제탱크에서 유입된 약제를 연기나 포그 형태로 분무하는 연막, 연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선행기술의 방역장치는 사람이 직접 장치를 들거나 혹은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의 이동수단에 실어서 방역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방역장치는 동절기 방역시에 기화기 내부로 차가운 외기가 혼합되어 기화기 내부에 설치된 에어밸브에 결로현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방역장치는 기화기(카브레타)를 통한 연소실의 폭발장치에서 발생한 고압의 에어 일부가 약제탱크로 공급되면 약제는 약제밸브를 거쳐 연소관 중간부분의 약제노즐에서 액체 상태의 약제를 분사하면 기화기를 통한 연소실의 폭발장치에서 발생한 고압의 에어가 약제노즐에서 분사되는 액체상태의 약제를 고압의 힘으로 기화시켜 연막을 분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선행기술의 방역장치는 기화기의 오프 상태에서 약제밸브를 닫아주기 전 까지는 약제탱크에 잔류하는 에어의 압력에 의해 약제가 연소관에 연결된 약제노즐로 계속 유출되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연소관내에서 폭발 배기 공정상 발생한 고열로 인해서 흘러 내리는 약제가 기화되지 못하고 화염이 분출되어 화재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고, 연무로 농작물에 방제시에는 기화되지 못한 농약이 작물에 떨어지면 농작물에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연소관은 직선 형태로 분사되는 데, 과수 또는 높은 위치에 분사하기 위해 분사관을 높은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연료탱크나 약제탱크의 내용물이 아래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시동이 꺼지거나 약제분사가 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뿐 만 아니라 농가의 작물에 병충해 방지를 위해 약품을 분무할 때에는 작물의 잎 바닥면에 붙어 있는 병충해로 연막이 집중적으로 분무되지 못해 병충해 방지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7-0099337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관내의 가열된 공기의 일부를 기화기로 공급하여 겨울철 기화기의 결빙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제밸브에 전자밸브를 설치하고, 전자밸브는 전원스위치의 차단동작과 동시에 차단되고 기화기의 가동이 불시에 중단되면 리미트스위치로 공급되던 공기압이 중단되어 리미트스위치가 단락되면 약제밸브의 유로를 즉각적으로 폐쇄시켜 불필요한 약재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한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연소관의 입구에 연막이 상향으로 분무되도록 유도하는 연막 상향 분무유도관을 설치하여 높은 위치의 농작물 등의 방역시 장치를 기울일 필요없이 연막을 효과적으로 분무시킬 수 있도록 한 방역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소관을 통해 약제를 기화시킨 상태로 분무하는 방역장치에 있어서,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에 각각 지지되며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탱크 및 휘발성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공급받은 상태에서 공기와 혼합하여 상기 연소관으로 공급하는 기화기, 상기 약제탱크와 상기 연소관을 연결하며 상기 약제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를 상기 연소관으로 배출하는 약제배출관 및 상기 약제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약제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약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약제밸브로 구성하며, 상기 기화기와 상기 연소관을 연결하는 파이프관에는 상기 연소관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기화기로 공급하는 공기이송관이 설치되며, 상기 약제밸브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상기 약제밸브의 유로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전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전자밸브는 리미트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기화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화기의 가동 중지에 따른 상기 기화기의 공기 압력이 떨어질 때,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동시에 접점 "오프"되며 상기 전자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약제밸브의 유로를 폐쇄시키도록 하며, 상기 연소관의 선단에는 연막을 상향으로 분무시키는 연막 상향 분무 유도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소관내에서 가열된 공기의 일부를 기화기로 공급하도록 함으로서 겨울철 기화기의 결빙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약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약제밸브에 전기적 신호로 작동하는 전자밸브를 설치하여. 리미트스위치의 전기신호에 따라 약제밸브의 유로를 즉각적으로 폐쇄시켜 불필요한 약재의 유출을 방지함은 물론 유출된 약제에 포함된 휘발성분으로 인한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연소관의 입구에 연막이 상향으로 분무되도록 유도하는 연막 상향 분무유도관을 설치하여 키가 큰 과수나무나 높은 위치의 농작물을 방역하기 위해 장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약제를 집중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역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약제밸브 및 전자밸브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연소관의 선단에 결합된 연막 상향 분무 유도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역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약제밸브 및 전자밸브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연소관의 선단에 결합된 연막 상향 분무 유도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방역장치는 약제탱크(12)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의 약제를 연무 형태로 분무시켜 각종 해충을 박멸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치로서, 본체케이스(10), 약제탱크(12), 연료탱크(60), 컴프레셔(40), 기화기(70), 연소관(110), 전원스위치(1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는 직육면체 형태로 내부에는 방역장치의 각종 구성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약제탱크(12)는 해충 박멸을 위한 연막에 사용되는 약제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상기 약제탱크(12)는 본체케이스(10)의 외측에 장착된다. 상기 약제탱크(12)에는 기화기와 에어유로로 연결되어, 상기 기화기에서 만들어진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아 약제밸브를 거쳐 연소관으로 약제를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약제탱크(12)에는 연소관(110)으로 공급되는 약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약제밸브(20) 및 상기 약제밸브(20)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전자밸브(30)가 더 설치된다.
기화기(70)는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기화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기화기(70)에는 초기 점화를 위한 컴프레셔(40)와 스파크플러그(미 도시 함)가 연결 설치된다. 컴프레셔(40)는 전원스위치(130)의 동작으로 베터리(미 도시 함)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작동하며 고압의 에어를 에어공급관(74)을 통해 연료탱크(60)로 공급하여 연료를 기화기로 공급한다. 상기 기화기(70)로 공급된 연료는 연소관(110)의 연소실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스파크플러그에서 점화되어 폭발하며 점화가 이뤄지고, 이 과정에서 고압의 에어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한 에어는 연료탱크(60) 및 약제탱크(12)로 각각 공급되어 진다. 연료탱크(60)로 공급된 에어의 압력으로 연료는 기화기(70)로 계속 공급되어 기화기(70)를 구동시키고, 약제탱크(12)로 공급된 에어의 압력으로 약제는 약제노즐로 배출되는 데, 이때 약제노즐로 배출된 약제는 기화기로 공급된 연료와의 혼합으로 기화되어 연소관(110)을 통해 외부로 분무시키게 된다.
상기 기화기(70)와 연소관(110)을 연결하는 파이프관(72)에는 니플(75)을 부착하여 가열된 공기를 기화기(70)의 흡입구로 보내는 공기 이송관(76)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 이송관(76)은 기화기(70)에서 연소관(110)으로 유입되는 가열된 공기의 일부를 기화기(70)의 흡입구로 전달하여 기화기(70) 내부의 결빙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약제탱크(12)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는 약제밸브(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연소관(110)으로 공급 및 공급 차단되는 데, 이때 방역장치의 전원스위치(130)를 스위칭 "오프" 시키더라도 약제탱크(12)에는 연소관에서 공급된 고압의 에어가 아직 잔류하고 있어 약제밸브(20)의 레버(29)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닫아주기 전까지는 약제가 계속 연소관(110)으로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데, 이와 같이 연소관(110)으로 약제가 계속 공급되면 약제는 연막 형태로 분무되지 못하고 액체 형태로 버려지게 됨으로서 방제효과도 없을 뿐더러. 불필요한 약제의 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약제에 포함된 휘발성분이 폭발하여 전원스위치가 꺼지더라도 연소관에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위험도 있다.
첨부된 도 2, 3에서와 같이 약제탱크(12)에는 전원스위치의 스위칭 오프 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약제의 공급을 즉각적으로 차단하는 약제 공급 제어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약제 공급 제어수단은 리미트스위치(50), 상기 리미트스위치(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밸브(30)를 포함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50)는 기화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화기 내부의 공기의 압력으로 접점 "온"상태를 유지하며, 기화기의 가동이 정지되어 공기의 압력이 빠져나오면 접점 "오프" 동작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50)의 접점 "오프" 상태가 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전자밸브(30) 역시 전원의 차단과 함께 자동 "오프"되며 약제밸브(20)의 유로(22)를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원스위치(130)를 오프시킨 후, 다시 약제밸브(20)의 레버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약제밸브(20)를 통해 연소관(110)으로 공급되는 약제를 즉각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약제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약제에 섞여있는 휘발성분으로 인해 자칫 화염이 분출되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은 전자밸브(30)와 약제탱크(12)에 설치되어 있는 약제밸브(20)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약제밸브(20)는 약제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를 연소관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밸브이다.
상기 약제밸브(20)는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유로와 연결하여 통하는 약제공급관(24) 및 약제배출관(28)이 연결된다.
상기 약제공급관(24)은 약제탱크(12)와 약제밸브(20)를 연결하며 상기 약제탱크(12)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를 약제밸브(20)로 공급한다. 약제탱크(12)는 전술한 에어펌프(40)에서 공급된 에어의 압력에 의해 약제를 약제공급관으로 강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약제배출관(28)은 약제밸브(20)와 연소관(110)을 연결하며 상기 약제밸브(20)의 유로(22)를 통과한 약제를 상기 연소관(110)의 내부로 배출시킨다. 연소관(110)으로 배출된 약제는 기화기(70)에서 점화된 연료의 폭발 배기가스에 의해 연막 형태로 바뀐 상태에서 외부로 분무된다.
상기 약제밸브(20)의 상면에는 전자밸브(30)가 설치된다.
상기 전자밸브(30)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약제밸브(20)의 유로(22)를 개방시켜 약제가 연소관(11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전원스위치(130)를 스위칭 "오프"함과 동시에 리미트스위치(50)의 접점 "오프"신호를 받아 전원이 차단되며 유로(22)를 즉각 폐쇄시켜 약제의 배출을 차단하는 밸브이다.
상기 전자밸브(30)는 약제밸브(20)의 유로(22)를 덮어주는 시트(34), 상기 시트(34)에 연결되는 가동철심(36), 상기 가동철심(36)의 외면을 포위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자력을 발생시켜 가동철심(36)을 이동시키는 코일(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밸브(30)의 폐쇄동작은 방역장치의 전원스위치(130)를 스위칭 "오프" 하면 에어펌프(40)의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리미트스위치(50)는 접점 "오프"되고, 이와 동시에 전자밸브(30)로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되며 시트(34)를 초기상태로 복귀시켜 약제밸브(20)의 유로(22)를 폐쇄하게 됨으로서, 연소관(110)으로 배출되는 약제를 즉각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소관(110)의 선단에는 연막을 상향으로 분무하도록 유도하는 연막 상향 분무 유도관(12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연막 상향 분무 유도관(120)은 도 4에서와 같이 연소관(110)에서 분무되는 연막을 전방이 아니라 연소관(70)의 윗 방향으로 분출시키도록 유도한다. 연막을 윗 방향으로 분무되도록 유도한 것은 방역장치를 농가에서 작물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해 연막을 살포할 때, 해충들이 주록 서식하고 있는 작물 잎 바닥으로 연막을 보다 집중적으로 살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또한 연막 상향 분무 유도관(120)을 통해 키가 큰 과수나무나 높은 위치의 농작물을 방역하기 위해 장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약제를 집중적으로 살포할 수 있다.
10: 본체케이스 12: 약제탱크
20: 약제밸브 22: 유로
24: 약제공급관 28: 약제배출관
30: 전자밸브 40: 컴프레셔
50: 리미트스위치 60: 연료탱크
70: 기화기 76: 공기이송관
110: 연소관
120: 연막 상향 분무 유도관 130: 전원스위치

Claims (1)

  1. 연소관을 통해 약제를 기화시킨 상태로 분무하는 방역장치에 있어서,
    본체케이스(10);
    상기 본체케이스(10)에 각각 지지되며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탱크(12) 및 휘발성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60);
    상기 연료탱크(60)에 저장된 연료를 공급받은 상태에서 공기와 혼합하여 상기 연소관(110)으로 공급하는 기화기(70) ;
    상기 약제탱크(12)와 상기 연소관(110)을 연결하며 상기 약제탱크(12)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를 상기 연소관(110)으로 배출하는 약제배출관(28) 및 ;
    상기 약제탱크(12)에 설치되며 상기 약제배출관(28)으로 배출되는 약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약제밸브(20)로 구성하며;
    상기 기화기(70)와 상기 연소관(110)을 연결하는 파이프관(72)에는 상기 연소관(110)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기화기(70)로 공급하는 공기이송관(76)이 설치되며;
    상기 약제밸브(20)에는 약제 공급 제어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약제 공급 제어수단은 상기 기화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화기(70) 내부의 공기의 압력으로 접점 "온"상태를 유지하며, 전원스위치(130)의 스위칭 "오프" 동작으로 상기 기화기(70)의 가동이 정지되어 공기의 압력이 빠져나오면 접점 "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리미트스위치(50);
    상기 리미트스위치(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상기 약제밸브(20)의 유로(22)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전자밸브(30)로 구성하며;
    상기 전자밸브(30)는;
    상기 약제밸브(20)의 유로(22)를 덮어주는 시트(34);
    상기 시트(34)에 연결되는 가동철심(36);
    상기 가동철심(36)의 외면을 포위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자력을 발생시켜 가동철심(36)을 이동시키는 코일(32)로 구성하며;
    상기 전자밸브(30)는 상기 리미트스위치(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50)는 상기 기화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동 중지에 따른 상기 기화기(70)의 공기 압력이 떨어질 때, 상기 리미트스위치(50)는 접점 "오프"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밸브(30)의 전원은 차단되며 상기 전자밸브(30)의 시트(34)를 초기상태로 복귀시켜 상기 약제밸브(20)의 유로(22)를 폐쇄시켜, 상기 연소관(110)으로 배출되는 약제를 차단하도록 하며;
    상기 연소관(110)의 선단에는 상기 연소관(110)에서 분무되는 연막을 상기 연소관(100)의 윗 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유도하는 연막 상향 분무 유도관(12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장치.
KR1020210007986A 2021-01-20 2021-01-20 방역장치 KR102525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86A KR102525916B1 (ko) 2021-01-20 2021-01-20 방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986A KR102525916B1 (ko) 2021-01-20 2021-01-20 방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377A KR20220105377A (ko) 2022-07-27
KR102525916B1 true KR102525916B1 (ko) 2023-04-25

Family

ID=82701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986A KR102525916B1 (ko) 2021-01-20 2021-01-20 방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9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101Y1 (ko) 1997-07-08 1999-08-16 이창기 휴대용 방역분무기
KR200298660Y1 (ko) * 2002-09-11 2002-12-26 오상근 휴대용 분무기
KR200425476Y1 (ko) 2006-05-27 2006-09-19 배경주 해충 방제용 연무기의 안전장치
JP2008043941A (ja) 2006-08-10 2008-02-28 Andreas Stihl Ag & Co Kg 可搬型噴霧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09B1 (ko) 2016-06-20 2017-12-12 주식회사 보성 농약 살포용 드론
KR20180085516A (ko) * 2017-01-19 2018-07-27 이민수 방역용 연막,연무 소독기의 기화기 결빙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101Y1 (ko) 1997-07-08 1999-08-16 이창기 휴대용 방역분무기
KR200298660Y1 (ko) * 2002-09-11 2002-12-26 오상근 휴대용 분무기
KR200425476Y1 (ko) 2006-05-27 2006-09-19 배경주 해충 방제용 연무기의 안전장치
JP2008043941A (ja) 2006-08-10 2008-02-28 Andreas Stihl Ag & Co Kg 可搬型噴霧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377A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913B1 (ko) 드론에 장착되는 방역장치의 제어시스템
KR101485706B1 (ko) 압축식 약액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포그 분사형 반자동 방역기
KR101322407B1 (ko) 연막기
KR102525916B1 (ko) 방역장치
KR20060125153A (ko) 소독약제 분사장치
KR100309797B1 (ko) 휴대용 분무기
KR200298660Y1 (ko) 휴대용 분무기
KR100266346B1 (ko) 연막 분무 살충기
KR101042853B1 (ko) 초미립자 분무기
KR102325387B1 (ko) 연막소독기
KR100361608B1 (ko) 연막 소독기
KR200425476Y1 (ko) 해충 방제용 연무기의 안전장치
KR200357803Y1 (ko) 다기능 방역장치
KR200188669Y1 (ko) 휴대용 살충연무기
KR20100134158A (ko) 히터를 이용한 연무장치
KR200207941Y1 (ko) 연무 소독기
KR200242858Y1 (ko)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KR102639942B1 (ko) 무인 전자동 연무기를 이용한 방역방법
KR200264596Y1 (ko) 고압추진 농약 방제기
KR100360338B1 (ko)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KR100500953B1 (ko) 소형 연막 소독기
KR200221461Y1 (ko) 연무 소독기
KR200283605Y1 (ko) 휴대용 연무 연막 살충기
KR970002393Y1 (ko) 젯트엔진식 분무기의 노즐구조
CN215531103U (zh) 手持气药喷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