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797B1 - 휴대용 분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797B1
KR100309797B1 KR1019990015643A KR19990015643A KR100309797B1 KR 100309797 B1 KR100309797 B1 KR 100309797B1 KR 1019990015643 A KR1019990015643 A KR 1019990015643A KR 19990015643 A KR19990015643 A KR 19990015643A KR 100309797 B1 KR100309797 B1 KR 100309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drug
tank
air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646A (ko
Inventor
오상근
Original Assignee
오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근 filed Critical 오상근
Priority to KR101999001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79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66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burning insecticide, e.g. impregnated candles, burning co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88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using a burner or a flame as heat sour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의 연무 및 연막 작업을 수행하는 휴대용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버너(40)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50)와, 가스버너(40)의 연소열에 의해 기화되는 약제를 분사시키는 분사장치(90)를 구비한다. 휴대용 분무기의 몸체(10)는 좌측 및 우측 분할체(10a, 10b)로 분할된다. 몸체(10)의 조립구멍(18)에는 약제탱크(60)의 보스(62)가 조립되는 것으로, 보스(62)의 상면에 제1 및 제2 연결관(66, 68)이 돌출형성되며, 약제탱크(60)의 외면에는 약제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마개(72)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주입구(70)가 형성된다. 약제탱크(60)의 제1 연결관(66)과 분사장치(90)의 주약제공급관(92)은 보조약제공급관(80)에 의해 연결되며, 약제탱크(60)의 제2 연결관(68)에는 공기공급관(110)이 연결된다. 그리고, 몸체(10)의 손잡이(14)에는 펌핑장치(120)가 공기공급관(110)을 통하여 약제탱크(6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공기공급관(110)과 펌핑장치(120)의 실린더(122) 사이에는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첵밸브(130)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제탱크 내의 약제가 펌핑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내압에 의해 분사되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약제의 누출이 방지되며, 약제에 의한 부품의 부식 및 고장이 방지된다. 그리고, 유연성을 갖는 보조약제공급관과 공기공급관의 사용으로 조립성이 향상되며, 생산 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분무기{PORTABLE ATOMIZER}
본 발명은 약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약제를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시켜 연무 및 연막 작업을 수행하는 휴대용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분무기는 과수, 채소, 벼 등과 같은 경작지의 분무소독이나 양돈, 낙농, 양계 등의 축사방역을 위한 농축산용 뿐만 아니라, 공장, 빌딩, 주택 등의 방역용으로 작업자가 직접 들거나 메고 다니면서 방제 및 방역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치로 사용범위가 매우 넓다. 휴대용 분무기는 작동 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동력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소규모의 연무 및 연막 작업에는 수동식 휴대용 분무기가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분무기에 대한 예를 살펴보면, 몸체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선단에는 부탄가스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분사시켜 연소시키는 가스버너와, 이 가스버너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시켜 연소시키기 위한 점화장치가 각각 설치된다.
한편, 몸체의 하부에는 약제탱크의 입구가 나사 방식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며, 약제탱크 내의 약제는 가스버너의 주위를 지나는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사된다. 분사장치는 약제탱크의 바닥에 인접되도록 연결되는 약제공급관과, 이 약제공급관에 가스버너의 주위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가열코일을 갖추고 있다. 약제탱크 내의 약제는 펌핑장치의 양수에 의해 약제공급관으로 송출된다. 펌핑장치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약제공급관이 연결되는 실린더 내를 왕복운동하는 플런저로 구성되고, 실린더는 입구를 통하여 약제탱크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휴대용 분무기는 가스버너를 통하여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장치의 점화에 의해 연소시켜 가스버너를 가열시킨 후, 펌핑장치의 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플런저의 왕복운동에 의해 실린더 내의 약제가 약제공급관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약제공급관으로 송출된 약제는 가열코일을 지나면서 기화된 후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분무기는, 약제가 플런저의 왕복운동에 의해 실린더 내에 배제되어 있던 양만큼만 약제공급관으로 송출되므로, 연무 및 연막 작업시에 펌핑장치의 레버를 계속해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몸체의 하부에 약제탱크의 입구가 나사 방식에 의해 조립되므로, 약제탱크 내의 약제가 입구를 통하여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휴대용 분무기가 쓰러지거나 꺼꾸로 세워진 때에는 물론이고 운반 및 사용중에 흔들릴 때에도 약제탱크 내의 약제가 입구를 통하여 몸체로 흘러들어가 누출되며, 그에 따른 부식 및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약제에 의한 부식 및 고장은 약제탱크에 위치하는 펌핑장치의 실린더와 플런저에 특히 심하게 발생되며, 이 결과 제품의 수명을 크게 단축시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약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와 약제탱크의 연결부분에 패킹을장착하고 있으나, 몸체로 흘러들어가 발생되는 약제의 누출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지는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패킹의 사용은 부품수를 증가시켜 조립성의 저하는 물론, 생산 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휴대용 분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제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한 휴대용 분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제에 의한 부식 및 고장이 방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휴대용 분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관이 용이해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휴대용 분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4: 손잡이
18: 조립구멍 30: 부탄가스탱크
38: 가스밸브 40: 가스버너
50: 점화장치 60: 약제탱크
62: 보스 66, 68: 제1 및 제2 연결관
70: 주입구 80: 보조약제공급관
84: 약제밸브 90: 분사장치
110: 공기공급관 120: 펌핑장치
122: 실린더 124: 플런저
130: 첵밸브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가스를 분사시켜 연소시키는 가스버너와, 가스버너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와, 가스버너의 연소열에 의해 기화되는 약제를 분사시키는 분사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분무기에 있어서, 좌측 분할체와 우측 분할체로 분할되고,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하부에 조립구멍이 형성되며, 조립구멍의 내면에 고정돌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조립구멍에 보스가 조립되고, 보스의 상면에는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이 각각 돌출형성되며, 외면에 약제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마개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보스에는 몸체의 고정돌기가 끼우져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약제탱크와; 약제탱크의 제1 연결관과 분사장치의 주약제공급관을 연결하는 유연성을 갖는 보조약제공급관과; 약제탱크의 제2 연결관에 연결되는 유연성을 갖는 공기공급관과; 몸체의 손잡이에 설치되고, 공기공급관을 통하여 약제탱크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실린더 내를 왕복운동하는 플런저를 갖는 펌핑장치와; 공기공급관과 실린더 사이에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장착되는 첵밸브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분무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분무기는 몸체(10)를 갖추고 있으며, 몸체(10)는 좌측 분할체(10a)와 우측 분할체(10b)로 분할되어 나사(12)의 체결에 의해 일체로 조립된다. 몸체(10)의 상부에 손잡이(14)가 형성되며, 손잡이(14)의 내면에는 제1 및 제2 고정판(16a, 16b)이 소정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형성된다. 몸체(10)의 하부에 조립구멍(18)을 갖는 보스(20)가 형성되고, 조립구멍(18)의 내면에는 고정돌기(22)가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다.
또한, 몸체(10)의 후단에 부탄가스탱크(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스가 공급되도록 부탄가스탱크(30)의 노즐(32)을 열어주는 커넥터(34)가 설치되며, 커넥터(34)에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조절손잡이(36)를 갖는 가스밸브(38)가 연결된다. 이 가스밸브(38)와 몸체(10)의 선단에 가스를 분사시켜 연소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스버너(40)가 가스공급관(42)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가스버너(40)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는 점화장치(50)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된다. 점화장치(50)는 몸체(10)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점화스위치(52)와, 이 점화스위치(52)와 전선(54)에 의해 연결되며 점화스위치(52)의 조작에 의해 가스버너(40)의 주위에 불꽃을 일으키는 점화플러그(56)로 구성된다. 점화스위치(52)는 접지편(58)에 의해 가스밸브(38)의 한쪽에 접지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0)의 조립구멍(18)에 약제를 저장하여 공급하기 위한 약제탱크(60)가 조립된다. 약제탱크(60)의 상면에는 몸체(10)의 조립구멍(18)에 끼워지는 보스(62)가 돌출형성되고, 보스(62)의 외면에는 조립구멍(18)의 고정돌기(2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고정홈(64)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스(62)의 상면에 구멍(66a, 68a)을 갖는 제1 및 제2 연결관(66, 68)이 각각 돌출형성된다. 약제탱크(60)의 외면에 약제의 주입이 가능한 주입구(70)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형성되며, 주입구(70)에는 마개(72)가 나사 방식에 의해 주입구(70)를 열고 닫아 줄 수 있도록 조립된다. 약제탱크(60)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타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약제탱크(60)의 외면 하부에는 약제탱크(60)의 무게 중심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곡면을 이루는 확장부(74)가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휴대용 분무기를 바닥에 놓을 때 약제탱크(60)의 안정감이 높아져 휴대용 분무기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제탱크(60)의 제1 연결관(66)은 유연성을 갖는 보조약제공급관(80)에 의해 약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조절손잡이(82)를 갖는 약제밸브(84)의 한쪽에 연결된다. 이때, 보조약제공급관(80)은 제1 연결관(66)의 구멍(66a)을 통하여 약제탱크(60)의 바닥에 근접되도록 연결시킨다. 그리고, 약제밸브(84)의 다른쪽에는 가스버너(40)의 주위를 지나는 분사장치(90)의 주약제공급관(92)이 연결되며, 주약제공급관(92)은 가스버너(40)의 주위를 감싸는 가열코일(94)을 갖추고 있다. 약제밸브(84)와 가열코일(94) 사이의 주약제공급관(92)에는 약제의 역류를 방지해 주는 첵밸브(96)가 장착되고, 주약제공급관(92)의 선단에는 가열코일(94)에서 기화된 약제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98)이 장착된다. 주약제공급관(92)은 금속관으로 이루어지며, 가스버너(40), 점화장치(50), 그리고 분사장치(90)는 안전커버(100)에 의해 감싸여진다.
한편, 약제탱크(60)의 제2 연결관(68)에 유연성을 갖는 공기공급관(110)이 연결된다. 몸체(10)의 손잡이(14)에는 수동 조작에 의해 공기공급관(110)을 통하여 약제탱크(60) 내에 외부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펌핑장치(120)가 설치된다. 펌핑장치(120)는 손잡이(14)의 제1 및 제2 고정판(16a, 16b) 사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실린더(122)와, 이 실린더(122) 내를 왕복운동하는 플런저(124)로 구성된다. 실린더(122)의 한쪽에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통기구멍(122a)이 형성되며 다른쪽에는 노즐(122b)이 장착된다. 실린더(122)의 노즐(122b)에는 공기공급관(110)이 연결되고, 플런저(124)는 몸체(10)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124a)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공기공급관(110)과 실린더(122) 사이에는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첵밸브(130)가 장착된다. 이 첵밸브(130)는 실린더(122)의 노즐(122b)쪽에 공기공급관(110)을 연결해 줄 수 있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약제탱크(60)는 좌측 분할체(10a)와 우측 분할체(10b)를 조립하여 몸체(10)를 구성할 때 조립하는 것으로, 몸체(10)의 조립구멍(18)에 형성된 고정돌기(22)가 약제탱크(60)의 고정홈(64)에 끼워지도록 좌측 및 우측 분할체(10a, 10b)를 나사(12)의 체결에 의해 조립시키게 되면, 약제탱크(60)의 보스(62)가 몸체(10)의 조립구멍(18)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몸체(10)와 약제탱크(60)의 조립 과정에서, 약제탱크(60)의 제1 연결관(66)과 제2 연결관(68) 각각에 보조약제공급관(80)과 공기공급관(110)을 각각 연결시킨다. 보조약제공급관(80)과 공기공급관(110) 각각은 유연성을 갖는 수지관으로 만들기 때문에 그 연결이 용이하여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금속관에 비하여 재료비가 싸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절감된다.
이와 같이 약제탱크(60)의 제1 및 제2 연결관(66)에 보조약제공급관(80)과 공기공급관(110)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약제탱크(60) 내의 약제는 주입구(70)가 마개(72)에 의해 막혀진 상태에서는 보조약제공급관(80)과 공기공급관(110)을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약제의 누출이 최소화된다. 예컨대, 휴대용 분무기가 쓰러지거나 꺼꾸로 세워진 때에도 약제탱크(60) 내의 약제가 보조약제공급관(80)과 공기공급관(110)으로 배출되어 몸체(10)로는 흘러들어가지 못하므로, 몸체(10) 및 그에 설치되어 있는 부품의 부식 및 고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약제밸브(84)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보조약제공급관(80)을 통한 약제의 누출이 완전히 방지되는 것이고, 공기공급관(110)으로 배출된 약제도 첵밸브(130)에 의해 누출이 완전히 방지된다.
또한, 펌핑장치(120)의 실린더(122) 및 플런저(124)는 공기공급관(110)의 연결에 의해 약제와 닿지 않는 구조로 갖게 되므로, 펌핑장치(120)의 부식 및 고장이 방지되며, 이 결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몸체(10)와 약제탱크(60) 등의 조립을 완료시킨 후, 약제탱크(60)의 주입구(70)를 통하여 살충제 또는 수화제 등과 같은 약제를 주입시키고 마개(72)에 의해 닫아준다. 이때, 약제는 연무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물과 적정하게 혼합하여 주며 연막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경유와 적정하게 혼합하여 준다. 약제탱크(60) 내에 약제의 저장을 완료시킨 후에는, 펌핑장치(120)의 손잡이(124a)를 이용하여 플런저(124)를 왕복이동시켜 주게 되면, 실린더(122) 내에 배제되어 있던 공기가 압축되면서 노즐(122b)과 공기공급관(110), 제2 연결관(68)의 구멍(68a)을 통하여 약제탱크(60) 내로 공급되며, 이로 인하여 약제탱크(60)의 내압이 높아지게 된다. 여기에서, 플런저(124)의 왕복운동은 대략 10 내지 15회 정도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공기의 공급에 의해 약제탱크(60)의 내압이 높아지는 것에 의해 약제탱크(60) 내의 약제가 보조약제공급관(80)으로 송출된다. 이때, 첵밸브(130)에 의해 약제탱크(60)로부터 실린더(122)로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며, 이로 인하여 대략 3 내지 5분 정도 약제의 송출이 지속되게 된다.
다음으로, 부탄가스탱크(30)를 커넥터(34)에 결합시켜 부탄가스탱크(30)의 노즐(32)을 열어준 후, 조절손잡이(36)의 조작에 의해 가스밸브(38)를 열어준다. 따라서, 부탄가스탱크(30) 내의 가스는 노즐(32)과 가스밸브(38), 가스공급관(42)을 통하여 가스버너(40)로 공급되어 분사된다. 가스버너(40)를 통하여 가스가 분사되는 상태에서 점화장치(50)의 점화스위치(52)를 조작하게 되면, 점화플러그(56)에 의해 불꽃이 일어나 가스버너(40)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시켜 주게 되며, 이에 따라 가스가 연소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스버너(40)의 연소열에 의해 약제공급관(50)의 가열코일(94)을 대략 1분 정도 가열시켜 준 후, 조절손잡이(82)의 조작에 의해 약제밸브(84)를 열어주게 되면, 약제탱크(60) 내의 약제가 보조약제공급관(80)과 약제밸브(84), 주약제공급관(92)을 통하여 가열코일(94)에 공급되고, 가열코일(94)에 공급된 약제는 기화되어 분사노즐(98)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며, 이로 인하여 약제의 연무 및 연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약제는 약제탱크(60)의 내압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필요시에만 펌핑장치(120)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여 약제탱크(60)의 내압을 높여시켜 주면 되므로, 연무 및 연막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무 및 연막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조절손잡이(36, 82)의 조작에 의해 가스밸브(40) 및 약제밸브(84)를 닫아 가스 및 약제의 공급을 각각 차단시키고, 커넥터(34)로부터 부탄가스탱크(30)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마개(72)를 열어 약제탱크(60)의 내압을 낮추어 준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분무기에 의하면, 약제탱크 내의 약제가 펌핑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내압에 의해 분사되므로,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약제탱크로부터 약제의 누출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약제에 의한 부품의 부식 및 고장이 방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연성을 갖는 보조약제공급관과 공기공급관의 사용으로 배관이 용이해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가스를 분사시켜 연소시키는 가스버너와, 상기 가스버너로부터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와, 상기 가스버너의 연소열에 의해 기화되는 약제를 분사시키는 분사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분무기에 있어서,
    좌측 분할체(10a)와 우측 분할체(10b)로 분할되고, 상부에 손잡이(14)가 형성되며, 하부에 조립구멍(18)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구멍(18)의 내면에 고정돌기(22)가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조립구멍(18)에 보스(62)가 조립되고, 상기 보스(62)의 상면에는 제1 연결관(66)과 제2 연결관(68)이 각각 돌출형성되며, 외면에 약제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마개(72)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주입구(70)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62)에는 상기 몸체(10)의 고정돌기(2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고정홈(64)이 형성되는 약제탱크(60)와;
    상기 약제탱크(60)의 제1 연결관(66)과 상기 분사장치(90)의 주약제공급관(92)을 연결하는 유연성을 갖는 보조약제공급관(80)과;
    상기 약제탱크(60)의 제2 연결관(68)에 연결되는 유연성을 갖는 공기공급관(110)과;
    상기 몸체(10)의 손잡이(14)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공급관(110)을 통하여 상기 약제탱크(6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실린더(122) 내를 왕복운동하는 플런저(124)를 갖는 펌핑장치(120)와;
    상기 공기공급관(110)과 실린더(122) 사이에 공기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장착되는 첵밸브(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분무기.
KR1019990015643A 1999-04-30 1999-04-30 휴대용 분무기 KR100309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643A KR100309797B1 (ko) 1999-04-30 1999-04-30 휴대용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643A KR100309797B1 (ko) 1999-04-30 1999-04-30 휴대용 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46A KR20000067646A (ko) 2000-11-25
KR100309797B1 true KR100309797B1 (ko) 2001-09-29

Family

ID=1958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643A KR100309797B1 (ko) 1999-04-30 1999-04-30 휴대용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7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29Y1 (ko) 2009-10-09 2010-07-01 하상수 연막 및 연무겸용 휴대형소독기
WO2012057404A1 (ko) * 2010-10-25 2012-05-03 Lee Ji Hoon 휴대용 연무연막 살충기
KR200462070Y1 (ko) 2009-11-10 2012-08-23 이지훈 휴대용 연무연막 살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799A (ko) * 2000-08-23 2002-03-02 이선치 병충해 방제용 훈연 방제기
KR101693491B1 (ko) * 2015-04-09 2017-01-17 (주) 한국산업기술 휴대용 자동연막분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936U (ko) * 1997-02-27 1998-10-26 오상근 휴대용분무기의 약제탱크 착탈구조
KR19990013360A (ko) * 1997-07-26 1999-02-25 최욱 휴대용 살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936U (ko) * 1997-02-27 1998-10-26 오상근 휴대용분무기의 약제탱크 착탈구조
KR19990013360A (ko) * 1997-07-26 1999-02-25 최욱 휴대용 살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29Y1 (ko) 2009-10-09 2010-07-01 하상수 연막 및 연무겸용 휴대형소독기
KR200462070Y1 (ko) 2009-11-10 2012-08-23 이지훈 휴대용 연무연막 살충기
WO2012057404A1 (ko) * 2010-10-25 2012-05-03 Lee Ji Hoon 휴대용 연무연막 살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46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797B1 (ko) 휴대용 분무기
KR200298660Y1 (ko) 휴대용 분무기
KR200179865Y1 (ko) 휴대용 살충기
KR200188669Y1 (ko) 휴대용 살충연무기
KR200207941Y1 (ko) 연무 소독기
KR200296979Y1 (ko) 연무기
KR200242858Y1 (ko)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KR200283605Y1 (ko) 휴대용 연무 연막 살충기
KR200381275Y1 (ko) 해충 퇴치용 무음 연막 소독기
KR101927800B1 (ko) 부탄가스 토치
KR102525916B1 (ko) 방역장치
KR100360338B1 (ko) 휴대용 연막 연무 살충기
KR200425476Y1 (ko) 해충 방제용 연무기의 안전장치
KR200227227Y1 (ko) 부탄가스를 이용한 방역소독분무기
KR100266346B1 (ko) 연막 분무 살충기
KR100255290B1 (ko) 휴대용 살충기의 기화부 구조
KR100500953B1 (ko) 소형 연막 소독기
CN218626961U (zh) 背负式电控小型植保机械的柴油燃烧室
KR200264596Y1 (ko) 고압추진 농약 방제기
KR200148899Y1 (ko) 방역용 약재 살포기
KR19990024238A (ko) 전기가열식 분무장치
KR101042854B1 (ko) 연무기
KR200221461Y1 (ko) 연무 소독기
KR970002393Y1 (ko) 젯트엔진식 분무기의 노즐구조
KR850000565Y1 (ko) 화염방사가 가능한 분무기의 연료 및 가압공기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