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854B1 - 연무기 - Google Patents

연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854B1
KR101042854B1 KR1020080115405A KR20080115405A KR101042854B1 KR 101042854 B1 KR101042854 B1 KR 101042854B1 KR 1020080115405 A KR1020080115405 A KR 1020080115405A KR 20080115405 A KR20080115405 A KR 20080115405A KR 101042854 B1 KR101042854 B1 KR 101042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bulizer
tip
exhaust pipe
disinfectant solu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517A (ko
Inventor
김의삼
이병관
허윤영
이윤석
Original Assignee
김의삼
이윤석
허윤영
이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삼, 이윤석, 허윤영, 이병관 filed Critical 김의삼
Priority to KR102008011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8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Nozzl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관의 출구 내측 둘레에 결합되는 팁을 상·하 채널 및 관통공을 갖는 연무돌기를 형성하므로써 연소관내의 배기관을 통해 기화된 소독액이 분출될 때 상·하 채널 및 연무돌기를 통과하기 때문에 기화된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발생시켜 안개형으로 연무화(煙霧化,fogging)되도록 하기 위한 연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무기는 연료가 수용되는 연료통(30)과; 연료통(3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소독액 저장탱크(20)에 저장되는 소독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본체(40) 및; 본체(40)에 결합되어 내측(52)에 본체(40)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관(60)이 설치되는 연소관(50)을 포함하되; 배기관(60)의 후단(62) 및 연소관(50)의 출구(54) 내측(52) 둘레에 설치되는 팁(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무기, 연소관, 연소관용 팁

Description

연무기{FOG MACHINE}
본 발명은 연무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소관의 출구 내측 둘레에 결합되는 팁을 상·하 채널 및 관통공을 갖는 연무돌기를 형성하므로써 연소관내의 배기관을 통해 기화된 소독액이 분출될 때 상·하 채널 및 연무돌기를 통과하기 때문에 기화된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발생시켜 안개형으로 연무화(煙霧化,fogging)되도록 하기 위한 연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무기는 휴대용으로 제작되어 공장, 빌딩, 주택 등의 방역용이나 과수, 채소 등과 같은 경작지의 분무 소독 및 양돈, 낙농, 양계 등의 축사방역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고, 작업자가 연무기를 차량 또는 손수레에 탑재하거나 아니면 직접 들거나 메고 다니면서 방제 및 방역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와 같은 연무기는 연료(휘발유, LPG, 경유, 등유)를 태워 소독액을 기화시키거나 증발시키는 방식과 가압분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연무기에 대한 기술이 다양하게 있는 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공개번호 실2000-0003207호 "연무 소독기"에서는 폭발부와 배기부로 구성된 폭발배기관의 입구에 기화기를 장치하여 연료를 폭발시키고 그 배기압력으로 약제를 분사하는 공지된 연무기에 있어서, 폭발배기관의 입구측에 연결관을 돌출시켜 내측부에는 코일형가열관을 부착하고 외측부에는 두 대의 기화기를 장치하여 그 경계부에 청소구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연료의 폭발을 강력하게 향샹시켜 고압의 배기가스가 배출되게 하여 소독액을 먼 거리까지 분무할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소독액에 혼합된 수분의 일부가 물방울 상태로 분료되어 미립화되지 못해 안개처럼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5-0006556호 "수용성 약재 연무기의 분사관"에서는 연무기의 유도관내에 엔진의 배기관을 장치하여 약재공급관과 접속시켜 약재를 안개형으로 분무하는 공지의 연무기에 있어서, 유도관 끝에 부착되는 분사관의 외측 둘레에 통기공이 있는 공냉외통을 장치하고 중심부에는 수개의 지지편에 의하여 통기간격이 유지되면서 길이가 분사관보다 짧고 끝에 가열팁이 형성된 초미립분사유도관을 장치하여 초미립 분사유도관속으로 배기관이 유입되게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초미립분사유도관을 설치하여 소독액의 분무 시 안개 처럼 분무되도록 하는 효과는 있지만, 그 구성이 까다로워 제작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연소관의 출구 내측 둘레에 결합되는 팁을 상·하 채널 및 관통공을 갖는 연무돌기를 형성하므로써 연소관내의 배기관을 통해 기화된 소독액이 분출될 때 상·하 채널 및 연무돌기를 통과하기 때문에 기화된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발생시켜 안개형으로 연무화되도록 하기 위한 연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소독액 저장탱크(20)와; 연료가 수용되는 연료통(30)과; 상기 연료통(3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20)에 저장되는 소독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본체(40) 및; 상기 본체(40)에 결합되어 내측(52)에 상기 본체(40)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관(60)이 설치되는 연소관(50)을 포함하되; 상기 배기관(60)의 후단(62) 및 상기 연소관(50)의 출구(54) 내측(52) 둘레에 설치되는 팁(7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무기에서 상기 팁(70)은 상기 연소관(50)의 내주면(56)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외주면(71)이 형성되고, 둘레 단면이 요철(72)과 요홈(74)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므로써, 전단(76)과 후단(78)으로 상·하 채널(82, 84)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채널(82, 84)에는 관통홀(86)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무기에서 상기 팁(70)은 전단(76) 및 후단(78) 방향으로 연이어서 상기 채널(82, 84)의 내측(73)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관통홀(86)이 형성되는 연무돌기(8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무기에 의하면, 연소관의 출구 내측 둘레에 결합되는 팁을 상·하 채널 및 관통공을 갖는 연무돌기를 형성하므로써 연소관내의 배기관을 통해 기화된 소독액이 분출될 때 상·하 채널 및 연무돌기를 통과하기 때문에 기화된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발생시켜 안개형으로 연무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연무기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 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에서 연소관의 출구에 결합되는 팁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에서 팁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에서 팁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10)는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소독액 저장탱크(20)와,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연료통(30)과, 연료통(3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소독액 저장탱크(20)에 수용되는 소독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본체(40) 및 본체(40)에 결합되어 내측(52)에 본체(40)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을 외부로 연무화시키기 위한 배기관(60)이 설치되는 연소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무기(10)의 작용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연료탱크(2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카브레타(42)를 작동시키면 공급받은 연료가 폭발을 일으키면서 고열이 발생하여 연소관(50)내의 배기관(60)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 고열의 일부는 소독액 저장탱크(20)로 이동하여 소독액을 포함하여 배기관(60)으로 이동한다. 이후, 소독액 저장탱크(20)의 밸브를 열면 소독액이 관을 통해 배기관(60)의 후단(62)으로 이동하여 카브레타(42)로부터 폭발되는 고열과 만나 외부로 연무화되어 진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10)에서 연소관(50)에 결합되는 팁(70)은 연소관(50)의 출구(54) 내측(52) 둘레 및 연소관(50)내에 설치되는 배기관(60)의 후단(62)에 설치되어 본체(40)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이 연소관(50)내의 배기관(60)을 통해 외부로 분출될 때 기류현상을 발생시켜 소독액이 안개형으로 연무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연소관(50)의 내주면(56)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외주면(71)이 형성되고, 둘레 단면이 요철(72)과 요홈(74)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전단(76)과 후단(78)으로 상·하 채널(82, 84)이 형성된다. 이때, 상·하 채널(82, 84)에는 관통홀(86)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10)에서 팁(70)을 상·하 채널(82, 84) 및 관통홀(86)을 갖도록 형성하므로써 배기관(60)으로부터 분출되는 기화된 소독액이 상·하 채널(82, 84) 및 관통홀(86)을 통과하여 기류되어 안개형으로 연무화되는 것이다.
즉, 기화된 소독액이 기류되되, 상·하 채널(82, 84) 및 관통홀(86)로 충돌,분산되어 기류되고, 이로 인해 상기 기화된 소독액이 팁(70)의 후단 부분으로만 분출되는 것이 아닌, 상·하 채널(82, 84) 및 관통홀(86)로 분산되어 분출됨으로써, 안개형으로 연무화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10)에서 팁(70)은 상·하 채널(82, 84)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관통홀(86)이 형성되는 연무돌기(8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10)에서 팁(70)을 상·하 채널(82, 84) 및 관통홀(86)을 갖는 연무돌기(88)를 형성하므로써 연소관(50)내의 배기관(60)을 통해 기화된 소독액이 분출될 때 상·하 채널(82, 84) 및 연무돌기(88)를 통과하기 때문에 기화된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발생시켜 안개형으로 연무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기화된 소독액이 기류되되, 상·하 채널(82, 84) 및 연무돌기(88)의 관통홀(86)로 충돌,분산되어 기류되고, 이로 인해 상기 기화된 소독액이 팁(70)의 후단 부분으로만 분출되는 것이 아닌, 상·하 채널(82, 84) 및 관통홀(86)로 분산되어 분출됨으로써, 안개형으로 연무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10)에서 팁(70)은 평편한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상·하 채널(82, 84) 및 연무돌기(88)를 형성하여 제작한다. 이후, 연소관(50)의 내주면(56)과 대응되는 크기로 절단하고, 연소관(50)의 내주면(5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감아 그 끝단을 용접하여 마무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10)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의 흐름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연무기(10)의 본체(40)에서 기화된 소독액이 연소관(50)내의 배기관(60)의 후단(62)을 통해 분출된다. 배기관(60)의 후단(62)을 통해 분출되는 소독액은 팁(70)의 상측 채널(82) 및 하측 채널(84)을 통과하여 연무돌기(88)의 관통홀(86)을 통과하므로써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촉진시켜 팁(70)의 후단(78)측에서 외부로 안개형으로 연무화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에서 연소관의 출구에 결합되는 팁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에서 팁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무기에서 팁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무기 20 : 소독액 저장탱크
30 : 연료통 40 : 본체
50 : 연소관 52 : (연소관) 내측
54 : (연소관) 출구 56 : (연소관) 내주면
60 : 배기관 62 : (배기관) 후단
70 : 팁 71 : (팁) 외주면
72 : 요철 73 : 내측
74 : 요홈 76 : 전단
78 : 후단 82 : 상측 채널
84 : 하측 채널 86 : 관통홀
88 : 연무돌기

Claims (3)

  1.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소독액 저장탱크(20)와; 연료가 수용되는 연료통(30)과; 상기 연료통(3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20)에 저장되는 소독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본체(40) 및; 상기 본체(40)에 결합되어 내측(52)에 상기 본체(40)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관(60)이 설치되는 연소관(50)을 포함하는 연무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60)의 후단(62) 및 상기 연소관(50)의 출구(54) 내측(52) 둘레에 설치되는 팁(70)을 더 구비하되,
    상기 팁(70)은 상기 연소관(50)의 내주면(56)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외주면(71)이 형성되고, 둘레 단면이 요철(72)과 요홈(74)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므로써, 전단(76)과 후단(78)으로 상·하 채널(82, 84)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채널(82, 84)에는 관통홀(86)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전단(76) 및 후단(78) 방향으로 연이어서 상기 채널(82, 84)의 내측(73)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관통홀(86)이 형성되는 연무돌기(8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무기.
  2. 삭제
  3. 삭제
KR1020080115405A 2008-11-19 2008-11-19 연무기 KR101042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405A KR101042854B1 (ko) 2008-11-19 2008-11-19 연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405A KR101042854B1 (ko) 2008-11-19 2008-11-19 연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179 Division 2008-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517A KR20100037517A (ko) 2010-04-09
KR101042854B1 true KR101042854B1 (ko) 2011-06-21

Family

ID=4221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405A KR101042854B1 (ko) 2008-11-19 2008-11-19 연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8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625B1 (ko) 2023-01-30 2023-07-18 디와이엠 주식회사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101Y1 (ko) * 1997-07-08 1999-08-16 이창기 휴대용 방역분무기
KR20010055101A (ko) * 1999-12-09 2001-07-02 이구택 철손이 낮은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KR20030081275A (ko) * 2003-09-26 2003-10-17 호 근 김 곤달비 함유 기능성 소주의 제조방법
JP2003326202A (ja) * 2002-05-10 2003-11-18 Olympus Optical Co Ltd 液体噴霧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る液体噴霧装置
KR200381275Y1 (ko) 2005-01-07 2005-04-14 김용주 해충 퇴치용 무음 연막 소독기
KR100490860B1 (ko) * 2002-08-07 2005-05-24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액제 연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101Y1 (ko) * 1997-07-08 1999-08-16 이창기 휴대용 방역분무기
KR20010055101A (ko) * 1999-12-09 2001-07-02 이구택 철손이 낮은 고자속밀도 방향성 전기강판의 제조방법
JP2003326202A (ja) * 2002-05-10 2003-11-18 Olympus Optical Co Ltd 液体噴霧ヘッド、およびそれを用いる液体噴霧装置
KR100490860B1 (ko) * 2002-08-07 2005-05-24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액제 연무기
KR20030081275A (ko) * 2003-09-26 2003-10-17 호 근 김 곤달비 함유 기능성 소주의 제조방법
KR200381275Y1 (ko) 2005-01-07 2005-04-14 김용주 해충 퇴치용 무음 연막 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517A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3787A (en) Insecticide spray apparatus
CN110026306B (zh) 冷喷雾器
KR102198073B1 (ko) 소독제 분사용 건
US20080099934A1 (en) Nebulization Fan
KR101322407B1 (ko) 연막기
US9643197B2 (en) Device introduced into droplet spraying tip
EP1906106A1 (en) Nebulization fan
CN101965824B (zh) 一种喷气式烟雾喷药机
KR101042853B1 (ko) 초미립자 분무기
KR101042854B1 (ko) 연무기
CN102872994A (zh) 远程风送喷雾喷烟机
CN105724351A (zh) 一种园林打药机
JP2012179518A (ja) ドライミスト噴射ノズル
CN201938263U (zh) 一种喷气式烟雾喷药机
JP2014240061A (ja) 液体噴霧機用ノズル
KR200381275Y1 (ko) 해충 퇴치용 무음 연막 소독기
CN202715498U (zh) 远程风送喷雾喷烟机
KR100309797B1 (ko) 휴대용 분무기
KR200469766Y1 (ko) 휴대용 연무기
CN1724931B (zh) 并联式脉冲燃烧器
CN205624057U (zh) 一种园林打药机
KR200298660Y1 (ko) 휴대용 분무기
US651048A (en) Sprayer or atomizer.
KR100500953B1 (ko) 소형 연막 소독기
KR102325387B1 (ko) 연막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