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625B1 -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 Google Patents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625B1
KR102555625B1 KR1020230011460A KR20230011460A KR102555625B1 KR 102555625 B1 KR102555625 B1 KR 102555625B1 KR 1020230011460 A KR1020230011460 A KR 1020230011460A KR 20230011460 A KR20230011460 A KR 20230011460A KR 102555625 B1 KR102555625 B1 KR 102555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ckberry
planting
seedlings
seedl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유순
Original Assignee
디와이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01G2/38Holding; Lig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c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식재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은 접목묘로써 팽나무 묘목의 접목부위에 기설치된 비닐류를 제거하는 팽나무 묘목 비닐류 제거단계; 상기 팽나무 묘목이 식재될 식재위치를 선정하는 식재위치 선정단계; 굴착기를 이용해서 상기 식재위치에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가 묻힐 정도의 깊이로 식재홈을 형성하는 식재홈 형성단계; 상기 식재홈에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 영역을 삽입하되 상기 팽나무 묘목의 접목부위는 노출되게 상기 접목부위까지 심는 팽나무 묘목 매식단계; 상기 식재홈 영역에 완숙된 퇴비와 흙을 1:1 비율로 섞은 토양을 충전해서 덮는 토양 충전단계; 토양의 상부로 짚 또는 왕겨를 멀청하는 짚 또는 왕겨 멀청단계; 및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가 활착될 때까지 수시로 물을 공급하는 한편, 물 공급으로 토양이 부족해진 영역에 토양, 짚 또는 왕겨를 보충하는 물 공급 및 재료 보충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Chinese hackberry planting method}
본 발명은,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식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을 식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에 무관하게 조경수로서의 가치 향상을 드높일 수 있는,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식재기구에 관한 것이다.
팽나무(Chinese hackberry)는 누기(漏氣) 있는 땅과 마른 땅의 경계에 주로 산다. 강과 육지의 경계인 자연제방이나 바다와 육지의 경계인 해안 충적 구릉지에서 자주 발견된다. 우리나라 중남부지방의 온화한 마을 어귀나 중심에서 마을나무나 당산나무로 자리 잡아 전통 민속경관을 특징짓는 대표 종이다.
해안지역에 더욱 흔하고,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신성한 공간인 당집과 함께 있는 경우가 많다.2) 장수하는 유전적 특질과 새들의 먹이인 열매를 풍성하게 생산하기 때문에 영육(靈肉)의 생명 부양 나무로서 소중한 역할을 한다.
팽나무는 만년팽이라 불리워질 정도로 장수 종이다. 속명 셀티스(Celtis)는 고대 희랍어로 '열매가 맛있는 나무'란 뜻으로, 열매가 달콤해서 새들이 무척 좋아한다. 오랜 세월 동안 한 장소에서 많은 생물을 부양하는 셈이다.
팽나무처럼 장수하는 종은 매우 천천히 성장하기 때문에 노거수(老巨樹) 수형(樹型)이나 건강상태로부터 지역의 자연사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노거수가 여러 가지 이유로 급격히 감소되었고, 그로 인해 농촌의 전통 경관이 크게 변하고 말았다.
팽나무는 물과 공기가 잘 통하는 모래자갈땅에서도 약간 비옥한 곳을 더욱 좋아한다. 느티나무 서식처와 중첩되기도 하지만, 느티나무는 내륙 쪽에 치우쳐 분포한다면, 팽나무는 바닷바람을 쐴 수 있는 곳에 치우쳐 산다. 우리나라 남부지역의 섬지역이나 제주도에서 팽나무 노거수가 적지 않게 관찰되는 까닭이다.
식물사회학적으로 팽나무는 난온대와 냉온대 남부, 저산지대의 식생지역에서 하천 자연제방이나 단애지(斷崖地)를 특징짓는 여러 종류의 잠재자연식생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다. 팽나무와 형태가 많이 닮은 풍게나무는 산지 숲속의 더욱 서늘한 곳에서 살기 때문에 함께 사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한편, 이러한 팽나무는 관리가 어렵지 않고 장수하는 종이라서 조경수로 사용되기에 좋다. 다만, 팽나무가 그 특성상 예컨대, 난온대와 냉온대 남부, 저산지대에 식생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다소 추운 북부 지역에 팽나무 묘목을 식생해서 조경수로 사용하려면 그에 적합한 식재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딘다. 하지만, 아직은 이러한 식생방법이 공지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이에 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6-010007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8128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3751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8-015864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을 식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에 무관하게 조경수로서의 가치 향상을 드높일 수 있는,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및 그 방법에 적용되는 식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접목묘로써 팽나무 묘목의 접목부위에 기설치된 비닐류를 제거하는 팽나무 묘목 비닐류 제거단계; 상기 팽나무 묘목이 식재될 식재위치를 선정하는 식재위치 선정단계; 굴착기를 이용해서 상기 식재위치에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가 묻힐 정도의 깊이로 식재홈을 형성하는 식재홈 형성단계; 상기 식재홈에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 영역을 삽입하되 상기 팽나무 묘목의 접목부위는 노출되게 상기 접목부위까지 심는 팽나무 묘목 매식단계; 상기 식재홈 영역에 완숙된 퇴비와 흙을 1:1 비율로 섞은 토양을 충전해서 덮는 토양 충전단계; 토양의 상부로 짚 또는 왕겨를 멀청하는 짚 또는 왕겨 멀청단계; 및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가 활착될 때까지 수시로 물을 공급하는 한편, 물 공급으로 토양이 부족해진 영역에 토양, 짚 또는 왕겨를 보충하는 물 공급 및 재료 보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팽나무 묘목이 상기 접목묘가 아닌 실생묘인 경우에는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를 부채살 모양으로 펼쳐서 식재할 수 있으며, 상기 팽나무 묘목이 상기 접목묘가 아닌 포트묘 또는 분묘인 경우에는 포트나 화분은 벗겨내되 뿌리 덩어리 그대로 식재할 수 있다.
상기 토양 충전단계의 수행 시 펄라이트를 원재료로 하여 생산된 무기질 인공토양인 인공토를 추가로 섞어 상기 식재홈 영역에 충전하며, 상기 토양 충전단계의 수행 전에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가 잘 활착되게 보조하는 식재기구를 추가로 설치하는 식재기구 추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재기구는, 외부 공기를 땅속의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 쪽으로 전달하는 공기 전달구를 구비하되 땅속에 배치되는 측벽에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통기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식재홈 영역에 토양이 충전된 이후에 상기 통기관체의 상단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기관체와 별개로 마련되어 물(water)을 땅속의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 쪽으로 전달하는 물 전달구를 구비하되 상기 식재홈 영역에 토양이 충전된 이후에 상단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물관체를 더 포함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물관체의 단부 영역에는 다른 영역보다 폭이 넓게 확경 입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접목묘로써 팽나무 묘목의 접목부위에 기설치된 비닐류를 제거한 후, 상기 팽나무 묘목이 식재될 식재위치를 선정한 다음, 굴착기를 이용해서 상기 식재위치에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가 묻힐 정도의 깊이로 식재홈을 형성한 후, 상기 식재홈에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 영역을 삽입하되 상기 팽나무 묘목의 접목부위는 노출되게 상기 접목부위까지 심은 다음, 상기 식재홈 영역에 완숙된 퇴비와 흙을 1:1 비율로 섞은 토양을 충전해서 덮은 후, 토양의 상부로 짚 또는 왕겨를 멀청한 다음,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가 활착될 때까지 수시로 물을 공급하는 한편, 물 공급으로 토양이 부족해진 영역에 토양, 짚 또는 왕겨를 보충하는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을 식재할 때 적용되는 것으로서, 외부 공기를 땅속의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 쪽으로 전달하는 공기 전달구를 구비하되 상기 식재홈 영역에 토양이 충전된 이후에 상단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통기관체를 포함하며, 땅속에 배치되는 상기 통기관체의 측벽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기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통기관체와 별개로 마련되되 물(water)을 땅속의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 쪽으로 전달하는 물 전달구를 구비하되 상기 식재홈 영역에 토양이 충전된 이후에 상단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물관체를 더 포함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물관체의 단부 영역에는 다른 영역보다 폭이 넓게 확경 입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을 식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에 무관하게 조경수로서의 가치 향상을 드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이 식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1의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이 식재되어 조성된 조경 풍경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이 식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식재기구의 통기관체에 관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이 식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식재기구의 물관체에 관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에 적용되는 식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에 적용되는 식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식재기구의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도 1의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이 식재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의 이미지, 도 4는 도 1의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이 식재되어 조성된 조경 풍경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110)을 식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에 무관하게 조경수로서의 가치 향상을 드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은 팽나무 묘목 비닐류 제거단계(S110), 식재위치 선정단계(S120), 식재홈 형성단계(S130), 나무 묘목 매식단계(S140), 토양 충전단계(S150), 짚 또는 왕겨 멀청단계(S160), 물 공급 및 재료 보충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팽나무 묘목 비닐류 제거단계(S110)는 접목묘로써 팽나무 묘목(110)의 접목부위(111)에 기설치된 비닐류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접목묘란 다른 나무와 접목한 것을 의미한다. 물론, 반드시 접목묘를 적용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팽나무 묘목(110)이 접목묘가 아닌 실생묘인 경우에는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를 부채살 모양으로 펼쳐서 식재하면 되고, 팽나무 묘목(110)이 접목묘가 아닌 포트묘 또는 분묘인 경우에는 포트나 화분은 벗겨내되 뿌리 덩어리 그대로 식재하면 된다.
식재위치 선정단계(S120)는 팽나무 묘목(110)이 식재될 식재위치를 선정하는 공정이다. 도 4처럼 조경하려면 식재위치 선정이 중요하다. 그래야만 조경으로서의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다.
식재홈 형성단계(S130)는 굴착기를 이용해서 식재위치에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가 묻힐 정도의 깊이로 식재홈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팽나무 묘목 매식단계(S140)는 식재홈에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 영역을 삽입하되 팽나무 묘목(110)의 접목부위(111)는 노출되게 접목부위(111)까지 심는 공정이다.
토양 충전단계(S150)는 식재홈 영역에 완숙된 퇴비와 흙을 1:1 비율로 섞은 토양(130)을 충전해서 덮는 공정이다.
짚 또는 왕겨 멀청단계(S160)는 토양(130)의 상부로 짚 또는 왕겨(120)를 멀청하는 공정이다. 짚 또는 왕겨(120) 위로는 수풀이나 잔디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물 공급 및 재료 보충단계(S170)는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가 활착될 때까지 수시로 물을 공급하는 한편, 물 공급으로 토양(130)이 부족해진 영역에 토양(130), 짚 또는 왕겨(120)를 보충하는 공정이다.
이하, 팽나무 묘목(110)을 식재하는 일련의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팽나무 묘목 비닐류 제거단계(S110)는 접목묘로써 팽나무 묘목(110)의 접목부위(111)에 기설치된 비닐류를 제거한다. 접목묘란 다른 나무와 접목한 것을 의미한다. 물론, 반드시 접목묘를 적용할 필요는 없다.
다음, 팽나무 묘목(110)이 식재될 식재위치를 선정한 후, 굴착기를 이용해서 식재위치에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가 묻힐 정도의 깊이로 식재홈을 형성한다.
다음, 식재홈에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 영역을 삽입하되 팽나무 묘목(110)의 접목부위(111)는 노출되게 접목부위(111)까지 심는다.
다음, 식재홈 영역에 완숙된 퇴비와 흙을 1:1 비율로 섞은 토양(130)을 충전해서 덮는다. 그리고는, 토양(130)의 상부로 짚 또는 왕겨(120)를 멀청한다. 짚 또는 왕겨(120) 위로는 수풀이나 잔디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가 활착될 때까지 수시로 물을 공급하는 한편, 물 공급으로 토양(130)이 부족해진 영역에 토양(130), 짚 또는 왕겨(120)를 보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하나씩의 팽나무 묘목(110)을 식재하면 도 4와 같은 조성, 조경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110)을 식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에 무관하게 조경수로서의 가치 향상을 드높일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도 5의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이 식재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식재기구의 통기관체에 관한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역시, 팽나무 묘목 비닐류 제거단계(S110), 식재위치 선정단계(S120), 식재홈 형성단계(S130), 나무 묘목 매식단계(S140), 토양 충전단계(S150), 짚 또는 왕겨 멀청단계(S160), 물 공급 및 재료 보충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토양 충전단계(S150)의 수행 시 펄라이트를 원재료로 하여 생산된 무기질 인공토양인 인공토(240)를 추가로 섞어 식재홈 영역에 충전한다. 이럴 경우,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가 잘 활착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토양 충전단계(S150)의 수행 전에 식재기구 추가 설치단계(S145)를 더 수행한다.
식재기구 추가 설치단계(S145)는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가 잘 활착되게 보조하는 식재기구(250)를 추가로 설치하는 공정이다.
이때, 식재기구(250)는, 외부 공기를 땅속의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 쪽으로 전달하는 공기 전달구(261)를 구비하되 땅속에 배치되는 측벽에 복수 개의 통공(262)이 관통 형성되는 통기관체(260)를 포함한다.
식재홈 영역에 토양(130)이 충전된 이후에 통기관체(260)의 상단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데, 식재기구(250)로서의 통기관체(260)를 추가로 더 설치하면 외부 공기가 땅속에 있는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로 잘 전달될 수 있어서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가 잘 활착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110)을 식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에 무관하게 조경수로서의 가치 향상을 드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이 식재된 상태의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식재기구의 물관체에 관한 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식재기구(350)가 더 적용되어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가 잘 활착되게 유도한다.
이때의 식재기구(35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기관체(260)와, 통기관체(260)와는 별개로 마련되는 물관체(360)를 포함한다.
물관체(360)는 통기관체(260)와는 별개로 마련되되 물(water)을 땅속의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 쪽으로 전달하는 물 전달구(361)를 구비하며, 식재홈 영역에 토양(130)이 충전된 이후에 상단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외부로 노출되는 물관체(360)의 단부 영역에는 다른 영역보다 폭이 넓게 확경 입구부(362)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물을 주입하기가 좋다.
물론, 팽나무 묘목(110)을 식재한 이후에 물을 주면 그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처럼 물관체(360)를 더 배치한 후, 물관체(360) 쪽으로도 물을 병행해서 공급하면 뿌리 쪽으로 물이 잘 전달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가 잘 활착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110)을 식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에 무관하게 조경수로서의 가치 향상을 드높일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에 적용되는 식재기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식재기구(470)는 복수 개의 관통공(472)이 형성되는 한편 중심부에 대형 통공부(473)가 형성되는 기구 플레이트(471)와, 기구 플레이트(47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되는 통기관체(480)와, 통기관체(480)의 주변에 배치되는 물관체(490)를 포함한다.
통기관체(480)와 물관체(490)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통기관체(480)와 물관체(490)는 기구 플레이트(471)에 일체로 마련되는 일체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의 식재기구(470)는 일체형 구조라서 팽나무 묘목(110)을 식재할 때, 미리 땅에 배치한 후, 팽나무 묘목(110)을 대형 통공부(473) 내로 삽입하면서 식재한 후, 토양을 채우면 되는데, 이럴 경우, 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뿌리가 활착된 이후에는 식재기구(470)를 절단해서 제거하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110)을 식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에 무관하게 조경수로서의 가치 향상을 드높일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에 적용되는 식재기구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식재기구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식재기구(570) 역시,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관통공(472)이 형성되는 한편 중심부에 대형 통공부(473)가 형성되는 기구 플레이트(471)와, 기구 플레이트(471)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통기관체(580)와, 통기관체(480)의 주변에 배치되는 물관체(5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통기관체(580)는 1개 마련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통기관체(580)와 물관체(590)는 모두가 플렉시블 가능한 주름관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상부로 노출된 부분에 별도의 추가 장비를 연결하기가 좋다.
추가 장비로서, 통기관체(580)에 별도 커넥터를 이용해서 공기 공급기(591)를 연결할 수 있고, 물관체(590)에 별도 커넥터를 이용해서 물 공급기(592)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공급기(591)와 물 공급기(592)는 컨트롤러(680)에 의해 컨트롤되게 할 수 있다. 즉 일정 주기로 공기 공급기(591)와 물 공급기(592)가 동작해서 공기와 물을 뿌리 쪽으로 강제 공급할 수 있다. 이럴 경우, 팽나무 묘목(110)의 뿌리가 잘 활착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680)는 중앙처리장치(681, CPU), 메모리(6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6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681)는 본 실시예에서 일정 주기로 공기 공급기(591)와 물 공급기(592)가 동작해서 공기와 물을 뿌리 쪽으로 강제 공급할 수 있게 공기 공급기(591)와 물 공급기(592)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6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681)와 연결된다. 메모리(6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6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6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6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680)는 일정 주기로 공기 공급기(591)와 물 공급기(592)가 동작해서 공기와 물을 뿌리 쪽으로 강제 공급할 수 있게 공기 공급기(591)와 물 공급기(592)를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6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6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으로 팽나무 묘목(110)을 식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에 무관하게 조경수로서의 가치 향상을 드높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팽나무 묘목 111 : 접목부위
120 : 짚 또는 왕겨 130 : 토양
240 : 인공토 250 : 식재기구
260 : 통기관체 261 : 공기 전달구
262 : 통공

Claims (7)

  1. 접목묘로써 팽나무 묘목의 접목부위에 기설치된 비닐류를 제거하는 팽나무 묘목 비닐류 제거단계;
    상기 팽나무 묘목이 식재될 식재위치를 선정하는 식재위치 선정단계;
    굴착기를 이용해서 상기 식재위치에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가 묻힐 정도의 깊이로 식재홈을 형성하는 식재홈 형성단계;
    상기 식재홈에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 영역을 삽입하되 상기 팽나무 묘목의 접목부위는 노출되게 상기 접목부위까지 심는 팽나무 묘목 매식단계;
    상기 식재홈 영역에 완숙된 퇴비와 흙을 1:1 비율로 섞은 토양을 충전해서 덮는 토양 충전단계;
    토양의 상부로 짚 또는 왕겨를 멀청하는 짚 또는 왕겨 멀청단계; 및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가 활착될 때까지 수시로 물을 공급하는 한편, 물 공급으로 토양이 부족해진 영역에 토양, 짚 또는 왕겨를 보충하는 물 공급 및 재료 보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나무 묘목이 상기 접목묘가 아닌 실생묘인 경우에는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를 부채살 모양으로 펼쳐서 식재할 수 있으며,
    상기 팽나무 묘목이 상기 접목묘가 아닌 포트묘 또는 분묘인 경우에는 포트나 화분은 벗겨내되 뿌리 덩어리 그대로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 충전단계의 수행 시 펄라이트를 원재료로 하여 생산된 무기질 인공토양인 인공토를 추가로 섞어 상기 식재홈 영역에 충전하며,
    상기 토양 충전단계의 수행 전에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가 잘 활착되게 보조하는 식재기구를 추가로 설치하는 식재기구 추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기구는, 외부 공기를 땅속의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 쪽으로 전달하는 공기 전달구를 구비하되 땅속에 배치되는 측벽에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통기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식재홈 영역에 토양이 충전된 이후에 상기 통기관체의 상단부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체와 별개로 마련되되 물(water)을 땅속의 상기 팽나무 묘목의 뿌리 쪽으로 전달하는 물 전달구를 구비하되 상기 식재홈 영역에 토양이 충전된 이후에 상단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물관체를 더 포함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물관체의 단부 영역에는 다른 영역보다 폭이 넓게 확경 입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230011460A 2023-01-30 2023-01-30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KR102555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460A KR102555625B1 (ko) 2023-01-30 2023-01-30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460A KR102555625B1 (ko) 2023-01-30 2023-01-30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625B1 true KR102555625B1 (ko) 2023-07-18

Family

ID=8742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1460A KR102555625B1 (ko) 2023-01-30 2023-01-30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14B1 (ko) 2023-09-14 2023-12-01 (주)명진조경 나무 식재방법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695A (ja) * 1996-08-01 1998-02-17 Iseki & Co Ltd 接ぎ木苗の仮植装置
JP3056097U (ja) * 1998-07-23 1999-02-02 イソライト工業株式会社 植栽用連接状通気管
KR200340448Y1 (ko) * 2003-11-06 2004-02-05 이정옥 화초목 건조방지 덮개용 색상폴리에치렌필름
KR20060100078A (ko) 2005-03-16 2006-09-2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CBCM(Charge BasedCapacitance Measurement)회로를이용한 CMOS 이미지 센서의 암전류 측정 방법
KR20080061618A (ko) * 2006-12-28 2008-07-03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접목을 통한 황색 얼룩무늬 소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KR20090012918A (ko) * 2007-07-31 2009-02-04 이상로 천연멀칭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1287A (ko) 2008-01-23 2009-07-28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37517A (ko) 2008-11-19 2010-04-09 김의삼 연무기
KR20100004168U (ko) * 2008-10-13 2010-04-22 이재성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KR20100006612U (ko) * 2008-12-19 2010-06-29 김의신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KR20130073376A (ko) * 2011-12-23 2013-07-03 한경수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및 통기관 장치
KR101513839B1 (ko) * 2014-12-11 2015-04-20 오장근 조경수를 노지에서 재배하기 위한 컨테이너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노지 재배 방법
KR20150099098A (ko) * 2014-02-21 2015-08-31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생분해성 실을 이용한 뽕나무의 뿌리접목 방법
CN107242070A (zh) * 2017-05-25 2017-10-13 梁钟 一种朴树盆景种植方法
CN109220478A (zh) * 2018-10-30 2019-01-18 大新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一种药用香胶木的人工种植方法
KR20200020199A (ko) * 2018-08-16 2020-02-26 오장근 조경수의 잔뿌리 성장 유도 파이프
CN113615413A (zh) * 2021-09-06 2021-11-09 南召新旺玉兰生态园有限公司 矮化多花玉兰品种盆栽苗的嫁接育苗方法
KR20220039098A (ko) * 2020-09-21 2022-03-29 어스그린코리아(주) 수목 생육을 위한 빗물저류와 IoT 융합 비점 오염 제거형 급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695A (ja) * 1996-08-01 1998-02-17 Iseki & Co Ltd 接ぎ木苗の仮植装置
JP3056097U (ja) * 1998-07-23 1999-02-02 イソライト工業株式会社 植栽用連接状通気管
KR200340448Y1 (ko) * 2003-11-06 2004-02-05 이정옥 화초목 건조방지 덮개용 색상폴리에치렌필름
KR20060100078A (ko) 2005-03-16 2006-09-2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CBCM(Charge BasedCapacitance Measurement)회로를이용한 CMOS 이미지 센서의 암전류 측정 방법
KR20080061618A (ko) * 2006-12-28 2008-07-03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접목을 통한 황색 얼룩무늬 소나무의 무성번식 방법
KR20090012918A (ko) * 2007-07-31 2009-02-04 이상로 천연멀칭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1287A (ko) 2008-01-23 2009-07-28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4168U (ko) * 2008-10-13 2010-04-22 이재성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KR20100037517A (ko) 2008-11-19 2010-04-09 김의삼 연무기
KR20100006612U (ko) * 2008-12-19 2010-06-29 김의신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KR20130073376A (ko) * 2011-12-23 2013-07-03 한경수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및 통기관 장치
KR20150099098A (ko) * 2014-02-21 2015-08-31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생분해성 실을 이용한 뽕나무의 뿌리접목 방법
KR101513839B1 (ko) * 2014-12-11 2015-04-20 오장근 조경수를 노지에서 재배하기 위한 컨테이너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노지 재배 방법
CN107242070A (zh) * 2017-05-25 2017-10-13 梁钟 一种朴树盆景种植方法
KR20200020199A (ko) * 2018-08-16 2020-02-26 오장근 조경수의 잔뿌리 성장 유도 파이프
CN109220478A (zh) * 2018-10-30 2019-01-18 大新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一种药用香胶木的人工种植方法
KR20220039098A (ko) * 2020-09-21 2022-03-29 어스그린코리아(주) 수목 생육을 위한 빗물저류와 IoT 융합 비점 오염 제거형 급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615413A (zh) * 2021-09-06 2021-11-09 南召新旺玉兰生态园有限公司 矮化多花玉兰品种盆栽苗的嫁接育苗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914B1 (ko) 2023-09-14 2023-12-01 (주)명진조경 나무 식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5625B1 (ko)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CN105724031A (zh) 一种紫山药楠竹导向槽浅生栽培方法
CN104160847B (zh) 一种石漠山地立体种养殖方法
CN101843204A (zh) 文冠果免灌栽培方法
CN107125011A (zh) 一种茭白的种植方法
CN106212156B (zh) 一种新疆南疆沙地抗旱固沙造林方法
CN102017851A (zh) 一种油沙豆的栽植、收获技术
CN108934887A (zh) 一种轻简式烤烟移栽方法
CN103907451A (zh) 油沙豆的栽植、收获技术
CN106068753A (zh) 一种南方水土流失区崩岗快速绿化方法
CN103875490A (zh) 稻鳅混养的方法
CN107667806A (zh) 一种鱼虾稻生态种养共生的方法
CN105766289A (zh) 一种油用牡丹的高效立体栽培方法
CN108012749A (zh) 油用牡丹高产种植方法
CN107750564A (zh) 一种用于樱花树的施肥装置
CN106212039A (zh) 牡丹的种植方法
JP3602500B2 (ja) 苗竹生産方法
CN105684671A (zh) 山药斜向种植方法
CN105028102B (zh) 抗旱坡地香蕉的栽培方法
CN106664861B (zh) 一种治理黄土高坡沙漠化的方法
CN106718532A (zh) 桃树容器育苗工艺
CN112243785A (zh) 一种露天采区边坡裸岩钻孔客土造林的方法及其苗木
CN105960971A (zh) 一种山药的种植方法
CN106068747A (zh) 一种采用蒙脱石渗滤层的根部控盐方法及其在盐碱地乌桕种植中的应用
CN207519347U (zh) 一种樱花树施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