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612U -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 Google Patents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612U
KR20100006612U KR2020080017008U KR20080017008U KR20100006612U KR 20100006612 U KR20100006612 U KR 20100006612U KR 2020080017008 U KR2020080017008 U KR 2020080017008U KR 20080017008 U KR20080017008 U KR 20080017008U KR 20100006612 U KR20100006612 U KR 201000066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ots
flower
main
flow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신
Original Assignee
김의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신 filed Critical 김의신
Priority to KR2020080017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612U/ko
Publication of KR20100006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상부화분, 중간화분, 하부화분으로 구분된다.
상기 각 화분들의 외측면에는 본 화분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측면화분이 구비되며, 하부중앙에는 배수망과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가 구비된다. 상부화분 상부에는 화분갓이 구비되고, 하부화분 하부 중앙에는 배수망과 그 하부에는 물받이통을 수납할 수 있는 물받이통수납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기술한 각 화분 외에 빈화분이 별도로 구비되며 빈화분의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가 구비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하부화분 위에 중간화분을, 중간화분 위에 상부화분을 다단으로 쌓아 조립하며 빈화분을 상기 화분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화분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다단식으로 조립된 각 화분의 본화분 외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측면화분과 상부화분의 본화분에 여러 종류의 화초를 한꺼번에 식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내외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화초들과의 조화를 구현하여 아름다운 공간미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화분, 중간화분, 하부화분, 빈화분, 측면화분, 화분갓, 화분결합부, 배수망, 하부받침부, 물받이통, 물받이통수납공간

Description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Multi-level Pot attached another one to its side}
본 고안은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 위로부터 상부화분, 중간화분, 하부화분으로 구분되며 각 화분의 본화분 외측 면에는 본화분의 내부와 관통되는 다수개의 측면화분을 구비하고 상기 화분들의 본화분과 그 외부의 측면화분에 흙을 넣은 다음, 상부화분의 본화분과 각 화분의 본화분 외측면에 구비된 측면화분에 여러 종류의 화초를 한꺼번에 식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내외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화초들과의 조화를 구현하여 아름다운 공간미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다단식 화분은 화분과 화분 사이를 다수개의 봉으로 나사 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우거나 화분의 한 가운데에 봉을 삽입하여 화분과 화분을 나사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우는 것들이 있었다.
이러한 다단식 화분들은 화분과 화분을 결합하는데 번거로우며, 결합 후의 화분모양이 미려하지 않고, 화분의 부피가 필요이상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다양한 화초를 동시에 식재하는데 한계가 있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내외 공 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다양한 화초들과의 조화를 구현하지 못하여 아름다운 공간미를 창출하는데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화분, 중간화분, 상부화분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화분의 본화분 외측면에는 상기 화분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측면화분을 구비하며 아래로부터 하부화분 상단 테두리 위에 중간화분을 얹어 중간화분 하단 둘레에 구비된 화분결합부 홈을 삽입하기만 하면 하부화분 위에 중간화분이 간단히 조립되고, 중간화분 상단 테두리 위에 상부화분을 얹어 상부화분 하단 둘레에 구비된 화분결합부 홈을 삽입하기만 하면 중간화분 위에 상부화분이 간단히 조립되어 아래로부터 하부화분, 중간화분, 상부화분이 연직 상에 다단으로 놓이게 되는 형태가 되며, 상부화분의 본화분과 상기 각 화분의 외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측면화분에 여러 종류의 화초를 한꺼번에 식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내외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다양한 화초들과의 조화를 구현하여 아름다운 공간미를 창출할 수 있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화분, 중간화분, 하부화분, 빈화분이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화분은 본화분의 외측 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이 구비되고 각 측면화분의 내부는 본화분의 내부와 관통되어 측면 화분에 화초를 식재하였을 때 그 뿌리가 본화분의 흙으로 뻗을 수 있는 구조로 되고, 상부화분의 상부면은 화분갓이 구비되며 하부 중앙에는 배수망이 구비되고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가 구비된다.
중간화분은 상부화면과 마찬가지로 본화분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이 구비되며 각 측면화분의 내부는 본화분의 내부와 관통되어 있고 하부 중앙에는 배수망이 구비되며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가 구비된다.
하부화분은 상부화분 및 중간화분과 마찬가지로 본화분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이 구비되며 각 측면화분의 내부는 본화분의 내부와 관통되어 있고 하부중앙에는 배수망이 구비되며 배수망 하부에는 물받이통을 수납할 수 있는 물받이통수납공간이 구비된다.
그리고 빈화분은 내부의 상하가 개구된 빈공간으로 흙을 넣어 화초를 식재하는 용도가 아니며 단지 상기 각 화분사이에 삽입하여 화분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외측면에 측면화분을 갖지 아니하고, 단지 하단부 둘레에 화분결합부만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중간화분의 화분결합부 홈에 하부화분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중간화분을 하부화분 위에 얹어 놓으면 하부화분과 중간화분이 조립되며, 상부화분의 화분결합부 홈에 중간화분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부화분을 중간화분 위에 얹어 놓으면 상부화분과 중간화분이 조립되고, 화분 간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빈화분의 화분결합부 홈에 빈화분 아래 놓이는 화분의 상단부를 삽입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각 화분을 조립하면 상부화분, 중간화분, 하부화분이 연직 상에 다단으로 조립된 형태가 되거나 각 화분 사이에 빈화분이 삽입된 형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각 화분을 해체하고자 할 때는 상단에 놓여진 화분을 들어 올리기만 하면 간단히 해체된다. 따라서 별다른 조작없이 다수개의 측면화분을 구비한 다단식 화분을 간단히 조립하고 해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측면화분과 상부화분의 본화분에 여러 종류의 화초를 한꺼번에 식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독립적으로 구성된 상부화분, 중간화분, 하부화분을 간단히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으며, 상기 각 화분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을 구비한 것으로, 상부화분의 본화분과 상기 각 화분의 본화분 외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측면화분에 여러 종류의 화초를 한꺼번에 식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화분의 관리가 쉬울 뿐만 아니라 실내외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여러 종류의 화초를 한꺼번에 식재할 수 있어 다양한 화초들과의 조화를 구현하여 아름다운 공간미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참조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화분의 A-A 종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화분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화분(100)은 본화분(110)의 외측 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121,122,123,124)이 구비되며 각 측면화분(121,122,123,124)의 내부는 본화분(110)의 내부와 관통되어 있어 본화분(100)과 측면화분(121,122,123,124)에 각각 흙을 넣고 각 측면화분(121,122,123,124)에 화초를 식재하였을 경우 화초의 뿌리가 본화분(100) 쪽으로 뻗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화분(110)의 상부면은 화분갓(140)이 구비되며, 하단부 중앙에는 배수망(150)이 구비되고,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130)가 구비된다. 상부화분에는 본화분(100)과 측면화분(121,122,123,124)에 각각 화초를 식재할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화분의 B-B 종단면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화분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화분(200)은 본화분(210)의 외측 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221,222,223,224)이 구비되며 각 측면화분(221,222,223,224)의 내부는 본화분(210)의 내부와 관통되어 있어 본화분(200)과 측면화분(221,222,223,224)에 각각 흙을 넣고 각 측면화분(221,222,223,224)에 화초를 식재하였을 경우 화초의 뿌리가 본화분(210) 쪽으로 뻗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화분(210)의 하단부 중앙에는 배수망(240)이 구비되고,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230)가 구비된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화분의 C-C 종단면도이며,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화분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화분(300)은 본화분(310)의 외측 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321,322,323,324)이 구비되며 각 측면화분(321,322,323,324)의 내부는 본화분(310)의 내부와 관통되어 있어 본화분(310)과 측면화분(321,322,323,324)에 각각 흙을 넣고 각 측면화분(321,322,323,324)에 화초를 식재하였을 경우 화초의 뿌리가 본화분(210) 쪽으로 뻗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화분(210)의 하단부 중앙에는 배수망(360)이 구비되고, 배수망 하부에는 하부받침부(330)가 구비되며, 하부받침부(330) 내부에는 물받이통수납공간(370)이 구비되고, 물받이통수납공간(370)에는 물받이통(340)이 수납되며, 하부화분(300)의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330)가 구비된다. 미설명 부호(350)는 물받이통 손잡이이다.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빈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빈화분의 D-D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빈화분(400)은 빈화분몸체(410)와 그 하단부 둘레에 구비된 화분결합부(420)로 구성되는 것으로 화초를 심는 용도가 아니며 화분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빈화분몸체(410)의 내부는 빈 공간이다.
도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화분의 사시도이고, 도1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화분의 E-E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로부터 상부화분(100), 중간화분(200), 하부화분(300)이 수직으로 쌓여 다단식 화분을 구성하며, 빈화분(400)은 상기 화분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화분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화초 식재 기능이 없는 것이다. 도면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상부화분(100), 중간화분(200), 하부화분이 독립적으로 구성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화분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각 화분들은 본화분의 외측 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이 구비되고 각 측면화분의 내부는 본화분의 내부와 관통되어 본화분과 측면화분에 흙을 넣어 화초를 식재하였을 경우 그 뿌리가 본화분의 흙으로 뻗게 되므로 각 측면화분에 담긴 흙에서 뿐만 아니라 본화분에 담긴 흙으로부터 자양분과 수분을 흡수할 수 있어 화초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것이다. 화초에 물을 주는 방법은 상부화분(100)의 본화분에 물을 주어 그 아래 하부화분(300)의 본화분에 까지 이르게 하고 배수된 물이 하부화분(300)의 하부중앙에 구비되는 물받이통에 담기게 할 수도 있지만, 각 측면화분마다 별도로 물을 주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각 화분을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간화분(200)의 화분결합부(230) 홈에 하부화분(30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중간화분(200)을 하부화분(300) 위에 얹어 놓으면 하부화분(300)과 중간화분(200)이 결합되며, 상부화분(100)의 화분결합부(130) 홈에 중간화분(20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부화분(100)을 중간화분(200) 위에 얹어 놓으면 상부화분(100)과 중간화분(200)이 결합되며, 화분 간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빈화분(400)의 화분결합부(420) 홈에 빈화분(400) 아래 놓이는 화분의 상단부를 삽입되도록 결합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상기 각 화분을 해체하는 방법은 상기 각 화분들을 들어 올리면 바로 하부에 있는 화분과 해체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화분의 결합 및 해체가 매우 손쉬우며, 각 화분들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다단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공간이 절약되고, 특히 각 화분의 외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측면화분과 상부화분(100)의 본화분(110)에 다수의 다양한 화초를 한꺼번에 식재할 수 있으므로 화초들 사이의 조화를 통해 아름다운 공간미를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2 또는 도13에서 예를 들면, 아래로부터 하부화분(300), 중간화분(200), 상부화분(100)이 차례대로 다단식 화분을 구성하고, 상기 각 화분의 본화분 외측면에는 4개씩의 측면화분이 본화분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총 12개의 측면화분을 갖게 된다. 따라서 12개의 각 측면화분마다 각기 다른 종류의 화초를 심는다면 12종의 화초를 식재할 수 있는 것이며, 다단식 화분의 맨 위 상부화분(100)의 본화분에도 화초를 식재할 수 있으므로 총 13종류의 화초를 식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에 따른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은 13개의 화분에 화초를 식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물론 중간화분을 몇 개 더 추가하여 다단식 화분을 구성하면 더 많은 화초를 식재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화분의 A-A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화분의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화분의 B-B 종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화분의 평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화분의 C-C 종단면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화분의 평면도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빈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빈화분의 D-D 종단면도
도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화분의 사시도
도1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식화분의 E-E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부화면 110,210,310 : 본화분
121,122,123,124,221,222,223,224,321,322,323,324 : 측면화분
140 : 화분갓 130,230,420 : 화분결합부
150,240,360 : 배수망 200 : 중간화분
300 : 하부화분 330 : 하부받침부
340 : 물받이통 350 : 물받이통손잡이
370 : 물받이통수납공간 400 : 빈화분
410 : 빈화분몸체

Claims (8)

  1. 다단식 화분에 있어서,
    하부화분과 중간화분, 상부화분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각기 화분의 기능을 가지며, 상기 화분들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이 구비되고, 상기 화분들을 차례대로 쌓아 올려 다단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2. 제1항에 있어 하부화분과 중간화분, 상부화분의 사이에 삽입하여 각 화분 사이의 간격(높이)을 조절할 수 있는 빈화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3. 제2항에 있어 빈화분몸체는 내부의 상하가 개구된 빈공간으로 비어 있고,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화분은 본화분의 외측 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이 구비되며 각 측면화분의 내부는 본화분의 내부와 관통되어 있어 본화분과 측면화분에 각각 흙을 넣고 각 측면화분에 화초를 식재하였을 경우 화초의 뿌리가 본화분 쪽으로 뻗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본화분의 상부면은 화분갓이 구비되며, 하단부 중앙에 는 배수망이 구비되고,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가 구비되며, 본화분과 측면화분에 각각 화초를 식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중간화분은 본화분의 외측 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이 구비되며 각 측면화분의 내부는 본화분의 내부와 관통되어 있어 본화분과 측면화분에 각각 흙을 넣고 각 측면화분에 화초를 식재하였을 경우 화초의 뿌리가 본화분 쪽으로 뻗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본화분의 하단부 중앙에는 배수망이 구비되며,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가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6. 제1항에 있어 하부화분은 본화분의 외측 면에 다수개의 측면화분이 구비되며 각 측면화분의 내부는 본화분의 내부와 관통되어 있어 본화분과 측면화분에 각각 흙을 넣고 각 측면화분에 화초를 식재하였을 경우 화초의 뿌리가 본화분 쪽으로 뻗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본화분의 하단부 중앙에는 배수망이 구비되며, 배수망 하부 하부받침부 내부에 물받이통을 수납할 수 있는 물받이통수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7.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에 있어 빈화분, 상부화분, 중간화분, 하부화분을 결합함에 있어 상부화분, 중간화분, 빈화분의 하단부 둘레에는 화분결합부가 구 비되며, 화분결합부 내부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중간화분의 상단 테두리가 상부화분의 화분결합부 홈에 삽입될 수 있고, 하부화분의 상단 테두리가 중간화분의 화분결합부 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빈화분의 하부에 놓여지는 화분의 상단 테두리가 빈화분의 화분결합부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다단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8. 제1항에 있어 중간화분의 수를 적절히 가감하여 다단식 화분의 수를 가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KR2020080017008U 2008-12-19 2008-12-19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KR201000066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008U KR20100006612U (ko) 2008-12-19 2008-12-19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008U KR20100006612U (ko) 2008-12-19 2008-12-19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12U true KR20100006612U (ko) 2010-06-29

Family

ID=4445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008U KR20100006612U (ko) 2008-12-19 2008-12-19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61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2585A (zh) * 2015-07-22 2015-11-18 刘宏纲 吊兰繁殖花盆
KR200485275Y1 (ko) * 2016-06-24 2017-12-14 김필주 식물재배기구
KR102555625B1 (ko) * 2023-01-30 2023-07-18 디와이엠 주식회사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2585A (zh) * 2015-07-22 2015-11-18 刘宏纲 吊兰繁殖花盆
KR200485275Y1 (ko) * 2016-06-24 2017-12-14 김필주 식물재배기구
KR102555625B1 (ko) * 2023-01-30 2023-07-18 디와이엠 주식회사 팽나무 묘목 식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939B1 (ko) 다단조립식 화분
KR101035022B1 (ko) 조립식 화분장치
US8635808B1 (en) Partitioned planter
JP3203083U (ja) 植木鉢構造
KR20100006612U (ko) 측면화분이 구비된 다단식 화분
US20220322613A1 (en) Modular Planting System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100817549B1 (ko) 다용도 조립식 화분
KR20120074429A (ko) 식물재배용기
KR102320508B1 (ko) 적층식 화분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200470118Y1 (ko) 실내 텃밭용 재배용기
KR102076813B1 (ko) 기능성 화분
KR20120056185A (ko) 다단 화분
KR100747515B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CN208972103U (zh) 一种组合式生态花盆
CN207948276U (zh) 组合花盆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20170066191A (ko) 다단식 텃밭 재배기
KR200470194Y1 (ko) 이중 화분
KR200257482Y1 (ko) 다기능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