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860B1 - 휴대용 액제 연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액제 연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860B1
KR100490860B1 KR10-2002-0046492A KR20020046492A KR100490860B1 KR 100490860 B1 KR100490860 B1 KR 100490860B1 KR 20020046492 A KR20020046492 A KR 20020046492A KR 100490860 B1 KR100490860 B1 KR 100490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blower
guide vane
swing guide
medicin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524A (ko
Inventor
윤종대
김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윤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윤종대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4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86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A01M7/0021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6Hand-operated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1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with a ball-shaped valv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Abstract

사용이 간편하며, 약제통 내의 액제를 효과적으로 무화 및 살포할 수 있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액제 연무기는, 액제가 담겨지는 약제통과;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 공기의 압력을 압력 제어용 호스를 통해 약제통 내부로 공급하여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가압하고 액제 흡입구 부근에서 액제의 침전물을 부양시키는 한편, 나머지 대부분의 송풍 공기를 출구 덕트에 연결된 송풍관을 통해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송풍관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를 선회시켜 와류를 발생시키는 선회 유도 날개와, 상기 선회 유도 날개가 외면에 구비되는 중공관 및 상기 선회 유도 날개를 둘러싸는 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와; 상기 관체의 단부에 설치되며, 외기 유입공을 구비하여 상기 와류에 의해 무화된 액제를 살포하는 출구 덕트와; 상기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상기 송풍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공급하는 액제 공급용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관의 일단부에는 액제 공급용 호스가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액제 분사 노즐이 장착되며, 상기 출구 덕트는 액제 분사 노즐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액제 연무기{PORTABLE MISTING APPARATUS OF AGRICULTURAL LIQUID CHEMICALS}
본 발명은 휴대용 액제 연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간편하며, 약제통 내의 액제를 효과적으로 무화 및 살포할 수 있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에 관한 것이다.
비닐 하우스나 온실과 같은 밀폐된 장소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의 병충해를 방제하기 위해 액제를 무화 상태로 살포하는 휴대용 연무기는 도 1에 도시한 바 와 같이 폭발관(102)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일부를 약제통(104)에 주입하여 액제 를 노즐(106)로 송출하고 노즐(106)에서 분사되는 액제를 폭발관(102)에서 고온 을 갖고 폭발음을 발생하는 배기 가스를 이용하여 액제를 초미립자로 분쇄 하여 살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의 연무기는 개솔린 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대략 1000℃ 이상의 배기 가스와 액제가 혼합하여 무화되는 과정에서 불완전 연소로 발생되는 연료유 및 여기에 혼합된 윤활유의 잔류증기와 카아본이 액제에 혼합되어 농작물에 유해하고, 액제의 화학적 성분이 변하거나 소멸되어 약효가 저감되는 관계로 완벽한 병충해 방제가 불가능하며, 액제와 혼합된 연무가 송출되는 거리가 10m 내외로 제한되기 때문에 비닐 하우스나 온실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자와 농작물 간의 거리를 충분 히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작업자가 독성이 강한 농약에 중독될 가능성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 -0166143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수단(110)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기 (112)와, 동력 수단(114)에 의해 구동되어 약제통(116)내의 액제를 송풍관 (118) 에 송출하는 펌프(120)를 구비한 휴대형 동력 살포기를 제안하였는바, 이러한 구 성의 동력 살포기는 동력 수단(110,114)을 가동하여 송풍기(112)와 펌프(120)를 구동시키면, 액제통(116)내의 액제는 펌프(120) 구동으로 인해 액제 인입호스 (122), 펌프(120), 액제 송출호스(12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노즐(126)을 통해 송풍관(118) 내측으로 분사되고, 이 액제는 송풍기(112)에 의해 발생된 고속의 송풍 공기에 의해 잘게 부숴져 초미립자 형태로 살포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특허의 동력 살포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약제통 내의 액제를 송풍관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액제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선행 특허는 펌핑 수단(펌프 및 이 펌프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의미한다)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펌핑 수단의 구비로 인해 장치의 중량이 증가되므로, 엔진출력이 1마력 이하인 소형 연무기를 제외하고는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이 어렵다. 또한, 동력 살포기가, 펌핑 수단이 구비되는 등받이부와 송풍 수단(송풍팬 및 이 팬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의미한다)이 구비되는 어깨걸이부의 분할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장치의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송풍 수단의 설치로 인해 어깨걸이부의 중량이 증가되고, 액제통 내부의 액제가 요동하는 것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액제 가압 펌프가 고장난 경우에는 송풍기가 작동되어도 액제의 공급이 불가능하게 된다.
셋째, 송풍기 및 펌프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액제의 무화상태 및 도달거리, 살포량 등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선행의 동력 살포기는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지 않고, 출력 제한(엔진 출력이 1마력 이하)으로 인한 작업 효율 저하, 중량 및 체적 증가에 의한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 액제 분사량 및 연무 거리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약제통 내의 액제를 효과적으로 무화 및 살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며, 액제의 미립화 정도와 토출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여 약제통 내의 액제를 효과적으로 무화 및 살포할 수 있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제가 담겨지는 약제통과; 송풍팬을 구비하며, 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 공기의 압력을 압력 제어용 호스를 통해 약제통 내부로 공급하여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가압하고 액제 흡입구 부근에서 액제의 침전물을 부양시키는 한편, 나머지 대부분의 송풍 공기를 출구관에 연결된 송풍관을 통해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송풍관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를 선회시켜 와류를 발생키는 선회 유도 날개와, 상기 선회 유도 날개가 외면에 구비되는 중공의 액제 분사관 및 상기 선회 유도 날개를 둘러싸는 선회관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와; 상기 선회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액제의 미세화를 촉진하는 외기 유입공을 구비하여 상기 와류에 의해 무화된 액제를 살포하는 출구 덕트와; 상기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상기 송풍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공급하는 액제 공급용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액제 분사관의 일단부에는 액제 공급용 호스가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액제 분사 노즐이 장착되며, 상기 출구 덕트는 액제 분사 노즐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선행 특허들의 문제점들, 즉 유해 물질에 의한 농작물의 폐해 발생, 방제 효과의 저감, 장치의 중량 증가 및 이로 인한 엔진 출력의 제한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출구 덕트와 액제 분사 노즐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선회관의 단부측 외면에 제공되는 고정 돌기와, 상기 출구 덕트에 제공되어 상기 고정 돌기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액제 분사 노즐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돌기 결합부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돌기 결합부는 출구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홈과, 상기 길이방향 홈으로부터 출구 덕트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제공되는 원주방향 홈들로 구성하거나, 또는 출구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홈과, 상기 길이방향 홈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와 조립방법으로 출구 덕트와 액제 분사 노즐과의 거리를 다단계 또는 무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제의 무화 정도 및 액제 송출 거리를 액제의 종류 등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출구 덕트에 외기 유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유입공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액제와 송출 공기의 혼합 및 미세화가 촉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액제 분사 노즐은 이 노즐을 통과하는 송풍 공기의 통과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면적 감소부를 구비하는 형상, 바람직하게는 코스모스 꽃잎 형상으로 형성되며, 액제 분사공을 형성하는 액제 분사 노즐의 첨단에는 V자형 절개부가 더욱 제공된다.
상기한 액제 분사 노즐은 원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되는 종래의 노즐 단면적에 비해 송풍 공기의 통과 면적을 4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을 통과하는 송풍 공기의 유량과 유속이 증가되므로, 연무 입자를 미세화함과 아울러, 송출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무기는 액제 공급용 호스의 단부 또는 중간부분에 자동 조절 밸브와 차단 밸브를 직렬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자동 조절 밸브는 액제통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송풍 공기의 공기압과 액제 분사노즐에서 액제가 분사되면서 유발된 부압의 크기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볼 및 이 볼을 입구 폐쇄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동 조절 밸브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연무기는 작업자가 구동부의 구동력을 제어하여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에 따라 액제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액제의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작업 완료후 송풍기를 구동하는 엔진을 정지시키면 액제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단 밸브를 구비하므로, 자동 조절 밸브가 누설되는 경우, 상기 차단 밸브를 조작하여 액제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송풍관은 상기 출구관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는 연질재의 리듀서에 의해 상기 송풍관의 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리듀서는 내경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즉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쪽의 내경은 송풍관 단부쪽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의 리듀서에 의하면 송풍 공기의 속도가 더욱 증가된다.
그리고, 선회관 외면에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의 방향 조절을 위한 손잡이가 설치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액 제 연무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제 연무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정면 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제 연무기는 작업자가 등에 짊어지고 운반하면서 액제 살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어깨걸이(12)를 갖는 등받이(14)를 포함하며, 등받이(14)는 등받이 프레임(16)을 구비한다.
등받이(14)의 후방에는 원심식 송풍기(18)가 설치되고, 원심식 송풍기(18)의 후방으로는 엔진(20) 및 연료통(22)이 설치되며, 송풍기(18)의 상측으로는 액제가 채워지는 약제통(24)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16)은 위에서 언급한 송풍기(18)와 엔진(20) 및 연료통(2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약제통(24)의 내부에는 약제통 내부에서 액제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 즉 작업자의 피로감 증가 및 작업 능률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요동 방지판(24')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요동 방지판(24')은 2mm 두께의 수지판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하측은 개방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진(20)은 연료통(22)에 채워진 개솔린과, 1/20 내지 1/25의 혼합비로 개솔린과 혼합된 윤활유를 연료로 하여 구동되는 2행정 개솔린 엔진으로서, 구동시 5,000∼7,700rpm 정도의 고속으로 원심식 송풍기(18)를 직결 구동한다. 물론, 본 발명의 액제 연무기는 상기한 엔진(20)과 연료통(22) 대신에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축전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원심식 송풍기(18)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8a)과 송풍팬(18b) 및 덮개(18c)로 구성되는데, 송풍팬(18b)은 하우징(18a)의 개구부를 통해 엔진(20)의 구동축(20a)에 조립되며, 덮개(18c)는 송풍팬(18b)의 조립이 완료된 후 하우징(18a)의 개구부에 볼트로 조립된다.
일반적으로, 원심식 송풍기는 측벽이 송풍팬과 일체로 주조되거나 볼트로 조립되는 밀폐형과, 측벽이 없는 개방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덮개의 내면이 송풍팬 날개의 축방향 경사각에 따라 적절한 간극을 유지하면서 송풍팬 측벽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가공됨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송풍팬(18b)의 축을 제외한 하우징(18a), 덮개(18c) 및 송풍팬(18b)은 송풍팬(18b)과 엔진(20) 사이의 하우징(18a) 관통구에 설치되는 베어링(미도시함)에 의해 지지되고, 베어링의 외측에는 송풍 압력으로 가압된 공기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재(미도시함)가 설치된다.
그리고, 송풍기(18)의 하우징(18a)은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출구관(18a')을 구비하는데, 이 출구관(18a')에는 조인트(26)에 의해 송풍관(28)이 조립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인트(26)는 송풍관(28)이 출구관(18a')에 대해 수평방향 임의의 각도로, 즉 화살표(3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출구관(18a')과 송풍관(28)을 결합한다.
그리고, 송풍관(28)의 다른 단부에는 리듀서(32)를 사이에 두고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34)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리듀서(32)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34)를 화살표(30') 방향을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대략 30°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연한 연질 고무로 제작되며, 송풍관(28)을 통과한 송풍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34)쪽의 단부가 송풍관(28)쪽의 단부에 비해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리듀서(32)는 호스 밴드(36)에 의해 송풍관(28) 및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34)에 각각 조립된다.
그리고, 리듀서(32)에 조립되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3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액제 분사관(34a)과, 액제 분사관(34a)의 단부에 조립되는 액제 분사 노즐(34b)과, 액제 분사관(34a)의 외면에 구비되는 선회 유도 날개(34c)와, 선회 유도 날개(34c)를 둘러싸는 선회관(34d)과, 선회관(34d)의 단부에 조립되는 출구 덕트(34e)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회 유도 날개(34c)는 120°의 등간격으로 3개가 조립되는데, 이 선회 유도 날개(34c)는 일정한 비틀림각을 유지하도록 조립되고, 선회 유도 날개(34c)의 단부에는 선회관(34d)과의 조립을 위한 조립링(34c')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액제 분사관(34a)과 선회 유도 날개(34c) 및 조립링(34c')의 재질은 선회관(34d)의 재질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데, 액제 분사 노즐(34b)을 제외한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34)의 구성품들은 내식성이 강한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액제 분사관(34a)은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선회 유도 날개(34c), 조립링(34c'), 선회관(34d) 및 출구 덕트(34e)는 내식성을 갖는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선회 유도 날개(34c) 및 조립링(34c')은 일체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립링(34c')은 접착제에 의해 선회관(34d) 내면에 고정하거나, 조립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관(34d)의 단부에는 출구 덕트(34e)를 고정하는 고정 돌기(34d')가 구비되고, 출구 덕트(34e)의 소경부에는 고정 돌기(34d')가 결합된 위치에 따라 액제 분사 노즐(34c)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돌기 결합부(34e')가 구비된다.
도 6에는 출구 덕트(34e)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홈(34'e')과, 길이방향 홈(34'e')으로부터 출구 덕트(34e)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 제공되는 원주방향 홈들(34"e')로 이루어지는 돌기 결합부(34e')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돌기 결합부는 길이방향 홈(34'e')의 단부로부터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34'"e')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돌기 결합부(34e')를 전자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돌기(34d')를 원주방향 홈들(34"e')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홈에 결합하는 것에 따라 출구 덕트(34e)와 액제 분사 노즐(34b)과의 거리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출구 덕트(34e)를 화살표로 도시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액제 분사 노즐(34b)의 첨단과 출구 덕트(34e)와의 거리를 무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구성의 결합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무화된 액제의 입자 크기와 송출 거리를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액제 분사 노즐(34b)의 첨단과 출구 덕트(34e)와의 거리를 최소로 한 경우에는 무화된 액제 입자들이 출구 덕트(34e)의 내부에서 충돌 및 결합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되므로 액제 입자의 무화는 극대화 되는 반면에 송출 거리는 짧아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액제 분사 노즐(34b)의 첨단과 출구 덕트(34e)와의 거리를 최대로 한 경우에는 출구 덕트(34e)의 내부에서 무화된 입자간의 결합 가능성이 증가되므로, 액제 입자의 크기가 커지는 반면에 송출 거리는 증가된다.
이와 같이, 액제 분사 노즐(34b)과 출구 덕트(34e)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액제의 종류에 따라 작업자가 연무 상태를 최적 조건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 덕트(34e)의 테이퍼부에는 대략 3.5mm 직경의 외기 유입공(34f)이 제공되는데, 이 외기 유입공(34f)은 대략 8개 정도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기 유입공(34f)을 갖는 출구 덕트는 액제 및 송출 공기의 유속으로 인해 상기 외기 유입공(34f)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므로, 액제의 혼합 및 미세화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액제 분사관(34a)의 출구측 단부에 설치되는 액제 분사 노즐(34b)은 액제 분사관(34a)에 가공된 나사를 통하여 조립된다.
이러한 액제 분사 노즐(34b)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노즐체(33b',34b")로 이루어진다. 제1 노즐체(34b')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제 분사관(34a)의 출구측 단부에 조립되며, 제2 노즐체(34b")는 내식성을 고려한 스테인레스강 스크류에 의해 제1 노즐체(34b')에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노즐체(34b',34b")는 노즐 단면적을 통과하는 송풍 공기의 통과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면적 감소부(34'b')를 구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b 및 7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코스모스 꽃잎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노즐체(34b',34b")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액제 분사공을 형성하는 액제 분사 노즐(34b)의 첨단에는 V자형 절개부(34"b')가 더욱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의 액제 분사 노즐(34b)은 원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되는 종래의 노즐 단면적에 비해 송풍 공기의 통과 면적을 4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즐(34b)을 통과하는 송풍 공기의 유량과 유속이 증가되므로, 연무 입자를 미세화함과 아울러, 송출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관체(34d)의 외주면에는 손잡이(38)가 설치되는데, 상기 손잡이(38)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고리(38a,38b)와, 이 고리들(38a,38b)을 조립하는 1개의 조립 볼트(38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제 분사관(38a)의 일단부에는 리듀서(32)를 통해 삽입된 액제 공급용 호스(4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바, 이 액제 공급용 호스(40)의 다른 단부는 약제통(24)에 연결된다.
상기 액제 공급용 호스(40)에는 송풍기(18) 출구의 공기 압력이 액제통(24)의 약제에 전달된 압력과, 액제 분사 노즐(34b)에서 액제가 분사되면서 유발된 부압의 크기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는 자동 조절 밸브(44)가 장착되는데, 상기 자동 조절 밸브(44)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44a')와 출구(44a")를 갖는 밸브 본체(44a)와, 스프링(44b)에 의해 탄지되어 입구(44a')를 폐쇄하는 상태로 밸브 본체(44a) 내부에 설치되는 볼(44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44b)의 장력은 개솔린 엔진의 회전수가 3000rpm 이하이거나, 송풍 공기압이 100mmAq 이하일 경우 입구(44a')를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제 공급용 호스(40)에는 자동 조절 밸브(44)의 누설시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액제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 밸브(46)가 자동 조절 밸브(44)와 직렬로 장착된다. 차단 밸브(46)는 상기한 작용 외에도 장기간 운전을 하지 않거나 연무기를 보관할 때 액제 유출을 차단하는 작용도 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차단 밸브(46)는 조절 핸들을 사용하여 입구 및 출구를 개폐하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용 액제 연무기는 상기 개솔린 엔진(20)의 회전 속도(rpm)을 조절함으로써 송풍팬(18b)의 회전 속도를 5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변속 레버(48)를 더욱 구비한다.
또한, 송풍기(18)에서 강압된 공기를 호스(42)를 통해 약제통(24)에 공급하는 한편, 액제 침전물 부양 호스(42')에 공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제 연무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개솔린 엔진(20)을 가동하면 엔진 구동축(20a)에 직결된 원심식 송풍기(18)의 송풍팬(18b)이 회전되므로, 송풍기(18)에 유입된 공기가 강압되고, 강압된 송풍 공기중 일부는 호스(42)를 통해 약제통(24)에 공급됨과 아울러 액제 침전물 부양 호스(42')를 통해 공급되며, 나머지 대부분의 송풍 공기는 출구관(18a'), 송풍관(28), 리듀서(32), 선회관(34d)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출구 덕트(34e)를 통해 토출된다.
이때, 약제통(24)에 부가되는 공기압과, 송풍 공기로 인해 액제 분사 노즐(34b)에서 유발된 액제의 부압에 의해 자동 조절 밸브(44)의 볼(44c)이 스프링(44b)을 압축하면서 입구(44a')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약제통(24) 내의 액제는 액제 공급용 호스(40), 자동 조절 밸브(44), 액제 분사관(34a), 액제 분사 노즐(34b)을 통해 선회관(34d) 내부로 분사되며, 액제 분사 노즐(34b)에 공급되는 액제의 공급량은 송풍 공기의 압력과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된다.
즉, 변속 레버(48)를 이용하여 상기 개솔린 엔진(20)을 고속단으로 구동할수록 송풍팬(18b)의 회전 속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송풍 공기의 공기압이 증가되어 액제 분사 노즐(34b)을 통해 많은 양의 액제가 분사된다. 이와는 반대로, 개솔린 엔진(20)을 저속단으로 구동하면 송풍팬(18b)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므로, 액제 분사 노즐(34b)에서는 적은 양의 액제가 분사된다.
한편, 송풍관(28)을 통과한 송풍 공기는 리듀서(32)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되고, 유속이 증가된 송풍 공기는 선회 유도 날개(34c)를 통과하면서 강제적으로 선회되어 와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액제 분사 노즐(34b)에서 분사된 액제는 상기 와류에 의해 효과적으로 무화된 후 출구 덕트(34e)를 통해 외부로 분무되며, 출구 덕트(34e)를 통해 분무되는 액제는 상기 와류로 인해 종래 대비 30% 이상 먼 거리로 송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약제통에 공급되는 송풍 공기의 공기압과, 액제 분사 노즐을 통과하는 고속의 송풍 공기에 의해 액제가 분사되면서 발생되는 부압으로 인해 약제통의 액제가 액제 분사 노즐에 공급된다. 따라서, 종래의 액제 가압용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미세 입자로 연무화된 액제를 15미터 이상 멀리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휴대용 연무기는 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송풍 수단(임펠러와 이를 구동하는 엔진을 의미한다)을 등받이에 설치할 수 있어 장치의 운반과 사용이 용이하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약제통 내부에는 액제의 출렁거림을 방지하는 요동 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출렁거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약제통의 바닥에 퇴적되는 액제의 침전물을 부양하여 액제의 혼합을 촉진함은 물론, 침전물이 액제 흡입용 호스를 폐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농축 액제가 액제 분사 노즐에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기에서 발생된 송풍 공기의 유속을 리듀서에 의해 증가시키는 한편, 증속된 송풍 공기를 선회시켜 와류를 발생시키고, 외기를 부가적으로 유입하므로써, 액제의 연무 입자를 30마이크로미터 이하로 미세화하여 액제 소모량 저감과 농작물 전체 표면에 약제의 접촉이 가능하게 되어 농작물의 병충해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고, 액제의 공급량을 송풍기 구동 엔진의 속도 조절로 자유롭게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며, 액제 살포 거리를 종래 대비 3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듀서의 사용으로 인해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를 상하 또는 좌우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액제 공급용 호스가 선회 유도 날개 조립 체의 액제 분사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조립체 외부의 배관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액제 분사 노즐의 단면 형상이 코스모스 꽃잎 형상으로 형성되고, 분사구의 첨단에 1mm 정도 깊이의 V자형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노즐 단면적에 비해 송풍 공기의 통과 면적이 40% 정도 증가된다. 따라서, 송풍 공기의 유량과 유속이 증가되므로 연무 입자의 미세화 및 송출 거리 증가가 용이하다.
그리고, 출구 덕트와 액제 분사 노즐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따라 액제의 입자 크기와 송출 거리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제의 종류에 따라 작업자가 연무 상태를 최적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전체적인 연무기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액제 연무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동력 살포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제 연무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제 연무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제 연무기의 송풍관 및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제 연무기의 선회 날개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제 연무기의 액제 분사 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제 연무기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연무기에 사용되는 자동 조절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송풍기 20 : 개솔린 엔진
24 : 약제통 28 : 송풍관
32 : 리듀서 34 :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
34a : 액제 분사관 34b : 액제 분사 노즐
34c : 선회 유도 날개 34d : 선회관
34e : 출구 덕트 40 : 액제 공급용 호스
44 : 자동 조절 밸브 46 : 차단 밸브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액제가 담겨지는 약제통과;
    송풍팬을 구비하며, 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 공기의 압력을 압력 제어용 호스를 통해 약제통 내부로 공급하여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가압하는 한편, 나머지 대부분의 송풍 공기를 송풍관을 통해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송풍관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를 선회시켜 와류를 발생키는 선회 유도 날개와, 상기 선회 유도 날개가 외면에 구비되는 액제 분사관 및 상기 선회 유도 날개를 둘러싸는 선회관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와;
    상기 선회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류에 의해 무화된 액제를 살포하는 출구 덕트와;
    상기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상기 송풍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공급하는 액제 공급용 호스;
    를 포함하며, 상기 액제 분사관의 일단부에는 액제 공급용 호스가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액제 분사 노즐이 장착되며, 상기 선회관의 단부측 외면에는 고정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출구 덕트에는 상기 고정 돌기가 결합된 위치에 따라 액제 분사 노즐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돌기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기 결합부는 출구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홈과, 상기 길이방향 홈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출구 덕트가 액제 분사 노즐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5. 액제가 담겨지는 약제통과;
    송풍팬을 구비하며, 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 공기의 압력을 압력 제어용 호스를 통해 약제통 내부로 공급하여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가압하는 한편, 나머지 대부분의 송풍 공기를 송풍관을 통해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송풍관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를 선회시켜 와류를 발생키는 선회 유도 날개와, 상기 선회 유도 날개가 외면에 구비되는 액제 분사관 및 상기 선회 유도 날개를 둘러싸는 선회관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와;
    상기 선회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류에 의해 무화된 액제를 살포하는 출구 덕트와;
    상기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상기 송풍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공급하는 액제 공급용 호스;
    를 포함하며, 상기 액제 분사관의 일단부에는 액제 공급용 호스가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액제 분사 노즐이 장착되며, 상기 출구 덕트는 액제 분사 노즐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약제통의 내부에는 요동 방지판이 더욱 설치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6. 액제가 담겨지는 약제통과;
    송풍팬을 구비하며, 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 공기의 압력을 압력 제어용 호스를 통해 약제통 내부로 공급하여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가압하는 한편, 나머지 대부분의 송풍 공기를 송풍관을 통해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송풍관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를 선회시켜 와류를 발생키는 선회 유도 날개와, 상기 선회 유도 날개가 외면에 구비되는 액제 분사관 및 상기 선회 유도 날개를 둘러싸는 선회관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와;
    상기 선회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류에 의해 무화된 액제를 살포하는 출구 덕트와;
    상기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상기 송풍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공급하는 액제 공급용 호스;
    를 포함하며, 상기 액제 분사관의 일단부에는 액제 공급용 호스가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액제 분사 노즐이 장착되며, 상기 출구 덕트는 액제 분사 노즐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약제통의 내부에는 액제 침전물 부양 호스가 더욱 설치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7. 액제가 담겨지는 약제통과;
    송풍팬을 구비하며, 이 송풍팬에 의해 발생된 송풍 공기의 압력을 압력 제어용 호스를 통해 약제통 내부로 공급하여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가압하는 한편, 나머지 대부분의 송풍 공기를 송풍관을 통해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송풍관을 통해 공급된 송풍 공기를 선회시켜 와류를 발생키는 선회 유도 날개와, 상기 선회 유도 날개가 외면에 구비되는 액제 분사관 및 상기 선회 유도 날개를 둘러싸는 선회관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와;
    상기 선회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류에 의해 무화된 액제를 살포하는 출구 덕트와;
    상기 약제통 내부의 액제를 상기 송풍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공급하는 액제 공급용 호스;
    를 포함하며, 상기 액제 분사관의 일단부에는 액제 공급용 호스가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는 액제 분사 노즐이 장착되며, 상기 출구 덕트는 액제 분사 노즐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출구 덕트에는 외기 유입공이 더욱 구비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8. 제 4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제 분사 노즐은 노즐의 단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노즐을 통과하는 송풍 공기의 통과 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 감소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9. 제 8항에 있어서, 액제 분사공을 형성하는 상기 액제 분사 노즐의 첨단에는 V자형 절개부가 더욱 제공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액제 공급용 호스의 단부 또는 중간부분에는 액제 공급량을 조절하는 자동 조절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자동 조절 밸브는 송풍 공기에 의해 가압된 액제의 압력과, 액제 분사 노즐에서 액제가 분사되면서 유발된 부압의 크기에 따라 개폐가 조절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조절 밸브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는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볼 및 이 볼을 입구 폐쇄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제 공급용 호스에는 자동 조절 밸브의 누설시 액제를 차단하는 차단 밸브가 상기 자동 조절 밸브와 직렬로 장착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는 연질재의 리듀서에 의해 상기 송풍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듀서는 선회 유도 날개 조립체쪽의 내경이 송풍관 단부쪽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송풍팬과 직결되는 개솔린 엔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솔린 엔진은 변속 레버를 더욱 포함하는 휴대용 액제 연무기.
KR10-2002-0046492A 2002-08-07 2002-08-07 휴대용 액제 연무기 KR100490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492A KR100490860B1 (ko) 2002-08-07 2002-08-07 휴대용 액제 연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6492A KR100490860B1 (ko) 2002-08-07 2002-08-07 휴대용 액제 연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640U Division KR200295353Y1 (ko) 2002-08-07 2002-08-07 휴대용 액제 연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524A KR20040013524A (ko) 2004-02-14
KR100490860B1 true KR100490860B1 (ko) 2005-05-24

Family

ID=3732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492A KR100490860B1 (ko) 2002-08-07 2002-08-07 휴대용 액제 연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8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76B1 (ko) * 2006-09-29 2007-06-28 박정태 약제 연막 살포기의 세척액 펌핑 연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042854B1 (ko) * 2008-11-19 2011-06-21 김의삼 연무기
KR101173003B1 (ko) 2011-09-21 2012-08-09 이종민 분사방향조작이 용이한 분무 연막방역장치
US20220134365A1 (en) * 2020-11-03 2022-05-05 DJB Solutions, LLC Fogging nozzle assembly couplable to a typical handheld blower
US11980908B2 (en) * 2021-11-03 2024-05-14 DJB Solutions, LLC Fogging nozzle assembly couplable to a typical handheld blo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335B1 (ko) * 2009-12-01 2012-06-13 박형갑 산불 소화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28413Y1 (ko) * 1967-07-06 1971-10-01
JPS4737361Y1 (ko) * 1971-10-25 1972-11-13
JPS4725048U (ko) * 1971-04-12 1972-11-21
JPS6079562U (ja) * 1983-11-04 1985-06-03 ニューデルタ工業株式会社 動力噴霧機の切換式噴環構造
JPH0326361U (ko) * 1989-07-26 1991-03-18
KR100278611B1 (ko) * 1998-07-29 2001-01-15 윤종용 에프피씨를 이용하는 엘씨디 모듈
KR200278611Y1 (ko) * 2002-03-07 2002-06-20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액제 연무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28413Y1 (ko) * 1967-07-06 1971-10-01
JPS4725048U (ko) * 1971-04-12 1972-11-21
JPS4737361Y1 (ko) * 1971-10-25 1972-11-13
JPS6079562U (ja) * 1983-11-04 1985-06-03 ニューデルタ工業株式会社 動力噴霧機の切換式噴環構造
JPH0326361U (ko) * 1989-07-26 1991-03-18
KR100278611B1 (ko) * 1998-07-29 2001-01-15 윤종용 에프피씨를 이용하는 엘씨디 모듈
KR200278611Y1 (ko) * 2002-03-07 2002-06-20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액제 연무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76B1 (ko) * 2006-09-29 2007-06-28 박정태 약제 연막 살포기의 세척액 펌핑 연결장치와 그 제조방법
WO2008054051A1 (en) * 2006-09-29 2008-05-08 Jeong-Tae Park Washing pumping coupling of storage medicine smoke screen sprinkler an the manufacturing method
KR101042854B1 (ko) * 2008-11-19 2011-06-21 김의삼 연무기
KR101173003B1 (ko) 2011-09-21 2012-08-09 이종민 분사방향조작이 용이한 분무 연막방역장치
US20220134365A1 (en) * 2020-11-03 2022-05-05 DJB Solutions, LLC Fogging nozzle assembly couplable to a typical handheld blower
US11980908B2 (en) * 2021-11-03 2024-05-14 DJB Solutions, LLC Fogging nozzle assembly couplable to a typical handheld bl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524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5730B1 (en) Cold fogger
US3858358A (en) High pressure liquid and abrasive cleaning apparatus
CN111837902B (zh) 一种园林施工用洒水装置
CA2578567A1 (en) Fire fighting nozzle for projecting fog cloud
US5190217A (en) Applicator gun for applying surface coatings
KR100490860B1 (ko) 휴대용 액제 연무기
KR200295353Y1 (ko) 휴대용 액제 연무기
KR100523590B1 (ko) 휴대용 액제 연무기
KR200278611Y1 (ko) 휴대용 액제 연무기
CN102630660B (zh) 一种生物农药喷洒装置
KR20190106211A (ko) 송풍부를 자동 제어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CN214801918U (zh) 一种园林护养专用的喷雾器
KR101834208B1 (ko) 분무장치가 구비된 예초기
KR100759928B1 (ko) 액체분무장치
CN209898076U (zh) 一种山地果园用机械喷洒农药车
KR20080026961A (ko) 광범위 살포형 농약방제기
KR102620951B1 (ko) 광역 살포기
US2716306A (en) Aerosol generating machine
CN214581111U (zh) 一种多点喷射设备
CN214437928U (zh) 一种小型喷射装置
KR102554625B1 (ko) 수중펌프를 이용하는 약액교반장치가 구비된 방제용 드론
CN214610322U (zh) 一种文丘里及喷射装置
JP3156283U (ja) 気液混合放出装置
RU2782409C1 (ru) Моторизированное сред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лесных и степных пожаров
CN207042706U (zh) 车载式超低容量喷雾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