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512Y1 -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512Y1
KR200158512Y1 KR2019970015220U KR19970015220U KR200158512Y1 KR 200158512 Y1 KR200158512 Y1 KR 200158512Y1 KR 2019970015220 U KR2019970015220 U KR 2019970015220U KR 19970015220 U KR19970015220 U KR 19970015220U KR 200158512 Y1 KR200158512 Y1 KR 200158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ube
flange
groove
adhesi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739U (ko
Inventor
박수철
김종식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조문수
주식회사한국화이바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수, 주식회사한국화이바,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문수
Priority to KR2019970015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51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5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4Torque-transmitting axles composite or split, e.g. half- axles; Couplings between axle parts or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21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튜브의 내부에 끼워지는 플랜지의 접착부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홈을 성형하는 동시에 끝단에는 밀폐재를 구비하고, 이 접착부를 튜브에 끼워 넣은 다음 튜브에 성형된 분사구멍을 통하여 접착제를 분사함으로써, 접착제가 홈을 따라 접착면의 안쪽까지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도포할 수 있게 되어, 플랜지의 접착에 따른 접착면적을 극대화시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
본 고안은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의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홈을 형성하여 튜브에 끼운 상태에서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접착면적을 극대화하여 접착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이 동력발생장치가 갖추어진 장치 및 장비에는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기 위해 구동축이 갖추어져 있다.
특히, 이러한 구동축은 전달하려는 구동력의 세기 및 서로 떨어진 거리에 따라 길이와 직경을 달리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구동축의 양단에는 동력을 전달받는 구성품과 연결가능하도록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축은, 첨부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소정의 직경을 갖는 튜브를 제작한 다음, 그 일단이나 양단에 각각 플랜지를 부착고정하여서 제작하게 된다.
자동차의 구동축을 예로 들어 살펴보면, 상기 구동축은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튜브를 제작한 후 이 튜브의 양단 내부에 끼울 수 있도록 접착부를 갖는 플랜지를 별도로 제작해서, 접착부에 일정량의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로 튜브에 끼워 접착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는 플랜지의 접착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튜브에 억지로 끼워 형성하기 때문에, 도포된 접착제의 상당량이 접착면으로부터 벗겨져서 접착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튜브의 내부에 끼워지는 플랜지의 접착부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홈을 성형하는 동시에 끝단에는 밀폐재를 구비하고, 이 접착부를 튜브에 끼워 넣은 다음 튜브에 성형된 분사구멍을 통하여 접착제를 분사함으로써, 접착제가 홈을 따라 접착면의 안쪽까지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도포할 수 있게 되어, 플랜지의 접착에 따른 접착면적을 극대화시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랜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브 11 : 플랜지
12 : 접착부 13 : 홈
14 : 밀폐재 15 : 분사구멍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플랜지(11)의 접착부(12) 외주면에 홈(13)을 전체 길이에 걸쳐 성형하는 동시에 끝단에는 밀폐재(14)를 구비하고, 이 접착부(12)를 상기 홈(13)과 연통가능하도록 분사구멍(15)이 성형된 튜브(10)의 끝단에 끼움설치하여, 상기 분사구멍(15)을 통하여 접착재를 분사하여 튜브와 접착부(12) 사이에 접착재가 일정한 두께로 도포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홈(13)은 나선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은 튜브를, 11은 플랜지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은 상기 튜브(10)의 내부에 끼워지는 플랜지(11)의 접착부(12) 외주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홈(13)을 성형하는 동시에 이 접착부(12)의 끝단에는 밀폐재(14)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는 내부와 연통되어 홈(13)과 연통가능하도록 분사구멍(15)을 관통성형하여, 이 접착부(12)가 상기 튜브(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분사구멍(15)을 통하여 접착재를 분사가능하게 함으로써, 분사된 접착재가 상기 분사구멍(15)을 따라 접착부(12)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 일정한 두께로 도포가능하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홈은 접착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폭을 갖는 나선 형상으로 성형하여, 상기 분사구멍을 통하여 분사되는 접착재가 튜브 및 플랜지가 접착되는 넓은 면적에 걸쳐 도포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폐재(14)는 O-링과 같은 것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접착부(12)가 튜브(10)에 끼워졌을때 이 접착부(12)의 끝단과 튜브(10) 사이에서 밀폐기능을 가지게 하여, 분사된 접착제가 튜브(10)의 안쪽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12)는 접착제를 매개로 튜브(10)와 접촉되는 면적이 홈(13)의 전체 표면적의 크기만큼 넓어지게 되고, 이 접착부(12)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실린더 형상으로 성형된 튜브의 각 단에 끼워져서 부착고정되는 플랜지의 접착부 외주면에 나선 형상의 홈을 성형하고,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는 나선홈과 연통가능하도록 분사구멍을 관통성형하여, 상기 접착부의 끝단에 밀폐재를 부착한 다음 튜브의 내부에 끼워 넣은 후 분사구멍을 통하여 접착재를 분사함으로써, 접착재가 홈을 따라 접착부의 전체 외주면에 골고루 분포가능하게 되어, 플랜지의 접착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플랜지(11)의 접착부(12) 외주면에 홈(13)을 전체 길이에 걸쳐 성형하는 동시에 끝단에는 밀폐재(14)를 구비하고, 이 접착부(12)를 상기 홈(13)과 연통가능하도록 분사구멍(15)이 성형된 튜브(10)의 끝단에 끼움설치하여, 상기 분사구멍(15)을 통하여 접착재를 분사하여 튜브와 접착부(12) 사이에 접착재가 일정한 두께로 도포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13)은 나선 형태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
KR2019970015220U 1997-06-21 1997-06-21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 KR200158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220U KR200158512Y1 (ko) 1997-06-21 1997-06-21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220U KR200158512Y1 (ko) 1997-06-21 1997-06-21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39U KR19990001739U (ko) 1999-01-15
KR200158512Y1 true KR200158512Y1 (ko) 1999-10-15

Family

ID=1950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220U KR200158512Y1 (ko) 1997-06-21 1997-06-21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5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356A (ko) 2018-02-12 2019-08-21 (주)동하정밀 복합재료 축의 플랜지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356A (ko) 2018-02-12 2019-08-21 (주)동하정밀 복합재료 축의 플랜지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39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44469A1 (en) Drive shaft tube and end fitt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A22475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nding an active tag to a patch and a tire
WO2002061317A3 (en) Thermoplastic reinforced hos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2066257A1 (en) Flexible hose construc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A2196713A1 (en) Composite pipe with a socke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5009376A (en) Seizure-fixing device of pipe by clamp member
CA2278418A1 (en) Epoxy coated tampon applicator having a pierce-through fingergrip
CA2181964A1 (en) Injection molding nozzle method using a terminal locating and sealing key
KR200158512Y1 (ko) 구동축의 플랜지 결합구조
EP1031747A3 (en) Driving Shaf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970707400A (ko) 조인트 디스크의 제조 방법(process for manufacturing joint disks)
EP1340936A3 (en) Resin coating pipe
CA2209345A1 (en) Adhesive injection apparatus
JPH10108339A (ja) グロメットの防水構造および防水方法
KR20030055941A (ko) 다중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US6758311B2 (en) Band brak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nular brake band
KR200270584Y1 (ko) 다중관 성형장치
KR19980027433U (ko) 자동차의 구동축 체결구조
KR950032916A (ko) 지반개량체 조성장치 및 공법
KR100253456B1 (ko) 저진동 복합 추진축과 그 제조방법
JP3771149B2 (ja) Frp管継手成形用内型
JPH06141446A (ja) グロメットの防水構造及びその作成方法
KR19990018953A (ko) 저진동 복합 추진축과 그 제조방법
JP2002155913A (ja) 嵌合接合体
KR100520785B1 (ko) 저진동 복합 추진축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