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584Y1 - 다중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다중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584Y1
KR200270584Y1 KR2020010040628U KR20010040628U KR200270584Y1 KR 200270584 Y1 KR200270584 Y1 KR 200270584Y1 KR 2020010040628 U KR2020010040628 U KR 2020010040628U KR 20010040628 U KR20010040628 U KR 20010040628U KR 200270584 Y1 KR200270584 Y1 KR 200270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hamber
synthetic resin
metal tube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천
Original Assignee
김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천 filed Critical 김재천
Priority to KR2020010040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584Y1/ko

Link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특히,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합성수지관을 금속관에 접착토록 관 밀착수단이 형성되는 관 성형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따라, 금속관의 표면에 합성수지관이 완벽하게 밀착되어 부식의 발생을 억제하는 다중관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관 성형장치{A Device for Forming of Multi-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을 금속관 내부에 피복 접착하는 다중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관 성형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금속관의 내측에 합성수지관을 용이하게 피복 접착토록 하는 다중관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종(異種)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1,2관을 상호 접착시켜 형성되는 다중관은, 금형에 의해 제1,2관을 상호 접착 시키는 방법과 관의 팽착력을 이용하는 제1,2관을 상호 접착시키는 방법및 진공흡착을 이용하여 제1,2관을 상호 접착하는 방법에 의해 다중관을 제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금형을 이용하여 이종의 제1,2관을 상호 접착시키는 방법은, 일단부의 구경이 확대토록 형성되는 금속관의 내에 성형용 내금형을 배설하고, 상기 금속관 내경 보다도 작은 합성수지관을 금속관 내로 밀어 넣으며, 상기 합성수지관을 내금형에 의해 확장시켜 금속관의 내면에 접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합성수지관을 금속관 내경보다 작게 만든후 금속관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합성수지관을 삽입하고, 상기 합성수지관 내면으로 내금형을 넣은후 외부에서 열을 가한 상태에서 내금형을 확장시켜 합성수지관과 금속관을 상호 접합하는 것으로서 접합성은 좋지만 금속관의 동심도(타원발생)가 크기 때문에 부분적 공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관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이종의 제1,2관을 상호 접착시키는 방법은, 냉동실에서 수축되어 축경된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합성수지관을 역시 냉동실에서 수축되는 금속관의 내측에 삽입한후 상온에 방치하면 합성수지관이 팽창하면서 금속관의 내측에서 접합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은, 생산성 측면에서는 다소 유리하지만 금속관과 합성수지관을 냉동실에 투입하면 냉동실 내의 수분이 소재 표면에 부착되어 결합 후에도 수분으로 인한 접착의 불완전, 접착된 두면 사이에 수분이 잔재함으로 인해 금속관부식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진공흡착을 이용하여 이종의 제1,2관을 상호 접착시키는 방법은, 합성수지 외면에 접착성 수지를 도포한후 금속관의 내면에 삽입하고, 상기 금속관을 가열하여 금속관의 내면과 합성수지관의 외면에 있는 공기를 진공 펌프를 이용해 게이트로 배출시켜 접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2중관은 물리적 힘에 의해 밀접시켜 접합 하는것과, 진공압을 이용하여 열원을 가해 접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2중관은 작업방법이 고 난이도를 요하며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에 노출되는 금속관의 표면 전체을 피복 마감처리 하여 관부식을 완벽하게 방지토록 하는 다중관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관 성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2a,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다중관 성형장치의 관 지지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단면도
도3a,b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피복처리된 다중관의 평면도및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수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챔버 120...가열공간
210..프레임 220...실린더
230...회전축 270...스팀라인
280...진공라인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몸체의 내측에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챔버와,
챔버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실린더및 상기 챔버의 타측면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중공의 회전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와 회전축의 단부에 관지지수단이 각각 연결되는 관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중관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다중관 제조장치는,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관 성형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챔버(100)는, 내부에 가열공간(120)을 형성토록 챔버몸체(110)가 설치되어 그 내측에 가열수단(130)이 설치되고, 상기 챔버몸체(110)는, 유리섬유등이 충진되는 단열층(110a)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열수단(130)은, 상기 가열공간(110)을 발열토록 챔버몸체(110)에 삽입되는 가스라인(130a)과 그 단부에 연결되는 노즐(130b)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챔버(100)에 설치되는 관 성형부(200)는, 프레임(210)에 지지되면서 챔버(10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실린더(220)및 이에 클러치(290)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로드(220a)와 상기 챔버(100)의 타측면에 회전가능토록 클러치(290)가 개재되는 중공의 회전축(2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220a)와 회전축(230)의 단부에 관지지수단(240)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관지지수단(240)은, 상기 실린더와 회전축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척(240a)(240b)과 상기 고정척의 내경측에 위치하면서 실린더와 회전축의 단부에고정되는 고정지그(240c)(240d)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중공상의 회전축(230)과 관통연결토록 고정지그(240d)에 관통홀(25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30)은, 그 일측에 스팀라인(270)과 진공라인(280)이 분기토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척에 의해 지지되는 관의 휨을 방지토록 챔버(10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방진구(29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도4에서와 같이, 상기 금속관(180)의 내측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190)을 수축하여 금속관(180)의 내측에 삽입가능하도록 진공라인(280)에 연결되는 진공패드(400a)(400b)로서 구성되는 합성수지관 축경장치가 별도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도면부호 260은, 고정볼트 이고, 180,190은 금속관과 합성수지관이며, 상기 170은, 금속관과 합성수지관 사이에 충진토록 도포되는 방식성 접착제 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금속관(180)내면에 방식성 접착제(170)를 코팅 접합한 상태에서 금속관(180)의 내경보다 그 외경이 실질적으로 갖거나 작게 형성되는 합성수지관(190)을 삽입하고, 상기 금속관(180)의 단부를 각각 고정지그(240c)(240d)로서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지그(240c)(240d)는, 챔버(100)의 내측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실린더(220)의 로드(220a)와 회전축(230)의 단부에 각각 클러치(290)를 개재하여 각각 연결됨으로써 클러치의 차단시 챔버(100)의 내측에서 일체로 회전토록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220a)는 그 일측에 연결되는 클러치(29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그 일측에 연결되는 풀리(미도시)를 구동모터와 벨트등으로서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회전토록 되고, 상기 풀리의 회전시 고정지그(240c)(240d)에 의해 고정되는 금속관(180)및 합성수지관(190)을 회전시키게 된다.
더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220a)에는 금속관(180)의 외부 고정용 고정척(240a)(240b)이 부착되어 금속관(180)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볼트(260)로 서 완벽하게 관 외면과 체결되어 회전에 따른 관의 유동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챔버(100)의 내측면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30)은, 챔버(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노즐(130b)에 의해 가열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10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는 방진구(290)를 설치하여 금속관(180)의 고속회전에 따른 관의 변형과 요동을 방지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고정지그(240d)에는 양단에 압입되는 합성수지관(190)의 관내부를 가열하거나 그 내측에 있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스팀라인및 진공라인이 연결되는 관통홀(250)이 형성된다.
한편, 도4에서와 같은 별도의 합성수지관 수축용 장치가 마련되어도 좋으며, 상기 합성수지관 축경장치는, 합성수지관(190)의 관단부에 각각 밀착되는 밀봉캡(400a)(400b)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봉캡(400a)(400b)은, 비금속으로 제작후 실리콘 고무 등으로 얇게 코팅 처리한 것을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밀봉캡(400b)은, 그 중앙부에 관통홀(250)이 형성되는 진공라인(280)과 연결됨으로써 내측의 공기를 배출하여 합성수지관을 관경을 축소하여 합성수지관이 금속관의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이중관 성형장치에 의하면, 금속관의 내면 및 외면, 관단부까지 모두 합성수지관으로 가열 융착시켜 어떠한 환경조건에서라도 부식발생이 전혀 없는 가장 완벽한 합성수지 피복강관을 제조할 수 있고 접착강도를 증가시키며, 활용도 측면에서도 상수관, 화학플랜트, 해양플랜트관, 지중매설관등에 사용해도 관 부식발생이 전혀 없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5)

  1. 내부에 가열공간(120)을 형성토록 챔버몸체(110)가 설치되어 그 내측에 가열수단(130)이 설치되는 챔버(100)와,
    챔버(100)의 일측면 삽입되어 회전가능토록 로드(220a)가 연결되는 실린더(220)및 상기 챔버(100)의 타측면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중공의 회전축(2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220)와 회전축(230)의 단부에 관지지수단(240)이 각각 연결되는 관 성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관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130)은, 상기 가열공간(110)을 발열토록 챔버몸체(110)에 삽입되는 가스라인(130a)과 그 단부에 연결되는 노즐(130b)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수단(240)은, 상기 로드(220a)와 회전축(230)에 각각 클러치를 개재하여 결합및 분리가능토록 연결되는 고정척(240a)(240b)과 상기 고정척의 내경측에 위치하면서 실린더와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지그(240c)(240d)로서 구성되며, 상기 고정지그(240d)에 관통홀(250)이 형성되어 그 일측에 스팀라인(270)과 진공라인(280)이 분기토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는, 고정척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관의 휨을 방지토록 챔버(10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방진구(2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 성형부(200)는, 금속관(180)의 내측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190)의 양단에 각각 밀착되면서 진공라인(280)에 연결되는 별도의 진공패드(400a)(400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성형장치
KR2020010040628U 2001-12-28 2001-12-28 다중관 성형장치 KR200270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628U KR200270584Y1 (ko) 2001-12-28 2001-12-28 다중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628U KR200270584Y1 (ko) 2001-12-28 2001-12-28 다중관 성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073A Division KR20030055941A (ko) 2001-12-27 2001-12-27 다중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584Y1 true KR200270584Y1 (ko) 2002-04-12

Family

ID=7311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628U KR200270584Y1 (ko) 2001-12-28 2001-12-28 다중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5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157B1 (ko) * 2014-11-28 2015-06-09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강관과 합성수지관이 일체화되는 복합관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157B1 (ko) * 2014-11-28 2015-06-09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강관과 합성수지관이 일체화되는 복합관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6495B2 (ja) 配管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89615A (en) Branch pipe connection
US4576223A (en) Heat exchanger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KR19990087281A (ko) 파이프 연결부
CA2196713A1 (en) Composite pipe with a socke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3775975B2 (ja) 熱可塑性樹脂からなる基材への部品埋め込み方法
US5199153A (en) Method for making a flanged pipe length having a lining of plastic material
KR930009045B1 (ko) 라이닝된 흄관 제조방법
KR200270584Y1 (ko) 다중관 성형장치
KR20030055941A (ko) 다중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CN210950329U (zh) 一种用于空调通风管的易接头
US20100154977A1 (en) Method for tightly joining two end sections of corrugated pipe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JP2002527277A (ja) 合成樹脂製遮断弁およびその製作方法
US20040056485A1 (en) Integrally formed sheet metal tube flange
JP2020176958A (ja) 既設配管の漏洩試験治具
RU2263244C1 (ru) Не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и способ его выполнения
JPH022134Y2 (ko)
JP2003172481A (ja) 銅配管の接続方法
JPH03107696A (ja) 分岐接続管継手およびその接続方法
JP2004162581A (ja) ディーゼル機関用高圧燃料噴射管
CN2830847Y (zh) 一种管道连接管件
JP2555718Y2 (ja) 樹脂管接続用弁
JPS62155373A (ja) フツ素膜付ベロ−ズの形成方法
KR20210099695A (ko) 배관의 벤딩 장치
KR200375955Y1 (ko) 주름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