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166Y1 - 전동식 선 루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선 루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166Y1
KR200158166Y1 KR2019950050408U KR19950050408U KR200158166Y1 KR 200158166 Y1 KR200158166 Y1 KR 200158166Y1 KR 2019950050408 U KR2019950050408 U KR 2019950050408U KR 19950050408 U KR19950050408 U KR 19950050408U KR 200158166 Y1 KR200158166 Y1 KR 200158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switch
loop
st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341U (ko
Inventor
류호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0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166Y1/ko
Publication of KR9700303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3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2Ro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머 회로가 내장된 ETACS를 사용하여 시동키가 오프 된 후에도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시간동안 선 루프(sun roof)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동키를 이용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와, 상기 시동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선 루프 작동용 스위칭 수단과, 상기 시동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어 설정시간 동안 설정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와; 상기 시동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이머에 연결되어 시동 스위치가 오프될 때 상기 설정시간동안 상기 선 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와, 상기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에 연결되어,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선 루프 자동 잠금용 스위칭 수단과, 상기 선 루프 작동용 스위칭 수단이나 선 루프 자동 잠금용 스위칭 수단의 출력신호를 받아 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선 루프 스위치와, 상기 선 루프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결정된 회전 방향에 따라 선 루프 개폐동작을 실행하는 모터로 이루어진 선 루프(sun roof)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선 루프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식 선 루프(sun roof) 제어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전동식 선 루프(sun roof)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에탁스(Electronic Time Alarm Control System, 이하 ETACS라 약함에 하드 와이어링(hard wiring)을 추가한 전동식 선 루프(sun roof)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 루프(sun roof) 제어장치는 이그니션(ignition) 스위치가 오프되면 전원을 공급 받지 못하게 되므로 선 루프(sun roof)를 닫지 못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다시 이그니션(ignition) 스위치가 온 될 수 있도록 다시 시동을 걸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식 타이머 시스템과 같이 콘덴서의 방전작용을 이용한 타이머 회로가 내장된 ETACS를 사용하여 이그니션(ignition) 스위치가 오프 된 후에도 이그니션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시간동안 선 루프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동식 선 루프(sun roof)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고안의 구성은,
시동키를 이용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와;
상기 시동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선 루프 작동용 스위칭 수단과;
상기 시동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어 설정시간 동안 설정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와;
상기 시동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이머에 연결되어 시동 스위치가 오프될 때 상기 설정시간동안 상기 선 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와;
상기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에 연결되어,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선 루프 자동 잠금용 스위칭 수단과;
상기 선 루프 작동용 스위칭 수단이나 선 루프 자동 잠금용 스위칭 수단의 출력신호를 받아 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선 루프 스위치와;
상기 선 루프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결정된 회전 방향에 따라 선 루프 개폐동작을 실행하는 모터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IG.SW)와, 전원(B+)에 일측 단자가 연결 되고 타측단자에 상기 시동 스위치(IG.SW)가 연결되어 있는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에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타이머(T)와, 상기 타이머(T)의 출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S2)와, 상기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S2)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자동 잠금용 릴레이(RL2)와, 상기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와 상기 자동 잠금용 릴레이(RL2)에 연결되어 있는 선 루프 스위칭 장치(S1)와, 상기 선 루프 스위칭 장치(S1)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M)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는 일측단자에 전원(B+)이 연결되고 타측단자에 시동 스위치(IG.SW)가 연결되어 있는 코일(C1)과, 일측단자에 전원(B+)이 연결되고 타측단자에 선 루프 스위치(S1)가 연결되어 있는 선 루프(SW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동 잠금용 릴레이(RL2)는 일측단자에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S2)가 연결되고 타측단자에 전원(B+)이 연결되어 있는 코일(C2)과, 일측단자에 전원(B+)이 연결되고 타측단자에 선 루프 스위치(S1)의 클로즈(U)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W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선 루프 구동용 스위칭 장치(S2)는 타이머(T)와 선 루프 작동용 스위치(RL1)의 일측단자를 입력단자로 하는 AND게이트(G1)와, 상기 AND게이트(G1)의 출력단자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선 루프 자동 잠금용 릴레이(RL2)의 코일(C2)의 일측단자에 컬렉터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TR)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본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동키를 이용하여 시동 스위치(IG.SW)를 온 시키면, 온된 시동 스위치(IG.SW)를 통해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의 코일(C1)에 전류가 흐르고, 상기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 내의 코일(C1)에 의한 자계가 형성되어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의 스위치(SW1)가 온 상태로 가변하여 선 루프 스위치(S1)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상태에서 선 루프 스위치(S1)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모터(M)를 동작시켜 클로즈(U) 또는 오픈(D) 상태로 제어한다.
이때,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S2)는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로 부터 저레벨인 LOW와 타이머(T)의 저레벨인 LOW가 입력되어, AND게이트(G1)의 논리곱에 의한 출력값은 저레벨인 LOW가 되고, 이를 입력 받은 트랜지스터(TR)에 전원(B+)이 인입되지 않아 코일(C2)에 자계가 형성되지 않음으로 자동 잠금용 릴레이(RL2)의 스위치(SW2)는 오프상태가 되고 선 루프 스위치(S1)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시동 스위치(IG.SW)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선 루프 구동 스위치(S2)의 동작과 무관하게 선 루프 스위치(S1)의 동작에 따라 선 루프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시동키를 이용하여 시동 스위치(IG.SW)를 오프시키면, 오프된 시동 스위치(IG.SW)를 통해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는 오프 상태가 되어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에 의한 선 루프 스위치(S1)의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 시동 스위치(IG.SW)의 오프상태로 인해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의 일측단자는 고레벨인 HIGH 상태가 되고, 이 고레벨인 HIGH를 입력 받은 타이머(T)는 설정시간동안 고레벨인 HIGH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타이머(T)의 고레벨인 HIGH와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의 일측단자의 고레벨인 HIGH가 AND게이트(G1)에 의해 논리곱되어, 고레벨인 HIGH를 출력하는 AND게이트(G1)의 출력신호에 의해 선 루프 구동 스위치(S2)의 트랜지스터(TR)가 턴온 상태로 변화하여 자동 잠금용 릴레이(RL2)의 코일(C2)에 전류가 흐르고, 이 코일(C2)의 자계에 의해 스위치(SW2)가 온되어 선 루프 스위치(S1)의 클로즈(U)단자에 전원이 공급되서 모터(M)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타이머(T)에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타이머(T)의 출력상태가 고레벨인 HIGH에서 저레벨인 LOW로 가변되므로 상기 선 루프 구동용 스위칭 장치(S2)의 AND게이트(G1)의 출력신호는 고레벨인 HIGH에서 저레벨인 LOW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TR)는 턴오프 상태로 변화하므로 자동 잠금용 릴레이(RL2)의 자계 발생이 생기지 않는다. 이로인해 선 루프 자동 잠금용 스위치(SW2)가 오프 상태가 되어 선 루프 스위치(S1)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모터(M)의 작동이 중지된다.
따라서, 시동 스위치(IG.SW)가 탈거될 경우에는, 상기 선 루프 작동용 릴레이(RL1)는 전원이 차단되어 선 루프의 개폐 동작을 할 수 없지만, 선 루프 구동 스위치(S2)와 선 루프 자동 잠금용 릴레이(RL2)의 동작으로 선 루프의 클로즈(U)단자에 전원이 공급되어 선 루프가 위 아래로 움직인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으로 용이하게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한 것은 모두 포함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전후에 선 루프를 닫지않고 습관적으로 시동키를 끄므로 인한 두 번의 동작을 하지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선 루프 제어장치에 있어서, 시동키를 이용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IG.SW)와; 상기 시동 스위치(IG.SW)의 상태에 따라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선 루프 작동용 스위칭 수단(RL1)과; 상기 시동 스위치(IG.SW)의 동작에 의해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어 설정시간 동안 설정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T)와; 상기 시동 스위치(IG.SW)와 연결되고 타이머(T)에 연결되어 시동 스위치(IG.SW)가 오프될 때 상기 설정 시간동안 상기 선 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S2)와; 상기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S2)에 연결되어, 선 루프 구동 스위칭 장치(S2)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선 루프 자동 잠금용 스위칭 수단(RL2)과; 상기 선 루프 작동용 스위칭 수단(RL1)이나 선 루프 자동 잠금용 스위칭 수단(RL2)의 출력신호를 받아 신호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선 루프 스위치(S1)와; 상기 선 루프 스위치(S1)의 신호에 의해 결정된 회전 방향에 따라 선 루프 개폐동작을 실행하는 모터(M)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루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 루프 작동용 스위칭(RL1) 수단은, 시동 스위치(IG.SW)의 동작상태에 따라 상태가 변화하는 코일(C1)과, 상기 코일(C1)의 동작 상태에 따라 스위치(SW1)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루프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 루프 스위칭 장치(S2)는, 상기 선 루프 작동용 스위치(RL1)에 연결되어 있고 타이머(T)에 그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AND게이트(G1)와, 상기 AND게이트(G1)의 출력단자에 베이스가 연결된 트랜지스터(TR)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론 하는 선 루프 제어장치.
KR2019950050408U 1995-12-28 1995-12-28 전동식 선 루프 제어장치 KR200158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408U KR200158166Y1 (ko) 1995-12-28 1995-12-28 전동식 선 루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408U KR200158166Y1 (ko) 1995-12-28 1995-12-28 전동식 선 루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341U KR970030341U (ko) 1997-07-24
KR200158166Y1 true KR200158166Y1 (ko) 1999-10-15

Family

ID=1944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408U KR200158166Y1 (ko) 1995-12-28 1995-12-28 전동식 선 루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1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254B1 (ko) * 2013-12-05 2015-10-20 주식회사 동희홀딩스 Bldc 모터가 설치된 선루프의 홀센서 고장 시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254B1 (ko) * 2013-12-05 2015-10-20 주식회사 동희홀딩스 Bldc 모터가 설치된 선루프의 홀센서 고장 시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341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8166Y1 (ko) 전동식 선 루프 제어장치
JP2609736B2 (ja) 自動車電話装置の電源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4016562A (en) Switch-off device for electrically operated clock alarm and control therefor
EP0425039A2 (en) Power supply circuit for direct voltage regulators with step-up configuration
KR100188155B1 (ko) 실리콘 제어정류기를 이용한 차량용 윈도우 제어회로
KR200153059Y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장치
JP2548778Y2 (ja) ワイパーの制御回路
KR930002982Y1 (ko) 차량용 도어 잠금 회로
KR100347591B1 (ko) 자동차 엔진의 정지 및 시동장치
KR950008748Y1 (ko) 파워윈도우모타(power window motor)의 속도(speed)가변장치
KR0181275B1 (ko) 카메라 녹화 우선 방법
JPH1148916A (ja) ワイパー駆動装置
KR200164557Y1 (ko) 자동차도어자동개폐회로
JPH11198722A (ja) ルームランプ制御装置
KR200246561Y1 (ko) 더미페이저를이용한엔진시동및정지장치
JPH0616106A (ja) 自動車用ワイパ制御装置
KR19990053312A (ko) 차량용 일루미네이티드엔트리의 전원자동차단장치
KR900010082Y1 (ko) 카셋트 도어의 전자식 개폐회로
KR0171786B1 (ko) 차량의 안테나 보호장치
KR930002981Y1 (ko) 자동차의 도어 자동 잠금장치
JP2536841Y2 (ja) 開閉駆動回路
KR19980033812A (ko) 파워 윈도우 시스템
KR19990005615A (ko) 자동차에서 시동오프에 의한 카오디오 리셋장치 및 방법
KR19980050274A (ko)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
KR19980037050U (ko) 차량용 파워윈도우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