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464Y1 - 목걸이의 물림쇠 - Google Patents

목걸이의 물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464Y1
KR200157464Y1 KR2019970022611U KR19970022611U KR200157464Y1 KR 200157464 Y1 KR200157464 Y1 KR 200157464Y1 KR 2019970022611 U KR2019970022611 U KR 2019970022611U KR 19970022611 U KR19970022611 U KR 19970022611U KR 200157464 Y1 KR200157464 Y1 KR 200157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necklace
lower case
decorative membe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380U (ko
Inventor
전정두
Original Assignee
전정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두 filed Critical 전정두
Priority to KR2019970022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46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4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09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of the ring ty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의 물림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장식부재(1)들이 연이어 연결되는 그 이음부에 위치되어 목걸이를 고리형으로 연결 및 분리시키는 물림쇠(10)가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물림쇠(10)는 장식부재(1)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물림구(11)와;
상기 장식부재(1)의 타측위치로 연결되며 걸림공(21)이 구비되는 하부케이스(20)와;
이 하부케이스(20)와의 사이로 물림구(11)가 위치되어 그 외부를 감싸지도록 일측이 힌지핀(33)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걸림공(21)에 대응되는 위치로 홈(32)이 파여진 결착편(31)이 구비되는 상부케이스(30)로 구성된다.
따라서, 마치 진주조개가 진주를 꺼내거나 감싸지게 하는 동작에 의해 목걸이의 물림쇠(10)가 동작되므로 신기함과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그 결착 및 해지작업이 간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느끼게 하고, 그 생산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목걸이의 물림쇠
본 고안은 목걸이의 물림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고 장식적 미감이 우수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목걸이는 도 1에서와 같이 장식부재(1)가 끈등에 연결되고 목에 착탈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결부 위치에 물림쇠(10)를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할 때는 물림쇠(10)를 열어 연결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목에 걸은 후 다시 물림쇠(10)를 결착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 물림쇠는 암구조의 후크와 숫구조의 후크가 결합되게 한 후 이 암수후크들이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착구를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암수 후크구조의 물림쇠 구조에 의하면, 구조가 복잡하여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사용자가 주로 목뒤에서 수행되는 물림쇠의 결착 및 해지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다.
그리고, 예로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구슬형상의 진주부재등이 목걸이 장식구로 연결되는 목걸이의 경우에 있어서, 잠금쇠의 구조가 진주와는 전혀 판이한 기계적 구성에 의한 형태를 갖게 되므로 그 장식적 미감을 저하시키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의 장식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목걸이의 물림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고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한 목걸이의 물림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착과정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로킹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절결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힌지결합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식부재 10 - 물림쇠
11 - 물림구 20 - 하부케이스
21 - 걸림공 30 - 상부케이스
31 - 걸림편 32 - 홈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식부재(1)들이 연이어 연결되는 그 이음부에 위치되어 목걸이를 고리형으로 연결 및 분리시키는 물림쇠(10)가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물림쇠(10)는 장식부재(1)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물림구(11)와;
상기 장식부재(1)의 타측위치로 연결되며 걸림공(21)이 구비되는 하부케이스(20)와;
이 하부케이스(20)와의 사이로 물림구(11)가 위치되어 그 외부를 감싸지도록 일측이 힌지핀(33)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걸림공(21)에 대응되는 위치로 홈(32)이 파여진 결착편(31)이 구비되는 상부케이스(3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마치 진주조개가 진주를 꺼내거나 감싸지게 하는 동작에 의해 목걸이의 물림쇠(10)가 동작되므로 신기함과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 그 결착 및 해지작업이 간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느끼게 하고, 그 생산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단이 분리되는 목걸이의 이음부로 물림쇠(10)가 위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의 내부로 물림구(1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착을 위해 상부케이스(30)가 결합되는 과정을 확대하여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걸림공(21)의 위치로 결착편(31)이 진입되어 홈(32)에 탄력적으로 걸려져 상부케이스(30) 및 하부케이스(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로킹구조를 확대하여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가 힌지핀(3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를 요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은 도 1에서와 같이 주로 구형의 진주와 같은 장식부재(1)들이 연이어 끈에 연결된 상태로 목걸이를 이루게 하고, 절단된 이음부의 위치로는 목에 착탈시키기 위한 결착수단으로 물림쇠(10)가 위치된다.
이 물림쇠(10)는 절단된 장식부재(1)의 일측 단부로는 물림구(11)가 장식부재(1)에 연이어 체인(2)등에 의해 연결되고, 절단된 타측의 장식부재(1)에는 하부케이스(20)가 고리 및 체인(2)등으로 연결된다.
이 하부케이스(20)는 대략 물림구(11)의 1/2정도를 감싸는 형상으로 물림구(11)가 도면에서와 같이 구형으로 되는 경우 이와 상응하는 외부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0)로 감싸지 못한 대략 1/2정도의 개방부는 하부케이스(20)에 힌지핀(33)으로 힌지 결합된 상부케이스(30)에 의해 감싸게 된다.
한편, 물림구(11)를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로 감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하부케이스(20)에는 걸림공(21)이 외측으로 파여지고, 이 걸림공(21)에 대응되는 위치로 홈(32)이 파여진 결착편(31)이 상부케이스(30)에 일체로 돌출 성형되어 물림구(11)를 감싸기 위해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가 결합될 때 도 3에서와 같이 걸림공(21)에 걸림편(31)의 홈(32)이 탄력적으로 걸려져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약간의 힘을 가하여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가 벌어지게 하면 결합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다.
이때, 장식부재(1)에 연결되는 물림구(11)와 하부케이스(20)에 연결되는 타측의 장식부재(1)는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의 열림방향과 직각되게 위치되므로 사용중 부주의로 목걸이가 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더라도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의 열림방향으로는 힘이 작용되지 않게 되므로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며, 도난의 염려도 적다.
그리고, 걸림편(31)을 하부케이스(20)의 걸림공(21)으로 부터 분리시킬 때 힘을 가하기 용이하도록 걸림편(31)에는 손잡이(35)를 돌출되게 부착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20)에는 장식효과를 위해 도면에서와 같이 꽃무늬등을 파여지게 하는 것이 장식적으로 미려해 질 뿐만 아니라, 재료의 절감효과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마치 진주조개가 진주를 꺼내거나 감싸지게 하는 동작에 의해 목걸이의 물림쇠(10)가 동작되므로 신기함과 장식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그 결착 및 해지작업이 간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느끼게 하고, 그 생산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장식부재(1)들이 연이어 연결되는 그 이음부에 위치되어 목걸이를 고리형으로 연결 및 분리시키는 물림쇠(10)가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물림쇠(10)는 장식부재(1)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는 물림구(11)와;
    상기 장식부재(1)의 타측위치로 연결되며 걸림공(21)이 구비되는 하부케이스(20)와;
    이 하부케이스(20)와의 사이로 물림구(11)가 위치되어 그 외부를 감싸지도록 일측이 힌지핀(33)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걸림공(21)에 대응되는 위치로 홈(32)이 파여진 결착편(31)이 구비되는 상부케이스(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의 물림쇠.
KR2019970022611U 1997-08-21 1997-08-21 목걸이의 물림쇠 KR200157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611U KR200157464Y1 (ko) 1997-08-21 1997-08-21 목걸이의 물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611U KR200157464Y1 (ko) 1997-08-21 1997-08-21 목걸이의 물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380U KR19990009380U (ko) 1999-03-15
KR200157464Y1 true KR200157464Y1 (ko) 1999-09-15

Family

ID=1950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611U KR200157464Y1 (ko) 1997-08-21 1997-08-21 목걸이의 물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4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6973A1 (en) * 2007-06-19 2008-12-24 Roth, Fay Interlocking jewelry lin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6973A1 (en) * 2007-06-19 2008-12-24 Roth, Fay Interlocking jewelry l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380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192A (en) Pull tab mounting arrangement for a zipper
US4790148A (en) Ring shank
US5890497A (en) Hair binder
EP1001689B1 (en) Joiner
KR200157464Y1 (ko) 목걸이의 물림쇠
US5651273A (en) Hinged finger ring
KR200401537Y1 (ko) 다용도 연결구
KR200183193Y1 (ko) 목걸이 체결구조
JPH08320A (ja) 装飾体接続具
KR200216858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
CN212382208U (zh) 一种具有两档推拉式锁链扣的手链
JP4883497B2 (ja) 携行品の着身連結具
JPH06972Y2 (ja) 装身具の連結構造
KR200267567Y1 (ko) 목걸이의 장식구 결착구
KR200286024Y1 (ko) 목걸이의 걸이줄 연결장치
KR200179837Y1 (ko)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200394416Y1 (ko) 신분증 목걸이
KR200254939Y1 (ko) 악세서리 체결구
KR200334455Y1 (ko) 링형 장신구의 체결단부 체결 분리구조
JP3200946U (ja) 留め具アタッチメント
JP3109666U (ja) 装身具
KR200161896Y1 (ko) 귀걸이의 힌지
KR970004945Y1 (ko) 잡화, 의류 및 장신구등의 이음매
KR200201877Y1 (ko) 장식구 체결용 회전버클
KR950005983Y1 (ko) 넥타이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